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아동 치료서비스의 현황, 제기되는 이슈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현황자료를 토대로 현재 실시되는 선별 절차와 제공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아동 치료서비스의 현황, 제기되는 이슈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현황자료를 토대로 현재 실시되는 선별 절차와 제공되...
본 연구는 장애아동 치료서비스의 현황, 제기되는 이슈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현황자료를 토대로 현재 실시되는 선별 절차와 제공되는 치료 서비스의 내용을 검토했다. 먼저 장애 조기 선별 과정의 하나인 영유아 선별검사를 살펴보았고, 아울러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들을 중심으로 장애아동 치료서비스의 이용자, 치료사, 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선별검사 수검률이 전반적으로 상승추세이기는 하나 실제 이용률은 여전히 높지 않아서 효율적인 조기 선별은 미흡한 편이며, 발달재활치료 서비스 이용자가 매년 확대되고 있기는 하나 서비스 내용 및 제공인력의 전문성과 관련된 현장의 우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조기 선별을 위해 발달영역별로 표준화된 선별도구가 개발될 필요성을 제안했고, 아울러 질높은 치료서비스 제공을위해 서비스 제공인력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여겨 치료자의 보수교육 필요성을 제시했다.
대표강점활용 긍정개입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삶의 만족과 행복, 그리고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