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초등학생의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 진단을 위한 간이 식습관평가표 개발 =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6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초등학교 4~6학년 어린이 142명 (남 80명, 여 62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미량영양소 섭취부족의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식습관평가표를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지표는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칼슘, 철분, 아연의 여섯가지 영양소에 대하여 권장섭취량에 대한 섭취 백분율과 평균 적정섭취비율 (MAR), 이들 여섯가지 영양소 중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영양소의 개수를 임의로 선정하였다. 식습관의 각 문항에 대한 점수를 구하기 위하여 응답 보기에서 가장 좋은 식습관에 대하여 0점, 가장 좋지 않은 식습관에 대하여 2점을 부여하고, 이 두가지 식습관 사이에 중간 정도의 보기가 있는 경우 1점을 부여하였다. 부여된 점수로 계산한 각 문항의 식습관 점수와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지표와의 Pearson 상관계수를 계산한 결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 식습관 문항은 세끼 식사 여부, 아침식사 시간의 여유, 저녁식사의 규칙성, 식욕, 그리고 김치, 우유, 과일, 콩의 섭취 빈도에 관한 8개 문항으로 나타나 이들을 평가표에 포함시킬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 8개 문항에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MAR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유의수준이 0.05 미만인 4개 문항의 배점을 1점으로 낮추었다.
      식습관평가표의 영양부족위험 진단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MAR < 0.75를 미량영양소 섭취부족군, MAR ≥ 0.75를 적정군으로 하여 총점 분포를 살펴본 후 각 총점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를 평가하였고 이 결과에 따라 식습관평가표의 총점이 3점 이하 일 때 저위험군, 4~5점일때 중간위험군, 6점 이상일 때 고위험군으로 결정하였다.
      식습관평가표의 진단기준에 따라 본 조사대상자를 세 집단으로 분류하고 영양소섭취를 비교한 결과 에너지와 단백질은 세 집단간 대상자 분포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11개의 미량영양소 중에서는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칼슘, 인, 철, 아연 등 9개 영양소에서 평균 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대상자의 비율이 고위험군이 가장 높았으며, 중간위험군, 저위험군의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비타민 C의 경우 중간위험군과 고위험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저위험군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비타민 B?의 경우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8문항의 식습관평가표는 복잡한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지 않고도 초등학생의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을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초등학생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영양판정이나 영양교육을 실시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지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활용하여 타당성 검토를 거치면 영양사업과 영양교육의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초등학교 4~6학년 어린이 142명 (남 80명, 여 62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미량영양소 섭취부족의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식습관평가표를 개발한...

