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대장내시경 검사 중 발생한 대장천공의 보존적 치료 = Conservative Treat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4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Colonoscopic perforation can be treated by both operative or non-operative methods. Non-operative management, and especially conservative management, may be appropriate for selected individuals. We want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performing conservative management for treating colonoscopic perforation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colonoscopic perforation cases that occurred in the recent 5 yrs. 11 cases of perforation occurred from among 8,536 colonoscopic procedures. Results: Ten cases occurred from a therapeutic procedure (five from polypectomy and another five occurred from a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and one case occurred from a diagnostic procedure. The perforation sites were the ascending colon (three cases), transverse colon (two cases), descending colon (one case), sigmoid colon (two cases), and rectum (three cases). There were five intraperitoneal perforations and five retroperitoneal perforations. All the cases were detected within 12 hours and all the cases had received good bowel preparation. 10 cases were managed conservatively (nothing by mouth, broad spectrum antibiotics and, Levin tube suction). One case was managed by an operative procedure due to the large size of the defect and the patient's wish. All the patients recovered without complications. The mean hospital stay was 9.5 days. Conclusions: Colonoscopic perforation can managed conservatively in selected cases, such as for those cases that will undergo post-therapeutic colonoscopy and those cases that have undergone good bowel prepara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20-25)
      번역하기

      Background/Aims: Colonoscopic perforation can be treated by both operative or non-operative methods. Non-operative management, and especially conservative management, may be appropriate for selected individuals. We want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p...

      Background/Aims: Colonoscopic perforation can be treated by both operative or non-operative methods. Non-operative management, and especially conservative management, may be appropriate for selected individuals. We want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performing conservative management for treating colonoscopic perforation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colonoscopic perforation cases that occurred in the recent 5 yrs. 11 cases of perforation occurred from among 8,536 colonoscopic procedures. Results: Ten cases occurred from a therapeutic procedure (five from polypectomy and another five occurred from a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and one case occurred from a diagnostic procedure. The perforation sites were the ascending colon (three cases), transverse colon (two cases), descending colon (one case), sigmoid colon (two cases), and rectum (three cases). There were five intraperitoneal perforations and five retroperitoneal perforations. All the cases were detected within 12 hours and all the cases had received good bowel preparation. 10 cases were managed conservatively (nothing by mouth, broad spectrum antibiotics and, Levin tube suction). One case was managed by an operative procedure due to the large size of the defect and the patient's wish. All the patients recovered without complications. The mean hospital stay was 9.5 days. Conclusions: Colonoscopic perforation can managed conservatively in selected cases, such as for those cases that will undergo post-therapeutic colonoscopy and those cases that have undergone good bowel prepara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20-2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대장내시경술은 대장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써 최근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합병증의 발생 빈도도 증가하게 되었는데, 이 중 대장천공은 매우 중대하고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합병증이다. 대장천공에 대한 치료는 보편적으로 수술적 방법을 선호해 왔으나 최근에는 많은 경우에 보존적 치료로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대장내시경 검사 중 발생한 대장천공에 대한 보존적 치료의 효과와 안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05년 12월까지 예수병원 소화기병 센터에서 시행된 8,536예의 대장내시경 시술 중 발생한 대장천공 11예에 대하여 임상기록에 의한 임상 양상, 진단, 치료 및 결과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8,536예의 대장내시경술 중 진단내시경술은 총 6,450회였고 치료내시경술은 2,086회였다. 치료내시경술의 종류로는 용종절제술이 2,050회, 내시경 점막하 절개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이 36회였다. 총 11예의 천공이 발생하였고(0.12%), 이 중 진단내시경술에 의한 천공은 1예(0.015%), 치료내시경술에 의해서는 10예(0.48%)가 발생하였다. 천공이 발생한 치료내시경 시술은 용종절제술 5예(0.24%), ESD 5예(13.8%)로 ESD가 유의하게 높았다(p-value<0.001). 천공의 위치는 상행결장 3예, 횡행결장 2예, 하행결장 1예, 에스결장 2예, 직장 3예였고 복막내천공이 6예, 후복막천공이 5예였다. 진단내시경 시술에 의한 천공은 에스결장에서 발생하였다. 4예는 천공 즉시 진단되었고, 5예에서 3시간 이내, 2예에서 12시간 이내에 진단되었다. 모든 예에서 수술을 필요로 하는 대장의 기저질환은 없었다. 천공이 발생한 11예 중 10예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보존적 치료로는 금식, 광범위 항생제 투여와 정맥 내 수액공급을 실시하였고, 5예에서 보존적 치료와 함께 대장내시경을 이용한 clipping을 실시하였는데 시술 도중 천공이 확인된 4예 중 3예와 시술 후 천공이 확인되어 추가 대장내시경술을 실시한 3예 중 천공부위가 확인된 2예에서 실시되었다. 1예는 천공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clipping이 불가능하였으며 환자가 원하여 수술을 실행하였다 . 모든 예에서 추가 합병증 없이 평균 10일 후 퇴원하였다. 결론: 대장내시경에 의한 천공의 치료로써 보존적 치료는 많은 환자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이다. 특히 치료내시경술 후 발생, 좋은 장 정결상태, 천공 후 조기발견, 후복막천공, 수술을 요구하는 대장의 기저질환이 없는 경우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겠다.
      번역하기

      목적: 대장내시경술은 대장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써 최근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합병증의 발생 빈도도 증가하게 되었는데, 이 중 대장천공은 ...

