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기술 내용과 개선 방안 - 2012년판 <동아시아사> 전근대 부분을 중심으로 - = The Descriptive Contents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and Means of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2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ast Asian History> has been recently selected as an optional history subject of the high school syllabu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Therefore, two types of textbooks for <East Asian History> have been used in high school education from 2012. But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was revised again in 2011, and the new writing standards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were announced in 2012.
      This paper analyzes the organization and the description methodology of pre-modern history in two textbooks for <East Asian History>. The review of the descriptive methodology of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progressed in three aspects: first, regarding East Asia’s regional boundaries and its natural environments; second,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s regional varieties and its characteristic aspects in its regional world; and third, regarding the descriptive methodology of China-centered views in <East Asian History>. Also, this paper will make clear the purport and points about the organization and the alter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2011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In academic circles of historical studies, there is no common consensus regardingthe descriptive methodology in <East Asian History>textbooks. For writing better contents for an East Asian history textbook, continued concern and efforts to develop the circumstances of producing textbooks are required.
      번역하기

      <East Asian History> has been recently selected as an optional history subject of the high school syllabu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Therefore, two types of textbooks for <East Asian History> have been used in high school ed...

      <East Asian History> has been recently selected as an optional history subject of the high school syllabu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Therefore, two types of textbooks for <East Asian History> have been used in high school education from 2012. But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was revised again in 2011, and the new writing standards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were announced in 2012.
      This paper analyzes the organization and the description methodology of pre-modern history in two textbooks for <East Asian History>. The review of the descriptive methodology of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progressed in three aspects: first, regarding East Asia’s regional boundaries and its natural environments; second,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s regional varieties and its characteristic aspects in its regional world; and third, regarding the descriptive methodology of China-centered views in <East Asian History>. Also, this paper will make clear the purport and points about the organization and the alter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2011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In academic circles of historical studies, there is no common consensus regardingthe descriptive methodology in <East Asian History>textbooks. For writing better contents for an East Asian history textbook, continued concern and efforts to develop the circumstances of producing textbooks are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아시아사>는 「2007년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고등학교 역사과 선택 과목 가운데 하나로 채택되었다. 이에 「2007년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2종류의 <동아시아사> 교과서가 2012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행 <동아시아사> 교과서가 검정 중이던 2011년에 다시 교육 과정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이를 근거로 2012년에 새로이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기준」이 발표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2종류의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기술 내용 가운데 전근대 부분(제1~4단원, 선사시대~19세기)을 분석, 비교하여 그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동아시아의 지역 범위와 자연 환경에 대한 기술 내용, 둘째 지역적 다양성과 지역세계의 특성에 대한 기술 내용, 그리고 셋째 중국 중심주의적 입장의 서술 내용 등에 나타난 문제점 지적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2011년 개정 교육과정」의 작성 취지와 그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2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통하여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에 적합한 기준을 마련하려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동아시아사> 전체의 구성과 관련하여 특히 전근대 부분을 선사시대에서 기원전후까지, 기원전후에서 10세기까지, 10세기에서 16세기까지, 16세기에서 19세기까지 등 4시기(4단원)로 구분한 것이 동아시아 지역사만이 아니라 한국사나 세계사를 학습하는데 적합, 유용한 지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더욱이 동아시아의 전근대사에서 중국 중심주의적인 내용 구성이나 기술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나, 한국의 고등학교 교과목으로 교육되는 <동아시아사>에서 한반도와 만주의 전근대시기 역사가 대륙의 주변부 또는 주변사로 인식되지 않도록 기술하기 위한 방안 등이 본격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주지하듯이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이나 그에 대한 ‘집필 기준’은 실제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기술에 있어서 ‘금과옥조’와 같이 여겨지는 것이고, 특히 교과서 검정의 반드시 엄수해야 할 기준이 되기 때문에, 그 개정 작업은 마땅히 충분한 작업 기간과 공정한 작업 절차가 담보되어야 한다. 실제로 국내 학계에서 <동아시아사>에 기술된 각 시대의 관련 내용에 대하여 여러 이론이 존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검토와 논의를 통해 정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미숙한 단계에 있음을 감안한다면, 보다 나은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한 제반 조건들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번역하기

      <동아시아사>는 「2007년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고등학교 역사과 선택 과목 가운데 하나로 채택되었다. 이에 「2007년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2종류의 <동아시아사>...

      <동아시아사>는 「2007년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고등학교 역사과 선택 과목 가운데 하나로 채택되었다. 이에 「2007년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2종류의 <동아시아사> 교과서가 2012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행 <동아시아사> 교과서가 검정 중이던 2011년에 다시 교육 과정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이를 근거로 2012년에 새로이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기준」이 발표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2종류의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기술 내용 가운데 전근대 부분(제1~4단원, 선사시대~19세기)을 분석, 비교하여 그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동아시아의 지역 범위와 자연 환경에 대한 기술 내용, 둘째 지역적 다양성과 지역세계의 특성에 대한 기술 내용, 그리고 셋째 중국 중심주의적 입장의 서술 내용 등에 나타난 문제점 지적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2011년 개정 교육과정」의 작성 취지와 그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2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통하여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에 적합한 기준을 마련하려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동아시아사> 전체의 구성과 관련하여 특히 전근대 부분을 선사시대에서 기원전후까지, 기원전후에서 10세기까지, 10세기에서 16세기까지, 16세기에서 19세기까지 등 4시기(4단원)로 구분한 것이 동아시아 지역사만이 아니라 한국사나 세계사를 학습하는데 적합, 유용한 지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더욱이 동아시아의 전근대사에서 중국 중심주의적인 내용 구성이나 기술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나, 한국의 고등학교 교과목으로 교육되는 <동아시아사>에서 한반도와 만주의 전근대시기 역사가 대륙의 주변부 또는 주변사로 인식되지 않도록 기술하기 위한 방안 등이 본격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주지하듯이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이나 그에 대한 ‘집필 기준’은 실제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기술에 있어서 ‘금과옥조’와 같이 여겨지는 것이고, 특히 교과서 검정의 반드시 엄수해야 할 기준이 되기 때문에, 그 개정 작업은 마땅히 충분한 작업 기간과 공정한 작업 절차가 담보되어야 한다. 실제로 국내 학계에서 <동아시아사>에 기술된 각 시대의 관련 내용에 대하여 여러 이론이 존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검토와 논의를 통해 정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미숙한 단계에 있음을 감안한다면, 보다 나은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한 제반 조건들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원호, "「동아시아사로서의 한국사」 구성을 위한 再論" 고려사학회 (34) : 241-260, 2009

