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에 관한 일 고찰 = The Analysi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4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Korea by comparing Japanese policy to resolution of Korean policy. Two countries share similar culture as well as disability related legal policy and the system. Both countries basically practice disability types and disability ratings system in service deliveries.
      This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the philosophy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Japan for the severely disabled. Mainly, its ideological change, details of the support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severely disabled, the delivery system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severely disabled, and the human resources supporting the system.
      The research results discovered the following.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Japan for the severely disabled has advanced under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volving the UN and ILO. The basi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as influenced by normalization paradigm. Theref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Japan is practiced in community based services.
      The difference from Korea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s customized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better services deliveries. The services are planed in accordance with disability types and degrees, and vocational training is systemized according to their competence. Even further, the role, function, and coordin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have been promoted to support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addition,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and vitalize the employment services, rehabilitation specialist support and provide instruction to companies hir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Recently,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disability rating system Japan has been utilizing individualized assessment criteria to better support necessary services.
      To enumerate the merit of Japanese system, it is necessity to consider the different disability types and functional limitation to support vocational rehabilitation delivery system in Korea. The consideration of supporting system for companies hir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reviewed and remedy of any shortcom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Korea by comparing Japanese policy to resolution of Korean policy. Two countries share similar culture as well as disability related legal policy and the system. Both countri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Korea by comparing Japanese policy to resolution of Korean policy. Two countries share similar culture as well as disability related legal policy and the system. Both countries basically practice disability types and disability ratings system in service deliveries.
      This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the philosophy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Japan for the severely disabled. Mainly, its ideological change, details of the support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severely disabled, the delivery system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severely disabled, and the human resources supporting the system.
      The research results discovered the following.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Japan for the severely disabled has advanced under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volving the UN and ILO. The basi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as influenced by normalization paradigm. Theref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Japan is practiced in community based services.
      The difference from Korea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s customized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better services deliveries. The services are planed in accordance with disability types and degrees, and vocational training is systemized according to their competence. Even further, the role, function, and coordin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have been promoted to support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addition,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and vitalize the employment services, rehabilitation specialist support and provide instruction to companies hir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Recently,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disability rating system Japan has been utilizing individualized assessment criteria to better support necessary services.
      To enumerate the merit of Japanese system, it is necessity to consider the different disability types and functional limitation to support vocational rehabilitation delivery system in Korea. The consideration of supporting system for companies hir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reviewed and remedy of any shortcom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번 연구는 동양 문화권으로 장애유형과 장애등급이 존재하고, 법률체계가 유사한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을 고찰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직업재활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내용은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의 변화과정,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의 지원내용,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을 위한 전달체계, 지원인력 등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은 UN과 ILO와 같은 국제기구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하였으며 “노말라이제이션” 이념과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기반으로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추진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와의 차이를 정리하면,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은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에 따라 지원인력의 종류가 다르고 중증의 경우 지원시기도 최대 10년까지 지원하며 취업을 위해 생활부분까지 병행해 지원하고 있다. 또, 장애인의 능력에 따라 단계적으로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직업재활기관의 역할과 기능 및 연계가 법제화되어 있어 있으며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더불어 장애인 고용사업체에 대한 지원과 지도를 병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을 위한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고 중증장애의 범위를 기존 장애등급은 물론 장애구분인정조사 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정의,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을 통해 우리나라는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에 대해 효율성과 효과성을 논의하기에 앞서 장애유형이나 장애정도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고, 그에 따른 충분한 지원과 체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 고용사업주에 대한 지도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번 연구는 동양 문화권으로 장애유형과 장애등급이 존재하고, 법률체계가 유사한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을 고찰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직업재활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

      이번 연구는 동양 문화권으로 장애유형과 장애등급이 존재하고, 법률체계가 유사한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을 고찰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직업재활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내용은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의 변화과정,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의 지원내용,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을 위한 전달체계, 지원인력 등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은 UN과 ILO와 같은 국제기구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하였으며 “노말라이제이션” 이념과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기반으로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추진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와의 차이를 정리하면,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은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에 따라 지원인력의 종류가 다르고 중증의 경우 지원시기도 최대 10년까지 지원하며 취업을 위해 생활부분까지 병행해 지원하고 있다. 또, 장애인의 능력에 따라 단계적으로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직업재활기관의 역할과 기능 및 연계가 법제화되어 있어 있으며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더불어 장애인 고용사업체에 대한 지원과 지도를 병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을 위한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고 중증장애의 범위를 기존 장애등급은 물론 장애구분인정조사 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정의,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을 통해 우리나라는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에 대해 효율성과 효과성을 논의하기에 앞서 장애유형이나 장애정도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고, 그에 따른 충분한 지원과 체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 고용사업주에 대한 지도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厚生労働省,

      2 한국장애인개발원,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수행기관 평가현황 분석 및 평가지표 연구" 2009

      3 한국장애인개발원,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2011

      4 独立行政法人高齢・障害・求職社雇用支援機構, "障害者雇用助成金のごあんない"

