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중등 학습자들을 위한 영어 읽기 성취 모형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47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L2 reading achieve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The structural model was further examined based on students’ gender. A total of 327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L2 read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Their L2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were measured by preliminary SAT English scores and self-assessed listening and reading proficienc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L2 reading efficacy and strategy and L2 listening skill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L2 reading achievement, while L2 reading motivation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reading achievement. These results, specifically the model based on the students’ gender provided evidence in favor of the threshold hypothesis because only L2 listening skil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2 reading achievement for both genders. However, a problem with accepting the threshold explanation was discussed because the students’ L1 skills were not observed in the study. Pedagogical implications to improve L2 reading instruction were presen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L2 reading achieve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The structural model was further examined based on students’ gender. A total of 3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L2 reading achieve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The structural model was further examined based on students’ gender. A total of 327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L2 read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Their L2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were measured by preliminary SAT English scores and self-assessed listening and reading proficienc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L2 reading efficacy and strategy and L2 listening skill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L2 reading achievement, while L2 reading motivation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reading achievement. These results, specifically the model based on the students’ gender provided evidence in favor of the threshold hypothesis because only L2 listening skil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2 reading achievement for both genders. However, a problem with accepting the threshold explanation was discussed because the students’ L1 skills were not observed in the study. Pedagogical implications to improve L2 reading instruction were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L2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의 남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327명의 고등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조사기법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읽기 동기와 전략을 측정하였고, 듣기와 읽기 능력은 영어 모의고사 점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L2읽기에 대한 자기효능감, 전략, L2 듣기 능력이 L2 읽기 성취 모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L2읽기 동기는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L2듣기 능력이 L2읽기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문지방 가설을 뒷받침하는 듯 하나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L1 능력을 측정하지 않았으므로 문지방 가설에 대한 설명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L2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L2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의 남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327명의 고등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

      본 연구의 목적은 L2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의 남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327명의 고등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조사기법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읽기 동기와 전략을 측정하였고, 듣기와 읽기 능력은 영어 모의고사 점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L2읽기에 대한 자기효능감, 전략, L2 듣기 능력이 L2 읽기 성취 모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L2읽기 동기는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L2듣기 능력이 L2읽기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문지방 가설을 뒷받침하는 듯 하나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L1 능력을 측정하지 않았으므로 문지방 가설에 대한 설명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L2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