      2 정철웅, "코끼리의 후퇴" 사계절 2011

      3 이근우, "지역간 인구 이동과 전쟁, In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4 고동환, "인구 증가와 사회 경제-17~19세기 동아시아의 인구 증가와 도시의 성장, In 동아시아의 역사 Ⅱ: 북방민족-서민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5 전덕재, "율령과 유교에 기반한 통치체제, In 동아시아의 역사 Ⅰ: 자연환경-국제관계" 동북아역사재단 2011

      6 토마스 바필드, "위태로운 변경" 동북아역사재단 2009

      7 이익주, "세계질서와 고려-몽골관계, In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제언과 모색" 동북아역사재단 2010

      8 강문식, "성리학, In 동아시아의 역사 Ⅱ: 북방민족-서민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9 김문식, "서민문화, 각국의 독자적 전통, In 동아시아의 역사 Ⅱ: 북방민족-서민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10 이평래, "북방민족, In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1 박원호, "「동아시아사로서의 한국사」 구성을 위한 再論" 고려사학회 (34) : 241-260, 2009

      2 정철웅, "코끼리의 후퇴" 사계절 2011

      3 이근우, "지역간 인구 이동과 전쟁, In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4 고동환, "인구 증가와 사회 경제-17~19세기 동아시아의 인구 증가와 도시의 성장, In 동아시아의 역사 Ⅱ: 북방민족-서민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5 전덕재, "율령과 유교에 기반한 통치체제, In 동아시아의 역사 Ⅰ: 자연환경-국제관계" 동북아역사재단 2011

      6 토마스 바필드, "위태로운 변경" 동북아역사재단 2009

      7 이익주, "세계질서와 고려-몽골관계, In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제언과 모색" 동북아역사재단 2010

      8 강문식, "성리학, In 동아시아의 역사 Ⅱ: 북방민족-서민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9 김문식, "서민문화, 각국의 독자적 전통, In 동아시아의 역사 Ⅱ: 북방민족-서민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10 이평래, "북방민족, In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11 박원호, "북방민족 歷史像의 復元을 통한 동아시아사의 새로운 패러다임" (49) : 2012

      12 임상선, "북방 민족의 발전과 정복왕조, In 동아시아의 역사 Ⅱ: 북방민족-서민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13 김호동,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돌베개 2010

      14 피터 윤, "몽골 이전 동아시아의 다원적 국제 관계" 3 : 2005

      15 정연, "동아시아의 자연환경, In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16 임상택, "동아시아의 역사I" 동북아역사재단 2011

      17 동북아역사재단, "동아시아의 역사 I" 동북아역사재단 2011

      18 동북아역사재단, "동아시아의 역사 2 (븍방민족-서민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19 김병준, "동아시아의 역사 1" 동북아역사재단 2011

      20 조복현, "동아시아의 역사 (북방민족-서민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21 임기환, "동아시아의 역사" 동북아역사재단 2011

      22 동북아역사재단,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23 김택민,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24 손승철, "동아시아사" 교학사 2012

      25 동아시아교육과정시안개발정책위원회, "동아시아개정시안연구결과보고서" 국사편찬위원회 2011

      26 김창석,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 - 제언과 모색" 동북아역사재단 2010

      27 이익주,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 동북아역사재단 2010

      28 김준엽선생기념서편찬위원회,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아연출판사 2011

      29 안병우, "농업생산력의 발전과 소농경영, In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30 유소민, "기후의 반역-기후를 통해 본 중국의 흥망사" 성균관대학교 출판사 2005

      31 김병준, "국가의 성립과 발전, In 동아시아의 역사 Ⅰ: 자연환경-국제관계" 동북아역사재단 2011

      32 김병준, "국가의 성립과 발전, In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33 안병우,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천재교육 2012

      34 정연, "고등학교 <동아시아사>의 성격과 체계" 동북아역사재단 (19) : 7-34, 2008

      35 김택민, "고대 동아시아의 구조, In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아연출판사 2011

      36 현명철, "각국의 독자적 전통, In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37 조영헌,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은 유통과 교역망’ - 주제의 설정과 그 의미 -" 동북아역사재단 (39) : 141-182, 2013

      38 정연,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한국사서술검토 -대단원Ⅰ, Ⅱ를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14) : 245-275, 2011

      39 이기동, "8세기 동아시아 역사상" 동북아역사재단 2011

      40 김택민, "7-9세기 동아시아의 경제교류와 문화교류" 역사학연구회 (70) : 85-118, 2010

      41 국사편찬위원회, "2011 역사 교육과정 개정(안) 공청회"

      42 신성곤, "10세기 이전 동아시아의 기후 변화와 인구 이동"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8) : 299-334,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