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류연산, "혈연의 강들(하)" 연변인민출판사 1999
2 강덕상, "현대사자료 27" 1970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1" 1983
4 이학래, "한국근대체육사" 지식산업사 1994
5 손환, "한국 최초의 운동회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8 (48): 15-23, 2009
6 이학래, "한국 근대체육의 연구" 지식산업사 1990
7 이동진, "표상으로서의 스포츠: ‘조만대항경기대회’를 사례로" 4 : 2006
8 강준만, "축구는 한국이다-한국축구 124년사" 인물과사상사 2006
9 북경대학조선문화연구소, "체육사" 민족출판사 1998
10 리홍준, "청말 조선인이 꾸린 사립학교(6): 반일민족교육의 선봉 명동학교, In 연변문사교육사료전집 5, In 間島史新論-선구자와 ‘친일파’들과의 싸움(1869~1945)" 우리들의편지사 1993
1 류연산, "혈연의 강들(하)" 연변인민출판사 1999
2 강덕상, "현대사자료 27" 1970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1" 1983
4 이학래, "한국근대체육사" 지식산업사 1994
5 손환, "한국 최초의 운동회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8 (48): 15-23, 2009
6 이학래, "한국 근대체육의 연구" 지식산업사 1990
7 이동진, "표상으로서의 스포츠: ‘조만대항경기대회’를 사례로" 4 : 2006
8 강준만, "축구는 한국이다-한국축구 124년사" 인물과사상사 2006
9 북경대학조선문화연구소, "체육사" 민족출판사 1998
10 리홍준, "청말 조선인이 꾸린 사립학교(6): 반일민족교육의 선봉 명동학교, In 연변문사교육사료전집 5, In 間島史新論-선구자와 ‘친일파’들과의 싸움(1869~1945)" 우리들의편지사 1993
11 김광희, "청말 조선인이 꾸린 사립학교(5): 창동학교의 지난날을 그리며, In 연변문사자료 5 교육사료전집, In 間島史新論-선구자와 ‘친일파’들과의싸움(1869~1945)" 우리들의편지사 1993
12 리봉구, "청말 조선인이 꾸린 사립학교(2): 동신학교 35년, In 연변문사자료 5 교육사료전집, In 間島史新論-선구자와 ‘친일파’들과의 싸움(1869~1945)" 우리들의편지사 1993
13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중국조선족학교지"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
14 중국조선족교육사 집필소조, "중국조선족교육사"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1
15 허청선, "중국조선민족교육사료집 1" 연변교육출판사 2002
16 손춘일, "중국 조선족 민족과정과 간민회, In 북간도지역 한인 민족운동: 명동학교 100주년 기념" 독립운동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17 박혁우, "중국 연변조선족 자치주 체육활동의 역사와 현황" 대경 1996
18 플라마, "중국 ‘축구의 고장(足球之鄕)’ 연변을 아십니까?"
19 이영미, "재만조선인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 강경애 재론" 한중인문학회 (32) : 43-70, 2011
20 강종학, "일제강점기 중국 조선족의 체육활동" 한국체육사학회 17 (17): 137-151, 2012
21 김경춘, "일제강점기 간도 체육 및 스포츠 변천과정 -《간도신보》의 기사분석을 중심으로(1925-1937년)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0 (20): 865-876, 2009
22 김경미, "을미의숙 성격 규명에 관한 소고" 20 : 1998
23 오성철, "운동회의 기억: 해방이후 초등학교 운동회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2 (12): 197-218, 2011
24 요시미 순야, "운동회: 근대의 신체" 논형 2007
25 이상철, "열린 세계를 가진 나그네" 기독교장로회출판사 2010
26 연변조선족축구운동사편사조, "연변조선족축구운동사"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2
27 연변민족교육연구소교육사연구실, "연변조선족 교육사" 논장 1989
28 최인진, "손기정 남승룡 가슴의 일장기를 지우다" 신구문화사 2006
29 최봉룡, "북간도 간민회의 조직과 활동 및 성격, In 북간도지역 한인 민족운동:명동학교 100주년 기념" 독립운동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30 이규태, "배짱의 한국인" 기린원 1987
31 이동진, "민족과 국민 사이: 1940년의 체육행사에서 나타나는 만주국, 조선인, 공동체" 1 : 2004
32 리진, "민국초기 관립학교(2): ‘5·4운동’ 이전의 연길교육, In 연변문사교육사료전집 5, In 間島史新論-선구자와 ‘친일파’들과의 싸움(1869~1945)" 우리들의편지사 1993
33 오재인, "미주 땅에 뒹구는 한국인 축구" 미국 로스앤젤레스 한인축구협회 1992
34 대한체육회, "대한체육회사" 1965
35 손기정, "나의 조국 나의 마라톤" 한국일보출판국 1983
36 이동진, "기억 속의 新京 朝鮮人―기억과 정치 사이" 대동문화연구원 (60) : 393-429, 2007
37 설갑석, "근대학교체육의 특성 연구: 민족체육을 중심으로" 29 (29): 1990
38 김성학, "근대 학교운동회의 탄생: 화류에서 훈련과 경쟁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1 (31): 57-94, 2009
39 김성학, "근대 학교운동회 팽창: 그 실태와 동인" 한국교육사학회 33 (33): 1-46, 2011
40 이충삼, "국내 축구도입시기와 전개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3 (13): 3-13, 2004
41 윤경헌, "국기축구 그 찬란한 아침" 서울올림픽기념 국민체육진흥공단 1997
42 최덕수, "개항과 조일관계"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43 이상경, "강경애 전집" 소명출판 1999
44 박주신, "간도한인의 민족교육운동사" 아세아문화사 2000
45 "間島新報"
46 吉見俊哉, "運動會の思想-明治日本と祝祭文化" 11 : 1994
47 이태웅, "舊韓末「 最初 運動會」에 대한 異說" 한국체육학회 44 (44): 33-43, 2005
48 김윤식, "續陰晴史" 한국사학회 1960
49 "盛京時報"
50 "滿鮮日報"
51 滿洲帝國政府, "滿洲建國十年史" 原書房 1965
52 "每日申報"
53 張洗星, "大連足球運動史話" (1) : 2001
54 朱元寶, "大連足球運動史料" 大連市總工會印刷廠 1992
55 "在滿朝鮮人通信"
56 中村敏雄, "スポ-ツナショナリズム" 大修館書店 1978
57 전갑생, "‘황군 양성소’로 변질된 만주 조선인 동광학교"
58 竹中憲一, "‘滿洲’における敎育の基礎的硏究 5: 朝鮮人敎育" 柏書房 2000
59 滿洲國’敎育史硏究會, "‘滿洲· 滿洲國’敎育資料集成 12: 少數民族敎育" エムテイ出版 1983
60 Zheng, Tiantian, "Embodied Masculinity: Sex and Sport in a (Post) Colonial Chinese City" 190 : 2007
61 정예지, "1910년대 북간도 조선인학교의 연합운동회" 만주학회 (12) : 131-158,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