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애인 정보격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of Digital Divide for the Disab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69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recent smart technologis, most modern people can have benefits of informatization. In their daily living, it is very hard to live without information devices and information services. However, there are some neglected classes of people so that they can hardly take benefits of informatization. Especially the disabled have a big barrier called digital divide although information devices are good tool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of digital divide for the disabled.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divide is presented at first. Based on the current status, various improvement plans are proposed: extending opportunities of information education, extending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improv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and improvement of smart accessibility, etc.
      번역하기

      With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recent smart technologis, most modern people can have benefits of informatization. In their daily living, it is very hard to live without information devices and information services. How...

      With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recent smart technologis, most modern people can have benefits of informatization. In their daily living, it is very hard to live without information devices and information services. However, there are some neglected classes of people so that they can hardly take benefits of informatization. Especially the disabled have a big barrier called digital divide although information devices are good tool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of digital divide for the disabled.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divide is presented at first. Based on the current status, various improvement plans are proposed: extending opportunities of information education, extending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improv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and improvement of smart accessibility,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최근 스마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현대인들은 정보화의 혜택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즉 매일 일상에서 정보 기기와 정보 서비스의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이 힘들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화의 혜택에서 소외된 계층이 존재하여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들에게는 정보기기는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좋은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장벽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들에 대한 정보격차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장애인에 대한 정보격차 현황을 먼저 분석한 후,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격차 해소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해소방안으로는 정보교육기회의 증대,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확대 및 보급, 법과 제도의 개선, 스마트 접근성 향상 등을 포함한다.
      번역하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최근 스마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현대인들은 정보화의 혜택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즉 매일 일상에서 정보 기기와 정보 서비스의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최근 스마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현대인들은 정보화의 혜택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즉 매일 일상에서 정보 기기와 정보 서비스의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이 힘들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화의 혜택에서 소외된 계층이 존재하여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들에게는 정보기기는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좋은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장벽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들에 대한 정보격차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장애인에 대한 정보격차 현황을 먼저 분석한 후,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격차 해소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해소방안으로는 정보교육기회의 증대,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확대 및 보급, 법과 제도의 개선, 스마트 접근성 향상 등을 포함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행정안전부, "장애인 및 노인 등의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을 위한 권장지침"

      2 행정안전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3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B3%B4_%EA%B2%A9%EC%B0%A8"

      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4

      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3

      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2

      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1

      9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0

      10 한국정보화진흥원, "2008 정보격차해소 백서" 2009

      1 행정안전부, "장애인 및 노인 등의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을 위한 권장지침"

      2 행정안전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3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B3%B4_%EA%B2%A9%EC%B0%A8"

      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4

      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3

      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2

      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1

      9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0

      10 한국정보화진흥원, "2008 정보격차해소 백서" 2009

      11 한국정보화진흥원, "2007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08

      12 한국정보화진흥원, "2006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06

      13 한국정보화진흥원, "2005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05

      14 한국정보화진흥원, "2004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04

      15 한국정보화진흥원, "2003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03

      16 한국정보화진흥원, "2002 정보취약계층 정보격차 실태조사-장애인 계층-"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5-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Associ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