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연방 상원의 포용적 이중성과 그 문제적 의의 = The U.S. Senate’s Inclusive Duality and Its Problematic Significan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다수의 지배가 팽배한 현대의 정치 문화에서, 소수의 목소리가 쉽게 다수를 압도하는 시스템을 지닌 독특한 입법 기관인 미국 연방 상원의 문제적 의의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려는 ...

      이 논문은 다수의 지배가 팽배한 현대의 정치 문화에서, 소수의 목소리가 쉽게 다수를 압도하는 시스템을 지닌 독특한 입법 기관인 미국 연방 상원의 문제적 의의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미국의 정치 구조의 형성 과정에서 상원이 자리매김한 방식을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그러면서 상원이 약 4세기에 걸친 미국 의회의 역사를 통해 식민지 상원의 무기력한 의존성을 극복하고 이를 다양한 갈등 세력을 포섭하며 타협을 주도하는 포용적 이중성을 지닌 연방 상원으로 발돋움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더 나아가 이 논문은 상원의 포용적 이중성이 발현되는 다양한 방식들, 즉 중앙집권 정부의 한 기관에서 구현되는 주의 동등성, 혼합정부 이론에서 유래된 엘리트적인 입법 심의 기관으로서의 상원의 위상을 뒷받침하는 무제한 자유 토론, 다양한 타협을 매개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견제와 균형의 권한들을 통해 정착하게 된 권력 분립 기관으로서의 상원, 소수의 목소리와 권익을 보호하려는 강한 의지를 반영하는 상원의 필리버스터 등을 조명하고, 상원이 결국 미국 역사에서 국가 팽창을 주도하는 중심에 서게 되는 경위를 조사한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상원의 포용적 이중성이 내포하는 문제적 의의, 즉 타협과 통합, 팽창, 그리고 필리버스터와 같은 상원의 특성들의 뒤안길에 놓인 노예제, 인종차별주의, 소수 특권층 재산 보호 등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궁극적으로 다수의 지배에 기초한 단원제 의회를 지닌 한국사회가, 미국 연방 상원의 정치 문화로부터 어떤 점을 버리고 취할 수 있을지를 전망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structural duality of the U.S. Senate. Tracing the 4-century long history of the U.S. legislature, my work tries to illuminate how colonial councils’ “helples[s] dependen[ce]” on the o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structural duality of the U.S. Senate. Tracing the 4-century long history of the U.S. legislature, my work tries to illuminate how colonial councils’ “helples[s] dependen[ce]” on the other government branches evolved into the federal upper house’s defining characteristic-its inclusive duality. This distinctive feature was first conceived, based on the theories of the mixed government and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became formulated in the heated debates of the 1787 Constitutional Convention. The Senate’s institutional development realized its inclusive duality in various forms: equal state representation in one branch of a strong central government; checks and balances within the Senate that emerged out of the process of negotiating compromises among conflicting social elements in post-Revolutionary America and integrating them into the upper legislative branch of the newly formulated central government; the consequent independent status of the Senate as a separate government branch; the deliberative legislative body’s long, unlimited and free debates; and its strong will to protect minority rights, as embodied in filibusters-or minority vetoes.
      On the one hand, the Senate’s all-encompassing duality served as a stepping stone to expediting the nation’s territorial expansion and federal integration through consecutive compromises made in the Senate. As a result, the Senate, formerly weaker than the lower house and the President, now began to draw nation-wide attention to its deliberative processes, taking the lead in antebellum state affairs. The compromises and integrations achieved through the Senate, however,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slavery westward. In addition, filibuster abuse in the Senate delayed the passage of civil rights bills for African Americans by one century after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the Senate also showed a proclivity towards providing overprotection for the privileged few. More seriously, partisan politics frequently resorted to the dilatory tactic to stifle debate in the Senate, causing the upper house to lose its original identity as a deliberative and creative legislative body.
      By examin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U.S. Senate’s inclusive duality, this paper ultimately hopes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the federal upper house’s distinguishing features-integrative compromises, minority veto power, and equal representation of each state-for South Korea’s unicameral legislature of the National Assembly that depends solely on majority ru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현대 상원의 문제들: 대표의 불평등성, 필리버스터, 그리고 소수의 과도한 권리
      • 2. 상원의 발전: 무기력한 의존성에서 포용적 이중성으로
      • 3. 상원의 포용적 이중성의 다양한 발현
      • 4. 결론: 상원의 의의와 전망
      • 국문초록
      • 1. 현대 상원의 문제들: 대표의 불평등성, 필리버스터, 그리고 소수의 과도한 권리
      • 2. 상원의 발전: 무기력한 의존성에서 포용적 이중성으로
      • 3. 상원의 포용적 이중성의 다양한 발현
      • 4. 결론: 상원의 의의와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용희, "현대미국의회정치론" 청림 2006

