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재는 전체 인구의 몇%인가?: 영재의 출현 비율에 대한 문헌연구 = What Percentage of Our Children Are Gif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Ratio of Gifted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6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answer the most basic question, ‘what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is gifted?’ The research method that this study adopted to answer this question was to conduct the literature review with the focus on the issue of the appearance rate of gifted childre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findings. First, although most researchers or countries touched on the rate of appearance of gifted children between the top 1 % and 10 %, their rates of emergence varied widely and there was no apparent tendency. Second, few researchers have presented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for specific figures presented for the rate of appearance of gifted children. If we expect gifted education to be provided continuously in the field of education, we should be able to present who and how many are gifted students as subjects of education policy. To be able to do so, empiric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percentage of those.
      번역하기

      This study tried to answer the most basic question, ‘what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is gifted?’ The research method that this study adopted to answer this question was to conduct the literature review with the focus on the issue of the appearan...

      This study tried to answer the most basic question, ‘what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is gifted?’ The research method that this study adopted to answer this question was to conduct the literature review with the focus on the issue of the appearance rate of gifted childre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findings. First, although most researchers or countries touched on the rate of appearance of gifted children between the top 1 % and 10 %, their rates of emergence varied widely and there was no apparent tendency. Second, few researchers have presented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for specific figures presented for the rate of appearance of gifted children. If we expect gifted education to be provided continuously in the field of education, we should be able to present who and how many are gifted students as subjects of education policy. To be able to do so, empiric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percentage of tho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영재의 출현비율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그에 따른 연구 결과를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자나 국가가 상위 약 1%에서 10% 정도 사이를 영재의 출현 비율로 보고 있다. 둘째, 영재의 출현비율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한 여러 연구자가 있지만 특정 출현비율 수치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제시한 연구자는 거의 없었다. 영재의 출현 비율에 대한 오랜 의문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자가 출현비율에 대한 이론적 근거나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이유는 우선 영재의 정의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도출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 데이터에 근거한 영재의 출현비율에 대한 연구를 거의 시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장에서 진행되는 영재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영재 학생들이 특수교육의 대상임을 사회가 인정하고,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특수교육 정책의 일환으로서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재 학생들이 특수교육 정책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영재의 개념에 대한 현실적 합의가 도출되어야 하며, 이에 근거한 특수교육 대상으로서의 영재학생의 출현비율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영재의 출현 비율에 대해 실제 데이터에 근거한 연구가 반드시 시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영재의 출현비율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그에 따른 연구 결과를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자나 국가가 상위 ...

      본 연구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영재의 출현비율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그에 따른 연구 결과를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자나 국가가 상위 약 1%에서 10% 정도 사이를 영재의 출현 비율로 보고 있다. 둘째, 영재의 출현비율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한 여러 연구자가 있지만 특정 출현비율 수치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제시한 연구자는 거의 없었다. 영재의 출현 비율에 대한 오랜 의문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자가 출현비율에 대한 이론적 근거나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이유는 우선 영재의 정의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도출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 데이터에 근거한 영재의 출현비율에 대한 연구를 거의 시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장에서 진행되는 영재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영재 학생들이 특수교육의 대상임을 사회가 인정하고,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특수교육 정책의 일환으로서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재 학생들이 특수교육 정책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영재의 개념에 대한 현실적 합의가 도출되어야 하며, 이에 근거한 특수교육 대상으로서의 영재학생의 출현비율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영재의 출현 비율에 대해 실제 데이터에 근거한 연구가 반드시 시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인섭, "유아용 영재판별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63-78, 2006

      2 이재호,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5 (15): 307-317, 2011

      3 J. Renzulli,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60 (60): 180-184, 1978

      4 G. S. Wilkinson, "WRAT-3: Wide range achievement test administration manual" Wide Range 1993

      5 S. J. Silver, "WISC-R profiles of high ability children : interpretation of verbal-performance discrepancies" 34 (34): 76-79, 1990

      6 F. Gagné,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 The DMGT as a developmental theory 1" 15 (15): 119-147, 2004

      7 R. E. Mayer, "The scientific study of giftedness,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8 R. Reams, "The race is not necessarily to the swift : Validity of WISC-R bonus points for speed" 34 (34): 108-110, 1990

      9 Y. Yo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nd counseling for emotional development" 19 (19): 79-101, 2000

      10 L. M. Terman, "The gifted child grows up: Twenty-five years'follow-up of a superior group" Stanford University Press 1947

      1 송인섭, "유아용 영재판별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63-78, 2006

      2 이재호,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5 (15): 307-317, 2011

      3 J. Renzulli,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60 (60): 180-184, 1978

      4 G. S. Wilkinson, "WRAT-3: Wide range achievement test administration manual" Wide Range 1993

      5 S. J. Silver, "WISC-R profiles of high ability children : interpretation of verbal-performance discrepancies" 34 (34): 76-79, 1990

      6 F. Gagné,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 The DMGT as a developmental theory 1" 15 (15): 119-147, 2004

      7 R. E. Mayer, "The scientific study of giftedness,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8 R. Reams, "The race is not necessarily to the swift : Validity of WISC-R bonus points for speed" 34 (34): 108-110, 1990

      9 Y. Yo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and counseling for emotional development" 19 (19): 79-101, 2000

      10 L. M. Terman, "The gifted child grows up: Twenty-five years'follow-up of a superior group" Stanford University Press 1947

      11 L. S. Hollingworth, "The child of very superior intelligence as a special problem in social adjustment" 149 (149): 151-159, 1930

      12 J. B. Conant, "The American high school today: A first report to interested citizens" McGraw-Hill 1959

      13 Y. Yoon, "Relationship between gifted students performance on KEDI-WISC and their characteristics : Comparison between general and gifted groups" 1997 (1997): 425-437, 1997

      14 D. Palmer, "Parents guide to IQ testing and gifted education" Parent Guide Books 2006

      15 GED, "Number of subjects eligible for gifted education in Korea"

      16 S. Lee, "Introduction to Gifted Education" Hakji 2015

      17 T. M. Newman,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Springer 2008

      18 J. T. Webb, "Guiding the gifted child: A practical source for parents and teachers" Ohio Psychology Publishing Co 1982

      19 J. F. Feldhusen, "Guidelines for grade advancement of precocious children" 24 (24): 169-171, 2002

      20 L. Porter, "Gifted young children: A guide for teachers and parents" Open University Press 2005

      21 K. Park, "Gifted Education" Hakji 2014

      22 L. M. Terman, "Genetic studies of geniu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25

      23 J. Cassidy, "Federal and state definitions of giftedness : Then and now" 9 (9): 15-21, 1986

      24 D. V. Lovecky, "Exceptionally gifted children : Different minds" 17 (17): 116-120, 1994

      25 L. J. Cronbach, "Essentials of psychological testing" Harper 1949

      26 S. P. Jr. Marland,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Report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US Commissioner of Education 1972

      27 F. Barron, "Creative person and creative process" Rinehart & Winston 1969

      28 C. M. Cox, "Cox, The early mental traits of three hundred genius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26

      29 J. H. Borland,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0 F. Gagné, "Conception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1 L. K. Silverman, "Clinical practice with gifted families. In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Springer 2008

      32 L. S. Hollingworth,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gin and development" Yonkers-on-Hudson 1942

      33 S. So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 Gifted Children" 2 (2): 427-457, 2000

      34 NAGC, "2010 Pre K-12 Gifted Programming standard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5-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Associ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