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4422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2015.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42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n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antion and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 형태사항

        xi, 85 L.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세창
        참고문헌: p. 81-83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의 문항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알아봄으로써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과 영어 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이 얼마나 연계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정한 연구대상은 2013학년도∼2015학년도 영어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이다. 교육대학원의 선정은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양성기관 평가 발표 자료에 공개된 A∼D 등급 교육대학원 중에 각 등급별로 2개씩 총 8개의 교육대학원을 선정하였다.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과정 교과목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일반영어, 영문학 총 4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그 후에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과정 교과목의 각 영역별 퍼센트 비율을 구하였다. 2013∼2015학년도 임용시험 문항의 영역별 평균 퍼센트 비율과 각 등급별 교육대학원 평균 퍼센트 비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교육대학원 전체 등급 평균 퍼센트 비율과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를 일표본 T검정을 통해서 살펴봄으로써 연계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한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각 영역별 퍼센트 비율 평균값은 다음과 같았다. 임용시험 출제문항의 영역별 평균은 영어교육학 42.7%, 영어학 21.2%, 일반영어 22.1%, 영문학 14.1%였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영역별 평균은 영어교육학 45.6%, 영어학 21.1%, 일반영어 10.6%, 영문학 22.9%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B등급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학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의 비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C등급 교육대학원의 영문학 영역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A∼D등급 교육대학원의 일반영어 영역 비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연계성을 위한 비율수정을 할 때 연계성이 있다고 검증된 영역을 참고하여 수정하면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의 문항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알아봄으로써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과 영어 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이 얼마나 연...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의 문항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알아봄으로써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과 영어 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이 얼마나 연계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정한 연구대상은 2013학년도∼2015학년도 영어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이다. 교육대학원의 선정은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양성기관 평가 발표 자료에 공개된 A∼D 등급 교육대학원 중에 각 등급별로 2개씩 총 8개의 교육대학원을 선정하였다.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과정 교과목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일반영어, 영문학 총 4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그 후에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과정 교과목의 각 영역별 퍼센트 비율을 구하였다. 2013∼2015학년도 임용시험 문항의 영역별 평균 퍼센트 비율과 각 등급별 교육대학원 평균 퍼센트 비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교육대학원 전체 등급 평균 퍼센트 비율과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를 일표본 T검정을 통해서 살펴봄으로써 연계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한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각 영역별 퍼센트 비율 평균값은 다음과 같았다. 임용시험 출제문항의 영역별 평균은 영어교육학 42.7%, 영어학 21.2%, 일반영어 22.1%, 영문학 14.1%였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영역별 평균은 영어교육학 45.6%, 영어학 21.1%, 일반영어 10.6%, 영문학 22.9%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B등급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학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의 비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C등급 교육대학원의 영문학 영역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A∼D등급 교육대학원의 일반영어 영역 비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연계성을 위한 비율수정을 할 때 연계성이 있다고 검증된 영역을 참고하여 수정하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progressed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items from 2013 to 2015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four domains English pedagogy, English linguistics, general English and English literature to find each proportion of the domains. Second, based on the evaluation report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selected tw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rom each of the A,B,C and D rank. In other words, the total number of the selected graduate school is eight. The curricula were separated and analyzed in the same way above. Finally, this study compared the average of the percentages of each domain of the examinations items and the curricula respectively. The one-sample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y correlate with each other. This study brought out the following results.
      The proportions of the examination items are English pedagogy 42.7%, English linguistics 21.2%, general English 22.1%, English literature 14.1%. The proportions of the curricula are English pedagogy 45.6%, English linguistics 21.1%, general English 10.6%, English literature 22.9%. Comparing the figure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amination items and the curricula correlate well except for the domains of English education and general English of the B rank graduate school, the domain of English literature of the C rank graduate school, and the domain of general English of the A∼D rank graduate school.
      Based on the result, a concrete suggestion was made to im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The suggestion is that the proportions of the domains that were determined not to correlate with the examination should be fixed. If they are fixed properly, the proportions can be determined to correlate with the examination.
