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와송(Orostachys japonicus)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 활성 =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와송에 함유된 phenol성 물질은 5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10.56±0.32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은 200 μg/mL phenolic농도에서 열수 ...

      와송에 함유된 phenol성 물질은 5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10.56±0.32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은 200 μg/mL phenolic농도에서 열수 추출물과 50% ethanol 추출물 모두 80.0% 이상으로 높은 효과가 확인되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에서 와송 열수와 50% ethanol 추출물 모두 95.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측정되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는 열수 추출물이 50% ethanol 추출물에 비해 높은 PF값을 나타내었으며,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저해효과는 50% ethanol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 보다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와송 추출물의 항고혈압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 μg/mL phenolic의 처리농도에서 열수와 50% ethanol 추출물이 각각 6.67%과 7.98%로 낮게 나타났다. 와송 추출물의 XOase 저해활성은 50% ethanol 추출물200 μg/mL phenolic 농도에서 60.8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tyrosinase 억제활성은 50% ethanol 추출물 200 μg/mL phenolic 농도에서 64.59%로 나타나 대조구인 kojic acid 보다 미백 효과가 더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주름 생성과 관련된 collagenase 억제효과는 50% ethanol 추출물의 50200 μg/mL phenolic 농도에서 75.9585.02%로 매우 우수하였으며, 대조구인 epigallocatechin-gallate의 68.9176.64% 보다 다소 높았다. Elastase저해활성도 50% ethanol 추출물 200 μg/mL phenolic 농도에서 최대 63.65%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와송 50% ethanol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통풍 억제효능, 미백 및 주름개선 등의 기능성 검증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와송 추출물을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의약품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as were investigated to assess anti-oxid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Phenolic content was maximum of 10.56±0.32 mg/g when extracted with 50% ethanol. In anti-oxidative activity, Orostachy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as were investigated to assess anti-oxid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Phenolic content was maximum of 10.56±0.32 mg/g when extracted with 50% ethanol. In anti-oxidative activity, Orostachys japonicus electric donating activity was higher than 80% in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 at 200 μg/m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of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95.0% but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of water extract was higher than ethanol extract.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of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water extract. For antihypertensive effect determination, angiotesin converting enzyme of water and ethanol extract showed 6.67 and 7.98% each at 200 μg/mL. Ethanol extract of 200 μg/mL showed xanthin oxidase inhibitory effect of 60.85% but was not shown with water extract. Orostachys japonicus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64.59% which was higher than kojic acid of control indicating higher whitening effect. In anti-wrinkle effect, ethanol extract at 50-200 μg/mL showed collagenase inhibitory effect of 75.95-85.02% which was higher than 68.91-76.64%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f control group. 50%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than water extract. Therefore, Orostachys japonicus extracts were identified to have high antiwrinkle effect. These results identify anti-oxidative activity, gout prevention, whitening effect, and anti-wrinkle effect which indicate the possibility as a source for functional materia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