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장애인 고용확대 방안 = A Study on Promotion of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Publication, Movie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dust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in publication, movie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dustries to other industries, and to suggest a policy to improve employment in those industries.
      The sample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1,579 businesses companies who hir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ata came from the '2010 Business Disabled Employee Status Study' of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t-tests, Chi-square 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ur industries and others.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dustries in employee recruitment and management. But, awareness of employee with disability has no difference in two indust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dustr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in publication, movie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dustries to other industries, and to suggest a policy to improve employment in those industries. The sample of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in publication, movie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dustries to other industries, and to suggest a policy to improve employment in those industries.
      The sample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1,579 businesses companies who hir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ata came from the '2010 Business Disabled Employee Status Study' of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t-tests, Chi-square 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ur industries and others.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dustries in employee recruitment and management. But, awareness of employee with disability has no difference in two indust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dus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분야의 장애인 고용과 관련된 특성을 다른 산업 분야와 비교 분석하여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장애인 고용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 기업체 장애인고용 실태조사’ 중 장애인 고용 기업체 1,579개의 자료를 대상으로 재분석 하였다.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과 타 산업의 장애인 고용 관련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 검정,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은 타 업종 대비 장애인 채용에 어려움을 더 크게 느끼며, 채용 시 경력을 중시하고, 채용 시 인력 수요 부서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채용 분야는 전문가이고 장애인에 대한 사전 지식의 부족이 장애인 노무관리에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은 업종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장애인 고용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현황과 인력 수요,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 수집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에 특화된 채용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 셋째, 숙련된 전문가 위주의 인력 양성 및 직업훈련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분야의 장애인 고용과 관련된 특성을 다른 산업 분야와 비교 분석하여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장애인 고용 확대 ...

      본 연구의 목적은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분야의 장애인 고용과 관련된 특성을 다른 산업 분야와 비교 분석하여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장애인 고용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 기업체 장애인고용 실태조사’ 중 장애인 고용 기업체 1,579개의 자료를 대상으로 재분석 하였다.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과 타 산업의 장애인 고용 관련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 검정,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은 타 업종 대비 장애인 채용에 어려움을 더 크게 느끼며, 채용 시 경력을 중시하고, 채용 시 인력 수요 부서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채용 분야는 전문가이고 장애인에 대한 사전 지식의 부족이 장애인 노무관리에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은 업종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장애인 고용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현황과 인력 수요,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 수집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에 특화된 채용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 셋째, 숙련된 전문가 위주의 인력 양성 및 직업훈련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영, "한국의 e-Business 환경에서 장애인 직업재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31-59, 2003

      2 박경혜, "한국 IT융합 신산업 역량강화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47-154, 2012

      3 통계청,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표준산업분류"

      4 노시춘, "지식창출형 콘텐츠 기반 창조산업 육성방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47-53, 2012

      5 육주혜, "정보기술분야에 장애인의 취업과 고용유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4 (44): 79-100, 2005

      6 육주혜,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과 노동시장 연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3

      7 이효성, "정보기술분야 인력수급전망 : 2002 직업능력개발 workshop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의 발전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2

      8 육주혜, "정보기술분야 유망직종 사업체와 장애인근로자 실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255-280, 2003

      9 이을터, "우리나라의 정치경제적 환경과 고용관계시스템 변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국경영사학회 25 (25): 207-242, 2010

      10 박재민, "우리나라 산업의 숙련수요와 고용구조 변화: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그리고 수요변화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학회 16 (16): 33-63, 2009

      1 노영, "한국의 e-Business 환경에서 장애인 직업재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31-59, 2003

      2 박경혜, "한국 IT융합 신산업 역량강화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47-154, 2012

      3 통계청,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표준산업분류"

      4 노시춘, "지식창출형 콘텐츠 기반 창조산업 육성방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47-53, 2012

      5 육주혜, "정보기술분야에 장애인의 취업과 고용유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4 (44): 79-100, 2005

      6 육주혜,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과 노동시장 연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3

      7 이효성, "정보기술분야 인력수급전망 : 2002 직업능력개발 workshop 정보기술분야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의 발전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2

      8 육주혜, "정보기술분야 유망직종 사업체와 장애인근로자 실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255-280, 2003

      9 이을터, "우리나라의 정치경제적 환경과 고용관계시스템 변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국경영사학회 25 (25): 207-242, 2010

      10 박재민, "우리나라 산업의 숙련수요와 고용구조 변화: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그리고 수요변화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학회 16 (16): 33-63, 2009

      11 김진웅, "산업구조변화의 결정요인 분석 - ICT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학회 23 : 5-30, 2008

      12 김창완, "방송통신인력 시장분석을 통한 방송통신분야 인력 양성 제시" 방송통신위원회 2011

      13 전범수, "방송 · 통신 융합에 따른 시장, 산업의 변화" 한국방송학회 (58) : 87-113, 2004

      14 한학수,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특징 : 그 패러다임과 정책 방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455-461, 2012

      15 Machin, S., "The changing nature of labor demand in the new economy and skill-based technology change" 109 (109): 753-776, 2001

      16 Bruy'ere, S. M., "Information technology accessibility : Implications for employment of people of with disabilities" 27 : 397-405, 2006

      17 Hur, J. J.,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iffusion and skill upgrading in Korean industries" 14 (14): 553-571, 2005

      18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T전문인력 수요실태조사" 2007

      1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T전문인력 수급차 분석 및 전망연구" 2007

      20 이경남, "ICT 인력 고용 현황 및 시사점" 24 (24): 1-30, 2012

      21 Thoeing, A., "A theory of defensive skill-based innovation and globalization" 93 (93): 709-728, 2003

      22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2 상반기 SW산업 동향"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2

      23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콘텐츠 산업통계"

      24 지식경제부, "2011 정보통신산업의 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2011

      25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장애인통계"

      26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1 장애인 고용계획 및 실시상황보고" 2012

      27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11 방송통신산업 통계연보"

      28 고용노동부, "2011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29 임미화, "2010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30 변민수, "2010년 기업체 장애인고용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06 1.62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