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커의 신화학을 통해 20세기 후반 중국신화학의 주요 쟁점과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주제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 위안커(袁珂)의 광의신화론(廣義神話論...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7484
-
2012년
Korean
중국신화학 ; Chinese Myths and Legends ; Late 20th-Century ; Mythlogy in a broad sense ; Chinese Mythology Discourse ; Yuan Ke ; Compiliation of Chinese Myths ; Commentary of Shan-Hai-Jing ; Manufature ; Criticism ; Encyclopedia of Chinese Mythology ; Shan-Hai-Jing ; Speech Act ; 중국신화 ; 위안커 ; 원가 ; 산해경 ; 마오둔 ; 신화중국 ; 중국신화사 ; 광의신화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위안커의 신화학을 통해 20세기 후반 중국신화학의 주요 쟁점과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주제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 위안커(袁珂)의 광의신화론(廣義神話論...
위안커의 신화학을 통해 20세기 후반 중국신화학의 주요 쟁점과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주제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 위안커(袁珂)의 광의신화론(廣義神話論)과 1980년대 중국신화 대토론
1980년대는 ‘신화열’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중국신화의 범위와 특징, 신화의 요소와 장르적 특성 등에 관한 격렬한 토론이 이루어졌던 시기이다. 약 10년간에 걸친 이 ‘중국신화 대토론’의 도화선이 되었던 것은 20세기 중국 최고의 신화학자인 ‘위안커’의 ‘광의신화론’이었다. 위안커는 중국신화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신화의 발생 시기에 있어서 상한선을 끌어올리고, 하한선을 없앴으며, 동화·우언·선화·불화·역사고사·민담 및 이후의 전적들에 이르기까지 ‘신화’라는 이름으로 장르의 경계 넘나들기를 감행했다. 또한 오늘날에도 신화가 계속 생겨난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에 대해 당시 마르크스주의적 신화이론을 1차적 근거로 삼던 중국의 신화학자들은, ‘신화는 원시시대에 생겨나고 원시시대가 끝나면 사라진다’는 마르크스의 언급을 강령으로 삼아 ‘협의신화론’으로 맞섰다. 하지만 근 10년에 걸쳐 펼쳐진 이 대토론은 1990년대가 되어 아무런 합의나 결론을 내지 않은 채 중단되어버렸고, 중국신화학계는 이후 암묵적 동의라도 한 듯이 더 이상 ‘광의신화론’에 대해 문제 삼지 않고 있다. 한편으로는 광의신화론에 입각한 위안커의 ‘중국신화’ 서적들이, 다른 한편으로는 협의신화론에 입각한 다른 학자들의 ‘중국신화’ 서적들이 동시에 출판되고 있다.
이런 기이한 현상의 원인은 무엇보다도 그것은 중국신화를 그리스신화처럼 풍부하고 아름답게 만들고자 했던 중국신화학자들의 오랜 열망과 마르크스주의적 혁명성에 대한 열망의 충돌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중국’이라는 이념과 ‘마르크스’라는 이념이 부딪혔을 때 중국학자들로서는 어느 한쪽도 부정할 수 없었던 것이다.
2) 광의신화론에서 광의신화학으로 : 위안커의 신화개념 확장과 중국신화학의 현재
위안커는 <중국고대신화>부터 <중국신화전설>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일찌감치 중국 신화가 전설이나 선화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이미 전설과 설화까지도 자료 수집 범위에 포함시키고 있었다. 이 두 번의 확장은 인식의 확장이라기보다 점차 수집한 자료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신화’에서 ‘신화전설’로, 다시 ‘신화사’로의 전환은 신화인식의 변화나 ‘광의신화론’을 향한 도약이라기보다 “중국신화는 집대성된 적이 없다”고 탄식한 20세기 전반 중국신화연구의 선구자 마오둔(茅盾)에 바치는 헌신이었다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Chinese Mythology in late 20th century by examining mythological works of Yuan Ke. 1) Conclusion Unreached : Debate on Chinese Mythology in 1980s. There was a heated debate in the 1980s China to determine the range and c...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Chinese Mythology in late 20th century by examining mythological works of Yuan Ke.
1) Conclusion Unreached : Debate on Chinese Mythology in 1980s.
There was a heated debate in the 1980s China to determine the range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mythology and discern what could be the mythological elements or features that defined mythology as a genre. It could even be said that China had a fever for mythology at the time. This ‘great debate over Chinese mythology’ that continued on for nearly a decade was incited by the most renowned scholar of Chinese mythology in the twentieth century, Yuanke (袁珂). He proposed the broad definition of mythology which disrupted the existing classification of mythology and lifted the time limit within which mythology was created, hence, argued that mythology was still being created.
The Chinese mythologists, who based their ideas on Marxist theory as their principal source, contested Yuanke’s argument with the narrow definition of mythology, using one of Marx’s comments on mythology that it was created in the primitive and disappeared with the primitive age. However, this debate which went on for nearly ten years came to an abrupt halt in the 1990s without reaching any kind of agreement or conclusion. As if the op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