      초등학교 4~6학년 어린이 142명 (남 80명, 여 62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미량영양소 섭취부족의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식습관평가표를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지표는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칼슘, 철분, 아연의 여섯가지 영양소에 대하여 권장섭취량에 대한 섭취 백분율과 평균 적정섭취비율 (MAR), 이들 여섯가지 영양소 중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영양소의 개수를 임의로 선정하였다. 식습관의 각 문항에 대한 점수를 구하기 위하여 응답 보기에서 가장 좋은 식습관에 대하여 0점, 가장 좋지 않은 식습관에 대하여 2점을 부여하고, 이 두가지 식습관 사이에 중간 정도의 보기가 있는 경우 1점을 부여하였다. 부여된 점수로 계산한 각 문항의 식습관 점수와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지표와의 Pearson 상관계수를 계산한 결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 식습관 문항은 세끼 식사 여부, 아침식사 시간의 여유, 저녁식사의 규칙성, 식욕, 그리고 김치, 우유, 과일, 콩의 섭취 빈도에 관한 8개 문항으로 나타나 이들을 평가표에 포함시킬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 8개 문항에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MAR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유의수준이 0.05 미만인 4개 문항의 배점을 1점으로 낮추었다.
      식습관평가표의 영양부족위험 진단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MAR < 0.75를 미량영양소 섭취부족군, MAR ≥ 0.75를 적정군으로 하여 총점 분포를 살펴본 후 각 총점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를 평가하였고 이 결과에 따라 식습관평가표의 총점이 3점 이하 일 때 저위험군, 4~5점일때 중간위험군, 6점 이상일 때 고위험군으로 결정하였다.
      식습관평가표의 진단기준에 따라 본 조사대상자를 세 집단으로 분류하고 영양소섭취를 비교한 결과 에너지와 단백질은 세 집단간 대상자 분포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11개의 미량영양소 중에서는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칼슘, 인, 철, 아연 등 9개 영양소에서 평균 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대상자의 비율이 고위험군이 가장 높았으며, 중간위험군, 저위험군의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비타민 C의 경우 중간위험군과 고위험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저위험군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비타민 B?의 경우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8문항의 식습관평가표는 복잡한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지 않고도 초등학생의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을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초등학생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영양판정이나 영양교육을 실시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지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활용하여 타당성 검토를 거치면 영양사업과 영양교육의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Eating habits, food intake, and anthropometric data were collected from 142 children (80 boys and 62 girls) in the 4<SUP>th</SUP> to 6<SUP>th</SUP>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Percentage of Recommended Intakes (RI) and Mean Adequacy Ratio (MAR) of six micronutrients; vitamin A, riboflavin, vitamin C, calcium, iron, zinc, and the number of nutrients the children consumed below EAR among the six nutrients were used as indices to detect the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eating habit scores and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indices in order to select questions included in the checklist. Meal frequency, enough time for breakfast, regularity of dinner, appetite, eating frequencies of Kimchi, milk, fruits and bean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dices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give each item a different weight by prediction strength. To determine the cut-off point of the test scor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s were calculated. The 8-item checklist with test results from 0 to 12 points was developed, and those with equal or higher than 6 points were diagnosed as high-risk group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and those with 4 or 5 points were diagnosed as moderate-risk group. Among our subjects 14.1% was diagnosed as high-risk group, and 30.3% as moderate-risk group. The proportions of the subjects who consumed below EAR of all micronutrients but vitamin C were highest in the high-risk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s of the subjects with intake below EAR of all micronutrients except vitamin B6 among the three groups. This checklist will provide a useful screening tool to identify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009; 42(1): 38 ~ 47)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Eating habits, food intake, and anthropometric data were collected from 142 children (80 boys and 6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Eating habits, food intake, and anthropometric data were collected from 142 children (80 boys and 62 girls) in the 4<SUP>th</SUP> to 6<SUP>th</SUP>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Percentage of Recommended Intakes (RI) and Mean Adequacy Ratio (MAR) of six micronutrients; vitamin A, riboflavin, vitamin C, calcium, iron, zinc, and the number of nutrients the children consumed below EAR among the six nutrients were used as indices to detect the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eating habit scores and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indices in order to select questions included in the checklist. Meal frequency, enough time for breakfast, regularity of dinner, appetite, eating frequencies of Kimchi, milk, fruits and bean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dices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give each item a different weight by prediction strength. To determine the cut-off point of the test scor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s were calculated. The 8-item checklist with test results from 0 to 12 points was developed, and those with equal or higher than 6 points were diagnosed as high-risk group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and those with 4 or 5 points were diagnosed as moderate-risk group. Among our subjects 14.1% was diagnosed as high-risk group, and 30.3% as moderate-risk group. The proportions of the subjects who consumed below EAR of all micronutrients but vitamin C were highest in the high-risk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s of the subjects with intake below EAR of all micronutrients except vitamin B6 among the three groups. This checklist will provide a useful screening tool to identify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009; 42(1): 38 ~ 47)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Literature ci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미영, "한국인 상용식품의 엽산함량 분석에 의한 식품영양가표의 보완" 한국영양학회 38 (38): 586-604, 2005

      2 연미영, "초등학생의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 진단을 위한 식습관평가표 개발" 한국영양학회 41 (41): 414-427, 2008

      3 연미영,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성별과 영양지식 수준에 따른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태도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307-322, 2008

      4 구언희, "채소기피 아동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채소 기피 관련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151-162, 2005

      5 박정아, "임신부의 철분 영양잠재위험집단의 조기선별을 위한 스크리닝 도구의 개발 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8 (8): 160-170, 2003

      6 송윤주, "서울 지역 일부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발달 및 식생활 비교 연구: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Ⅱ)" 한국영양학회 39 (39): 50-57, 2006

