본 연구는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수준별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와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인 창의적인 반응을 분석하여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50402
2010
Korean
375.2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907-935(29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수준별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와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인 창의적인 반응을 분석하여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에 ...
본 연구는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수준별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와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인 창의적인 반응을 분석하여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첫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과 일반적인 형태의 수준별 학습 사이에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은 실험집단의 성취도별 상?중?하 집단 중 어느 집단에게 더 효과가 있는가?, 셋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 3학년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을 위하여 두 집단의 사전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인한 후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형태의 수준별 학습을, 실험집단은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반의 사전 검사 결과로 상(28%), 중(41%), 하(31%) 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처치 후 실시한 사후 검사에서 대응표본의 평균을 비교하여 어느 집단에 가장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3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수준별 학습을 한 집단에서 보인 반응을 분석하고, 전체토의 및 면담 결과,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학습이 실제로 학생들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은 학업 성취 수준 '하'집단에게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창의적이고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수학, 과학, 실과" 교육부 1998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2008
3 이화진, "연구보고 RRC01-제7차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수준별 수업자료 개발연구-중학국어, 중학수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4 이종희, "수학적 의사소통" 교우사 2002
5 김명숙, "수학과 개방형 문제 해결 수업에서 경인교대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반응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2009
6 이종연, "수준별 과제학습을 통한학력신장과 학습태도에 대한 고찰" 9 (9): 1999
7 교육부, "교육비전 2002: 새 학교 문화 창조" 교육부 1998
8 안일란, "개방형 문제의 교수 학습이 창의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2002
9 坪田耕三, "算數科 オ-プ ンエンド アプ ロ-チ" 明治圖書 1993
10 Krutetskii, V. A.,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
1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수학, 과학, 실과" 교육부 1998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2008
3 이화진, "연구보고 RRC01-제7차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수준별 수업자료 개발연구-중학국어, 중학수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4 이종희, "수학적 의사소통" 교우사 2002
5 김명숙, "수학과 개방형 문제 해결 수업에서 경인교대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반응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2009
6 이종연, "수준별 과제학습을 통한학력신장과 학습태도에 대한 고찰" 9 (9): 1999
7 교육부, "교육비전 2002: 새 학교 문화 창조" 교육부 1998
8 안일란, "개방형 문제의 교수 학습이 창의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2002
9 坪田耕三, "算數科 オ-プ ンエンド アプ ロ-チ" 明治圖書 1993
10 Krutetskii, V. A.,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
11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67
12 Torrence, E. P., "The nature of creativity as manifest in its testing, in: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13 Yochihiko Hashimoto, "The methods of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29 (29): 86-87, 1997
14 Balka, D. S.,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University of Missouri 1974
1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Author 2000
16 Nohda, N., "Mathematics teaching by open-approach method in Japanese classroom activitie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8
17 Griffiths, R., "Language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Heinemann 1994
1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Author 1989
19 Isaksen, S. G.,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basic course" Bearly Limited 1985
20 Rowan, T. E., "Communicating in mathematics" 38 (38): 18-22, 1990
수학익힘책 분석을 통한 수학부진아용 연습교재 구성 방식 연구
개방형 문제 활용이 수학적 창의력과 뇌기능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9 | 1.328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