      5 厚生労働省, "障害者雇用促進制度における障害者の範囲等の在り方に関する研究会報告書" 2012

      6 厚生労働省, "障害者雇用促進のための3つの研究会報告書まとまる-障害者雇用対策の充実強化に向け て-, 職業安定局高齢・障害者雇用対策部障害者雇用対策課" 2007

      7 独立行政法人高齢・障害者雇用支援機構, "障害者雇用ガイドブック" 社団法人雇用問題研究会 2007

      8 "障害者自立支援法施行規則(2007年2月28日,厚生労働省令第19号)"

      9 "障害者自立支援法施行令(2008年8月3日,政令第235号)"

      10 "障害者自立支援法に基づく障害福祉サービス事業の設備及び運営に関する基準"

      1 厚生労働省,

      2 한국장애인개발원,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수행기관 평가현황 분석 및 평가지표 연구" 2009

      3 한국장애인개발원,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2011

      4 独立行政法人高齢・障害・求職社雇用支援機構, "障害者雇用助成金のごあんない"

      5 厚生労働省, "障害者雇用促進制度における障害者の範囲等の在り方に関する研究会報告書" 2012

      6 厚生労働省, "障害者雇用促進のための3つの研究会報告書まとまる-障害者雇用対策の充実強化に向け て-, 職業安定局高齢・障害者雇用対策部障害者雇用対策課" 2007

      7 独立行政法人高齢・障害者雇用支援機構, "障害者雇用ガイドブック" 社団法人雇用問題研究会 2007

      8 "障害者自立支援法施行規則(2007年2月28日,厚生労働省令第19号)"

      9 "障害者自立支援法施行令(2008年8月3日,政令第235号)"

      10 "障害者自立支援法に基づく障害福祉サービス事業の設備及び運営に関する基準"

      11 "障害者自立支援法に基づく指定障害福祉サービスの事業等の人員,設備及び運営に関する基準"

      12 "障害者自立支援法"

      13 障がい者制度改革精神会議, "障害者制度改革の推進のための基本的な方向" 2010

      14 "障害者の雇用の促進等に関する法律施行規則"

      15 "障害者の雇用の促進等に関する法律施行令"

      16 "障害者の雇用の促進等に関する法律(2011). 法律第七四号"

      17 障害者雇用問題研究会, "障害者の就業機会拡大をめざして,障害者雇用問題研究会報告書,職業安定局高齢" 2004

      18 厚生労働省, "障害者の就労支援に関する今後の施策の方向性, 障害者の就労支援に関する省内検討会, 厚生 労働省社会援護局障害保健福祉部障害福祉課" 2004

      19 国連, "障害者に関する世界行動計画" 1982

      20 荘村明彦, "障害程度区分認定ハンドブック" 中央法規 2011

      21 "障がい者制度改革推進本部の設置について("

      22 厚生労働省, "福祉施設, 特別支援学校における一般雇用に関する理解の促進等, 障害者福祉施策及び特別支 援教育施策との連携の一層強化について(職高発第0402003号)" 2007

      23 厚生労働省, "福祉, 教育等との連携による障害者の就労支援の推進に関する研究会報告書-ネットワーク の構築と就労支援の充実をめざして-, 福祉, 教育等との連携による障害者の就労支援の推進に関する 研究会, 職業安定局高齢・障害者雇用対策部障害者雇用対策課" 2007

      24 李美貞, "知的障害者の職業リハビリテーションにおける教育・福祉・労働分野の連携に関する韓日比較" 2009

      25 厚生労働省組織令, "政令第二百五十二号"

      26 内閣府本府組織令, "政令第一一七号"

      27 厚生労働省, "平成23年 障害者雇用状況の集計結果" 2011

      28 独立行政法人高齢・障害・求職社雇用支援機構, "就労移行支援のためのチェックリスト"

      29 総理府, "国連・障害者十年の記録" 1993

      30 厚生労働省組織規則, "厚生労働省令第一号"

      31 労働政策番議会障害者雇用分科会, "労働政策審議会意見書-今後の障害者雇用施策の充実強化について-. 職業安定局高齢" 2002

      32 内閣府本府組織規則, "内閣府令第三一号"

      33 障害者雇用問題研究会, "今後の障害者雇用施策について,障害者雇用問題研究会報告,厚生労働省職業安定局 高齢" 障害者雇用対策部障害者雇用対策課 2001

      34 厚生労働省, "今後の障害者雇用施策について, 障害者雇用問題研究会報告" 2001

      35 厚生省, "今後の障害保健福祉政策の在り方について(中間報告), 身体障害者福祉審議会, 中央児童福祉審議会 障害福祉部会, 公衆衛生審議会精神保健福祉部会合同企画分科会" 1997

      36 厚生省, "今後の障害保健福祉政策の在り方について" 1999

      37 精神博弱者雇用対策研究会, "今後の精神薄弱者雇用対策の在り方" 1985

      38 ILO, "R168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employment (disabled persons" 1983

      39 ILO, "C159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employment (disabled persons)" 1983

      40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16개 시・도 장애인복지・인권 비교연구"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06 1.62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