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지원요소 연구 = Homeroom Teacher Supporting Factor for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r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86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in the inclusive education on the first-line educational field by surveying a demand for support in homeroom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room at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questionnaire with totally 25 items by 5 support types was conducted to 120 homeroom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room at elementary school where i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questionnaire research, The teacher group was classified by gender, age, career in charge of the inclusive classroom, and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he support demand by item and by support type, which each teacher group indicated, was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support demand, the support demand for human resources, teacher training &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climate was high. By item, the support demand was high for a support for peers in the inclusive classroom, for emotional consideration and positive mind in institutional director, for the behavioral guidance and technical train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or cooperation in a special-class teacher. Second, by teacher group, the support demand had great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in charge of the inclusive classroom and on appearance of training and qualification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conclusion, aiming at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here is necessity for the cooperative support in the relevant human resources and for a change in climate of school organization including a school principal. Training and study for homeroom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room should be continuously offe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in the inclusive education on the first-line educational field by surveying a demand for support in homeroom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room at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in the inclusive education on the first-line educational field by surveying a demand for support in homeroom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room at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questionnaire with totally 25 items by 5 support types was conducted to 120 homeroom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room at elementary school where i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questionnaire research, The teacher group was classified by gender, age, career in charge of the inclusive classroom, and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he support demand by item and by support type, which each teacher group indicated, was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support demand, the support demand for human resources, teacher training &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climate was high. By item, the support demand was high for a support for peers in the inclusive classroom, for emotional consideration and positive mind in institutional director, for the behavioral guidance and technical train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or cooperation in a special-class teacher. Second, by teacher group, the support demand had great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in charge of the inclusive classroom and on appearance of training and qualification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conclusion, aiming at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here is necessity for the cooperative support in the relevant human resources and for a change in climate of school organization including a school principal. Training and study for homeroom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room should be continuously offe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들의 지원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일선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담임교사 120명에게 5개의 지원유형별로 총25개 문항에 대하여 설문하였다. 설문 조사에 따라 교사 집단을 성별, 연령, 통합학급 담당경력,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 등에 따라 분류하고, 각 교사 집단이 나타낸 문항별, 지원유형별 지원요구에 대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유형별로 인적자원, 교사 훈련 및 교육, 조직풍토에 대한 지원요구 등이 높았으며, 문항별로는 통합학급 또래의 지원, 기관장의 정서적 배려 및 긍정적인 마인드, 장애아동 행동지도 기술 훈련, 특수학급 교사의 협력 등의 지원요구가 높았다. 둘째, 교사집단별로 통합학급 담당 경력과 특수교육 관련 연수 및 자격 여부에 따라 지원요구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컸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관련 인적자원들의 협력적 지원과 교장을 비롯한 학교 조직 풍토의 변화가 필요하며, 통합학급 담임교사를 위한 훈련 및 연수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들의 지원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일선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초등...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들의 지원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일선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담임교사 120명에게 5개의 지원유형별로 총25개 문항에 대하여 설문하였다. 설문 조사에 따라 교사 집단을 성별, 연령, 통합학급 담당경력,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 등에 따라 분류하고, 각 교사 집단이 나타낸 문항별, 지원유형별 지원요구에 대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유형별로 인적자원, 교사 훈련 및 교육, 조직풍토에 대한 지원요구 등이 높았으며, 문항별로는 통합학급 또래의 지원, 기관장의 정서적 배려 및 긍정적인 마인드, 장애아동 행동지도 기술 훈련, 특수학급 교사의 협력 등의 지원요구가 높았다. 둘째, 교사집단별로 통합학급 담당 경력과 특수교육 관련 연수 및 자격 여부에 따라 지원요구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컸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관련 인적자원들의 협력적 지원과 교장을 비롯한 학교 조직 풍토의 변화가 필요하며, 통합학급 담임교사를 위한 훈련 및 연수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영민,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수행에 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지원 기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2 류기연, "특수학급 교사와 원적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조사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3 이대식, "특수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의 분석" 교육연구소 3 (3): 1-26, 2002

      4 이효자, "통합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3 (3): 62-77, 1996

      5 김성애, "통합교육의 지원체계 in:교사를 위한 특수교육 입문: 통합교육" 47-76, 2005

      6 손상희,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연구 현황과 과제" 35 (35): 83-99, 2000

      7 정문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관련 석사학위 논문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김성애,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비장애 아동 태도 변화 관련 프랑크푸르트 연구팀 이론 탐색"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29-52, 2003

      9 김귀련,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학업․생활․행정․재정 영역의 지원 요구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최선실, "통합교육 실시를 위한 원적학급 일반교사의 지원 요구" 14 (14): 319-347, 2001

      1 안영민,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수행에 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지원 기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2 류기연, "특수학급 교사와 원적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조사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3 이대식, "특수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의 분석" 교육연구소 3 (3): 1-26, 2002

      4 이효자, "통합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3 (3): 62-77, 1996

      5 김성애, "통합교육의 지원체계 in:교사를 위한 특수교육 입문: 통합교육" 47-76, 2005

      6 손상희,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연구 현황과 과제" 35 (35): 83-99, 2000

      7 정문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관련 석사학위 논문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김성애,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비장애 아동 태도 변화 관련 프랑크푸르트 연구팀 이론 탐색"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29-52, 2003

      9 김귀련,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학업․생활․행정․재정 영역의 지원 요구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최선실, "통합교육 실시를 위한 원적학급 일반교사의 지원 요구" 14 (14): 319-347, 2001

      11 최선실, "통합교육 실시를 위한 원적학급 일반교사의 지원 요구" 이화여대 대학원 2000

      12 이대식, "초등학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 교육의 방향 -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의 인식에 근거하여 -"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167-188, 2002

      13 강경숙, "장애학생의 질적 통합을 위한 관련변인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4 (34): 119-157, 2007

      14 김지은,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15 김경옥, "유아교육기관의 통합교육 실태 및 인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6 조용태, "유아 통합교육의 과제와 실천 방법 및 전망" 4 (4): 29-57, 2004

      17 이대식,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필요한 일반교육의 조건" 한국통합교육학회 2 (2): 1-27, 2007

      18 강대옥, "기관운영자의 통합교육 신념과 통합학급교사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49-171, 2007

      19 Kauffman, J. M., "Mainstreaming: Toward an explication of the construct" 7 : 1-12, 1975

      20 W.A.Harriott Godshal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necessary resources for secondary general education inclusion classrooms in rural Pennsylvania school districts"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