      2 조지형, "미국 헌법의 탄생" 서해문집 2012

      3 "Variant Texts of the Virginia Plan, Presented by Edmund Randolph to the Federal Convention, May 29, 1787. Text A"

      4 "U.S. Constitution"

      5 Sol Bloom, "The Story of the Constitution" Christian Liberty P 2001

      6 Steven S. Smith, "The Senate Syndrome: The Evolution of Procedural Warfare in the Modern U.S. Senate" U of Oklahoma P 2014

      7 William W. Freehling, "The Reintegration of American History: Slavery and the Civil War" Oxford UP 1996

      8 Howard R. Sklamberg, "The Meaning of ‘Advice and Consent’: The Senate’s Constitutional Role in Treatymaking" The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18 : 1997

      9 Charles Warren, "The Making of the Constitution" Barnes & Noble 1937

      10 Merill Jensen, "The Making of the American Constitution" Krieger 1964

      1 윤용희, "현대미국의회정치론" 청림 2006

      2 조지형, "미국 헌법의 탄생" 서해문집 2012

      3 "Variant Texts of the Virginia Plan, Presented by Edmund Randolph to the Federal Convention, May 29, 1787. Text A"

      4 "U.S. Constitution"

      5 Sol Bloom, "The Story of the Constitution" Christian Liberty P 2001

      6 Steven S. Smith, "The Senate Syndrome: The Evolution of Procedural Warfare in the Modern U.S. Senate" U of Oklahoma P 2014

      7 William W. Freehling, "The Reintegration of American History: Slavery and the Civil War" Oxford UP 1996

      8 Howard R. Sklamberg, "The Meaning of ‘Advice and Consent’: The Senate’s Constitutional Role in Treatymaking" The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18 : 1997

      9 Charles Warren, "The Making of the Constitution" Barnes & Noble 1937

      10 Merill Jensen, "The Making of the American Constitution" Krieger 1964

      11 Daniel Wirls, "The Invention of the United States Senate" Johns Hopkins UP 2004

      12 Peverill Squire, "The Evolution of American Legislatures: Colonies, Territories, and States, 1619-2009" U of Michigan P 2012

      13 Peverill Squire, "The Evolution of American Colonial Assemblies as Legislative Organizations" Center for Congressional & Presidential Studies, American University 32 : 2005

      14 Gordon S. Wood, "The Creation of the American Republic, 1776-1787" Norton 1969

      15 David B. Davis, "The Boisterous Sea of Liberty: A Documentary History of America from Discovery through the Civil War" Oxford UP 1998

      16 Merill Jensen, "The Articles of Confederation: An Interpretation of the Social-constitutional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1771-1781" Wisconsin UP 1963

      17 Neil MacNeil, "The American Senate: An Insider’s History" Oxford UP 2013

      18 Walter J. Oleszek, "Super-majority Votes in the Senate"

      19 Paul Kane, "Reid, Democrats Trigger ‘Nuclear’ Option; Eliminate Most Filibusters on Nominees"

      20 Sean Alfano, "Is the Senate a Millionaire’s Club?"

      21 Robert A. Dahl, "How Democratic Is the American Constitution?" Yale UP 2003

      22 Thomas Jefferso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23 "Articles of Confederation: March 1, 17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