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L2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의 남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327명의 고등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
본 연구의 목적은 L2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의 남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327명의 고등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조사기법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읽기 동기와 전략을 측정하였고, 듣기와 읽기 능력은 영어 모의고사 점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L2읽기에 대한 자기효능감, 전략, L2 듣기 능력이 L2 읽기 성취 모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L2읽기 동기는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L2듣기 능력이 L2읽기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문지방 가설을 뒷받침하는 듯 하나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L1 능력을 측정하지 않았으므로 문지방 가설에 대한 설명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L2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함의가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