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다함, "麗末鮮初의 동아시아 질서와 朝鮮에서의 漢語, 漢吏文, 訓民正音" 고려사학회 (36) : 269-305, 2009
2 강길운, "훈민정음창제의 당초목적에 대하여" (55-57) : 1-21, 1972
3 쩌우티투튀,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론적 대조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4 마숙향, "중세한국한자음에 반영된 중고한음의 개음" 이화여자대학교 2003
5 이근우, "왕인의 『천자문』『논어』일본 전수설 재검토" 역사문제연구소 69 (69): 191-217, 2004
6 김민수, "신국어학사" 일조각 1984
7 이숭녕, "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특히 운서 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1-2) : 29-83, 1958
8 찐 칵 마인, "베트남 쯔놈(Chu Nom: 字喃)과 베트남에서 쯔놈 문헌의 보관과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4) : 89-102, 2009
9 야나부 아키라, "번역어성립사정" 일빛 2003
10 마루야마 마사오, "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 2000
1 정다함, "麗末鮮初의 동아시아 질서와 朝鮮에서의 漢語, 漢吏文, 訓民正音" 고려사학회 (36) : 269-305, 2009
2 강길운, "훈민정음창제의 당초목적에 대하여" (55-57) : 1-21, 1972
3 쩌우티투튀,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론적 대조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4 마숙향, "중세한국한자음에 반영된 중고한음의 개음" 이화여자대학교 2003
5 이근우, "왕인의 『천자문』『논어』일본 전수설 재검토" 역사문제연구소 69 (69): 191-217, 2004
6 김민수, "신국어학사" 일조각 1984
7 이숭녕, "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특히 운서 편찬과 훈민정음 제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1-2) : 29-83, 1958
8 찐 칵 마인, "베트남 쯔놈(Chu Nom: 字喃)과 베트남에서 쯔놈 문헌의 보관과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4) : 89-102, 2009
9 야나부 아키라, "번역어성립사정" 일빛 2003
10 마루야마 마사오, "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 2000
11 한형조, "동양철학은 왜 이리 어려운가? 어디로 길을 뚫어야 할까?" 한국학중앙연구원 26 (26): 53-80, 2003
12 라이샤워·페어뱅크, "동양문화사 상" 을유문화사 1964
13 이동림, "동국정운 초성 자모 23자의 책정과 그 해석" 23 : 1990
14 윤용구, "낙랑 대방지역 신발견 문자자료와 연구동향" 한국고대사학회 (57) : 49-79, 2010
15 노중국,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한국고대사 연구 과제와 몇 가지 재해석" 한국고대사학회 (57) : 5-44, 2010
16 이경구, "개념의 번역과 창조" 돌베개 2012
17 한국고대사연구소, "譯註韓國古代金石文 1-3"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18 高島俊男, "漢字と日本人" 文藝春秋 2001
19 葛城末治, "朝鮮金石總覽" 朝鮮總督府 1919
20 "朝鮮王朝實錄"
21 西嶋定生, "日本歷史の國際環境" 東京大學出版會 1985
22 이근우, "日本書紀에 보이는 五經博士와 吳音" 일본사학회 (31) : 5-31, 2010
23 沖森卓也, "日本古代の文字と表記" 吉川弘文館 2009
24 조세현, "『萬國公法』에 나타난 해양관련 국제법" 부산경남사학회 (80) : 111-144, 2011
25 김희경, "A Comparative Study of the Lexicon of Chinese Character in East Asia : For the lexicon of Chinese Character of Japanese(JC), Vietnamese(VC) and Korean(KC)" 이중언어학회 (38) : 149-184, 2008
26 이예지, "1880년대 天津海關을 통해 본 朝淸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