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대학교 진로ㆍ취업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변수 규명을 중심(中心)으로 - = Case Study on S University's Career and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the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 variables that affect career maturi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05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진로 및 취업교육 프로그램 평가 사례를 통해 교육평가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평가에서 강의만족도 등 Kirkpatrick의 평가 모형 중 1단계인 반응평가와 달리 교육과정...

      본 연구는 진로 및 취업교육 프로그램 평가 사례를 통해 교육평가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평가에서 강의만족도 등 Kirkpatrick의 평가 모형 중 1단계인 반응평가와 달리 교육과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속성을 중심으로 개념적 틀을 마련하고 이에 따른 교육과정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후 인과적 연결성을 고려하여 다음 차시 교육설계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이슈를 도출하였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교육평가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본 후, 교육평가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접근하였다. 사례는 서울 소재 S대학교에서 학생들의 진로 및 취업 교육을 위한 3단계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대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CDP: Career Development Program)을 대상으로 하였다. 3단계 프로그램 중 본 연구의 사례는 1단계인 직무이해 및 선택 교육 프로그램에 초점을 두었으며 총 24시간으로 구성되었다. 향후 개선된 모듈 설정을 위해 필요한 이슈를 도출하여 대학생들의 진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educational results focusing on Theory-Based method that considers causal connectivity beyond the evaluation of responses which have been centered in the previous education evaluation and enabling to find proper soluti...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educational results focusing on Theory-Based method that considers causal connectivity beyond the evaluation of responses which have been centered in the previous education evaluation and enabling to find proper solution for combining the following the educational design process with various issues. For this, various literatures are reviewed to remin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first and solution methods with a different view are applied on practical cases for finding solutions for the problems involved in corporate education evaluation respectively.
      Supposing that the corporate education evaluation has been done at the conventional level so far, this study indicates different view corresponding with trainee needs and educational object by reflecting the process development with setting a systematic evaluation containing definitude of standards, inner coherence, comprehension, and comparison possibilities at every step in evaluation. By extension, plans connected to the education satisfaction are commented. It also emphasizes that evaluation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trials that people in charge of HRD should endure anguish, philosophy on education and inspiring a soul into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훈련기관 만족도 설문조사표(훈련수련생)"

      2 정철연, "초ㆍ중ㆍ고교생 및 대학생을 위한 직업지도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및 개정 연구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05

      3 이현림, "청소년의 진술 의식 성숙에 의한 진로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994

      4 이현림, "진로상담. 경북"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1

      5 조은주,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조광남, "인재개발 실태조사를 통해서 본 대한민국 HRD의 과제" 54 : 2008

      7 김수현, "부부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개념적 틀"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193-238, 2007

      8 류춘호,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2 (32): 789-807, 2003

      9 류춘호,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9 (9): 275-305, 2005

      10 지희진, "대학 교양 인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33-466, 2013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훈련기관 만족도 설문조사표(훈련수련생)"

      2 정철연, "초ㆍ중ㆍ고교생 및 대학생을 위한 직업지도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및 개정 연구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05

      3 이현림, "청소년의 진술 의식 성숙에 의한 진로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994

      4 이현림, "진로상담. 경북"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1

      5 조은주,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조광남, "인재개발 실태조사를 통해서 본 대한민국 HRD의 과제" 54 : 2008

      7 김수현, "부부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개념적 틀"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193-238, 2007

      8 류춘호,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2 (32): 789-807, 2003

      9 류춘호,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9 (9): 275-305, 2005

      10 지희진, "대학 교양 인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33-466, 2013

      11 엄준하, "기업교육평가 트렌드와 HRD의 방향" 2006

      12 권대봉, "국제화 시대의 인재 만들기" 명진출판사 1994

      13 박일수, "교육과정 평가 개념에 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211-223, 2008

      14 배종석, "경쟁우위와 인적자원관리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연구의 비판적 연구방향의 모색" 7 (7): 1999

      15 Noe, R. A., "Trainee attributes and attitudes : Neglected influences on training effectiveness" 11 (11): 736-749, 1986

      16 Cohen, P. A., "The role of colleagues in the evaluation of teaching" 28 : 147-154, 1980

      17 Stufflebeam, D. L.,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5 (5): 19-25, 1971

      18 Noe, R. A., "The influence of trainee attitudes on training effectiveness : Test of model" 39 (39): 497-523, 1986

      19 Stake, R. E., "The countenance of educational evaluation" 68 (68): 523-540, 1967

      20 현대경제연구원, "S대학교 진로지도 프로그램"

      21 Chickering, A. W., "Seven principles of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39 : 3-7, 1987

      22 정충영,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1996

      23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78

      24 Scriven, M., "Perspectives of curriculum evaluation" Rand McNally 39-83, 1967

      25 Rossett, A., "Leveling about the levels: technologies and metrics"

      26 Merriam, S. B., "Learning in adulthood : A comprehensive guide" Jossey-Bass 1999

      27 박소연, "HRD 프로그램의 반응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10 (10): 119-137, 2008

      28 Stufflebeam, D. L., "Evaluation models" Kluwer-Nijhoff 1983

      29 Kirkpatrick, D. L., "Evaluating training program : The four levels" Berrett-koehler 1998

      30 Wlodkowski, R. J., "Enhancing adult motivation to learn : A comprehensive guide for teaching all adults" Jossey-Bass 1999

      31 Cohen, P. A., "Effectiveness of student rating feedback for improving college instruction : A meta-analysis of findings" 13 : 321-341, 1980

      32 Alkin, M. C., "Educational evaluation: Theory and practice" Charles A. Jones 1973

      33 Cashin, W. E., "Dehning and evaluation college teaching" IDEA Center, Kansas State University 1-4, 1989

      34 Hammond, R., "Context evaluation in local school districts" 9 (9): 13-18, 1969

      35 Pfeffer, J.,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eopl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4

      36 Crites, J. O., "Career maturity inventory : Administration & use manual" CTB/McGraw-Hill 1978

      37 Porter, L. W., "Behavior in Organizations" McGraw-Hill 1975

      38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39 Bemstein, D., "A department system for balancing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llege teaching : A commentary on cavanagh" 20 (20): 241-247,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