      If the suggestion is accepted, the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can be mo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prog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progressed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items from 2013 to 2015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four domains English pedagogy, English linguistics, general English and English literature to find each proportion of the domains. Second, based on the evaluation report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selected tw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rom each of the A,B,C and D rank. In other words, the total number of the selected graduate school is eight. The curricula were separated and analyzed in the same way above. Finally, this study compared the average of the percentages of each domain of the examinations items and the curricula respectively. The one-sample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y correlate with each other. This study brought out the following results.
      The proportions of the examination items are English pedagogy 42.7%, English linguistics 21.2%, general English 22.1%, English literature 14.1%. The proportions of the curricula are English pedagogy 45.6%, English linguistics 21.1%, general English 10.6%, English literature 22.9%. Comparing the figure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amination items and the curricula correlate well except for the domains of English education and general English of the B rank graduate school, the domain of English literature of the C rank graduate school, and the domain of general English of the A∼D rank graduate school.
      Based on the result, a concrete suggestion was made to im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The suggestion is that the proportions of the domains that were determined not to correlate with the examination should be fixed. If they are fixed properly, the proportions can be determined to correlate with the examination.
      If the suggestion is accepted, the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can be mo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2
      • 3. 논문의 구성 = 2
      • 4. 연구의 제한점 = 3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2
      • 3. 논문의 구성 = 2
      • 4. 연구의 제한점 = 3
      • II. 이론적 배경 = 4
      • 1. 중등교사 임용시험 = 4
      • 1)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정의 = 4
      • 2)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기능 = 4
      • 3) 중등 임용시험 이전까지의 중등교사 양성의 역사 = 6
      • 4)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변천 = 6
      • 5)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 범위 및 근거 = 14
      • 6) 중등교사의 자격기준 = 17
      • 7) 역류효과로서의 중등교사 임용시험 = 18
      • 2. 영어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 18
      • 1) 교육과정의 정의 = 19
      • 2) 영어교육과정의 정의 = 19
      • 3) 영어교육과정의 교육목표 = 19
      • 3. 선행연구 = 22
      • III. 연구방법 = 24
      • 1. 연구대상 선정기준 = 24
      • 2. 연구도구 = 25
      • 1) 문항 분석 기준 = 25
      • 2) 교육과정 분류 기준 = 26
      • 3. 자료분석 방법 = 26
      • IV. 연구결과 = 29
      • 1. 20132015 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분석 = 29
      • 1) 2013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 29
      • 2) 2013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1차 시험 4대 영역별 분석 = 29
      • 3) 세부 영역별 분석 = 30
      • 4) 2013학년도 중등 임용시험 2차 시험 논술형 분석 = 34
      • 5) 2014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 35
      • 6) 2014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공 A 기입형서술형 4대 영역별 분석 = 35
      • 7) 2014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공 A 기입형서술형 세부 영역별 분석 = 36
      • 8) 2014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공 B 논술형 영역별 분석 = 40
      • 9) 2015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 41
      • 10) 2015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공 A 기입형서술형 4대 영역별 분석 = 41
      • 11) 2015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공 A 기입형서술형 세부 영역별 분석 = 42
      • 12) 2015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공 B 논술형 영역별 분석 = 46
      • 13) 20132015학년도 임용시험 12차 및 전공 A, B 문항 분석 = 47
      • 14) 1차 및 전공 A 문항의 4대 영역별 분석 = 48
      • 15) 2차 및 전공 B 문항의 4대 영역별 분석 = 48
      • 16) 20132015학년도 전체 문항의 영역별 배점 비율 = 49
      • 2. 교육대학원 영역 별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 분석 = 50
      • 3.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62
      • 1) A등급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등급별 비교 = 63
      • 2) B등급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영역별 비교 = 66
      • 3) C등급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영역별 비교 = 69
      • 4) D등급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영역별 비교 = 73
      • 5)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8개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76
      • 6) AD등급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영역별 비교 = 76
      • VI. 결론 및 제언 =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