      7 배윤정, "비만 남자 초등학생의 마그네슘, 철, 구리, 아연 영양상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 12 (12): 378-389, 2006

      8 오세영,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수금 가정에서의 식품공급안정성과 아동의 영양상태" 한국영양학회 35 (35): 650-657, 2002

      9 김석영, "경남지역 초등학생들의 식습관이 영양소섭취량, BMI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705-713, 2007

      10 UNICEF, "Vitamin and mineral deficiency. A global progress report"

      1 연미영, "한국인 상용식품의 엽산함량 분석에 의한 식품영양가표의 보완" 한국영양학회 38 (38): 586-604, 2005

      2 연미영, "초등학생의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 진단을 위한 식습관평가표 개발" 한국영양학회 41 (41): 414-427, 2008

      3 연미영,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성별과 영양지식 수준에 따른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태도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307-322, 2008

      4 구언희, "채소기피 아동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채소 기피 관련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151-162, 2005

      5 박정아, "임신부의 철분 영양잠재위험집단의 조기선별을 위한 스크리닝 도구의 개발 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8 (8): 160-170, 2003

      6 송윤주, "서울 지역 일부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발달 및 식생활 비교 연구: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Ⅱ)" 한국영양학회 39 (39): 50-57, 2006

      7 배윤정, "비만 남자 초등학생의 마그네슘, 철, 구리, 아연 영양상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 12 (12): 378-389, 2006

      8 오세영,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 수금 가정에서의 식품공급안정성과 아동의 영양상태" 한국영양학회 35 (35): 650-657, 2002

      9 김석영, "경남지역 초등학생들의 식습관이 영양소섭취량, BMI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705-713, 2007

      10 UNICEF, "Vitamin and mineral deficiency. A global progress report"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12 Kennedy G, "The scourge of “idden hunger” : global dimensions of micronutrient deficiencies" 32 : 8-16, 2003

      13 Hwang KH, "The eating behaviors, nutrient intakes and hematological status of the lower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in Gwangju" 14 (14): 293-299, 2001

      14 Smith KW,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hild and adolescent trial for cardiovascular health (CATCH) food checklist: A self-report instrument to measure fat and sodium intake by middle school students" 101 (101): 635-647, 2001

      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2000

      16 Kim EK, "R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related problems in Korean children" 6 (6): 905-920, 2001

      17 Maberly GF, "Programs against micronutrient malnutrition: ending hidden hunger" 15 : 277-301, 1994

      18 Berger S, "Pope John Paul II’ address to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utrition: introductory remarks" 16 (16): 474-, 2000

      19 Hyun TS, "Plama and erythrocyte folate concentration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eongju" 5 (5): 758-, 2000

      20 Bae EJ, "Nutritional status of school lunch supported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7 (7): 349-360, 2001

      21 Beck AM, "Modification of the nutrition questionnaire for elderly to increase its ability to detect elderly people with inadequate intake of energy, calcium, vitamin C and vitmin D" 53 (53): 560-569, 1999

      22 Hyun TS, "Folate database-past, present and future-. Symposium on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nutrient databas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53-75, 2007

      23 Murphy SP, "Evaluation of validity of items for a food behavior checklist" 101 (101): 751-761, 2001

      24 Gordis L, "Epidemiology" W. B. Saunders Company 2000

      25 Lee YM, "Eating trends in Korean children" 11 (11): 819-835, 2006

      26 Hotz C, "Dietary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adequacy of population zinc intakes" 28 (28): S430-453, 2007

      2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05

      28 Kim KN, "Development of a simpl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5 (5): 475-483, 2000

      29 Johns JM, "Development of a nutritional screening or assessment tool using a multivariate technique" 20 (20): 298-306, 2004

      30 International Zinc Nutrition Consultative Group, "Assessment of the risk of zinc deficiency in populations and options for its control" 25 (25): S91-204, 2004

      31 Kennedy E, "Alleviating Hidden Hunger: Approaches that work" 34 (34): 54-60, 2003

      32 Park JA, "A screening tool for identifying high-risk pregnant women of Fe deficiency anemia: Process I" 6 (6): 734-743,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7-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양학회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1 1.77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