      목적: 대장내시경술은 대장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써 최근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합병증의 발생 빈도도 증가하게 되었는데, 이 중 대장천공은 매우 중대하고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합병증이다. 대장천공에 대한 치료는 보편적으로 수술적 방법을 선호해 왔으나 최근에는 많은 경우에 보존적 치료로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대장내시경 검사 중 발생한 대장천공에 대한 보존적 치료의 효과와 안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05년 12월까지 예수병원 소화기병 센터에서 시행된 8,536예의 대장내시경 시술 중 발생한 대장천공 11예에 대하여 임상기록에 의한 임상 양상, 진단, 치료 및 결과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8,536예의 대장내시경술 중 진단내시경술은 총 6,450회였고 치료내시경술은 2,086회였다. 치료내시경술의 종류로는 용종절제술이 2,050회, 내시경 점막하 절개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이 36회였다. 총 11예의 천공이 발생하였고(0.12%), 이 중 진단내시경술에 의한 천공은 1예(0.015%), 치료내시경술에 의해서는 10예(0.48%)가 발생하였다. 천공이 발생한 치료내시경 시술은 용종절제술 5예(0.24%), ESD 5예(13.8%)로 ESD가 유의하게 높았다(p-value<0.001). 천공의 위치는 상행결장 3예, 횡행결장 2예, 하행결장 1예, 에스결장 2예, 직장 3예였고 복막내천공이 6예, 후복막천공이 5예였다. 진단내시경 시술에 의한 천공은 에스결장에서 발생하였다. 4예는 천공 즉시 진단되었고, 5예에서 3시간 이내, 2예에서 12시간 이내에 진단되었다. 모든 예에서 수술을 필요로 하는 대장의 기저질환은 없었다. 천공이 발생한 11예 중 10예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보존적 치료로는 금식, 광범위 항생제 투여와 정맥 내 수액공급을 실시하였고, 5예에서 보존적 치료와 함께 대장내시경을 이용한 clipping을 실시하였는데 시술 도중 천공이 확인된 4예 중 3예와 시술 후 천공이 확인되어 추가 대장내시경술을 실시한 3예 중 천공부위가 확인된 2예에서 실시되었다. 1예는 천공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clipping이 불가능하였으며 환자가 원하여 수술을 실행하였다 . 모든 예에서 추가 합병증 없이 평균 10일 후 퇴원하였다. 결론: 대장내시경에 의한 천공의 치료로써 보존적 치료는 많은 환자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이다. 특히 치료내시경술 후 발생, 좋은 장 정결상태, 천공 후 조기발견, 후복막천공, 수술을 요구하는 대장의 기저질환이 없는 경우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elective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s" 179 : 333-337, 1994

      2 "Management of iatrogenic perforation" 32 : 1289-1309, 2003

      3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s" 72 : 729-733, 1997

      4 "Laparoscopic repair of perforation of the colon during colonoscopy" 40 : 496-497, 1994

      5 "Laparoscopic repair of a colonic perforation sustained during colonoscopy" 10 : 352-353, 1996

      6 "Iatrogenic perforation of the colon during diagnostic colonoscopy" 54 : 258-259, 2001

      7 "Conservative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 can be misleading" 30 : 790-792, 1998

      8 "Complications of colonoscopy and polypectomy" 62 : 889-896, 1982

      9 "Complications in endoscopy of the lower gastrointestinal tract.Therapy and prognosis" 8 : 672-676, 1994

      10 "Complication of colonoscopic polypectomy" 21 : 917-923, 2000

      1 "Selective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s" 179 : 333-337, 1994

      2 "Management of iatrogenic perforation" 32 : 1289-1309, 2003

      3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s" 72 : 729-733, 1997

      4 "Laparoscopic repair of perforation of the colon during colonoscopy" 40 : 496-497, 1994

      5 "Laparoscopic repair of a colonic perforation sustained during colonoscopy" 10 : 352-353, 1996

      6 "Iatrogenic perforation of the colon during diagnostic colonoscopy" 54 : 258-259, 2001

      7 "Conservative manage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 can be misleading" 30 : 790-792, 1998

      8 "Complications of colonoscopy and polypectomy" 62 : 889-896, 1982

      9 "Complications in endoscopy of the lower gastrointestinal tract.Therapy and prognosis" 8 : 672-676, 1994

      10 "Complication of colonoscopic polypectomy" 21 : 917-923, 2000

      11 "Colonoscopic perforations" 39 : 1308-1314, 1996

      12 "Colonoscopic perforation and bleeding of the colon can be treated safely without surgery" 70 : 922-924, 2004

      13 "Colonic perforation due to colonoscopy" 29 : 160-164, 1997

      14 "Colon perforation during colonoscopy:surgical versus conservative management" 78 : 542-544, 1991

      15 "Colon and rectum" WB Saunders 929-931, 2001

      16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iatrogenic colon perforations" 172 : 454-458, 1996

      17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iatrogenic colon perforations" 172 : 454-457, 1996

      18 "A case of successful endoscopic therapy in iatrogenic perforation of the colon during colonoscopy" 29 : 213-216, 2004

      19 "A case of successful endoscopic therapy in delayed diagnosed perforation after endoscopic colon polypectomy" 23 : 240-244,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