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성도서주식회사의 출판활동과 식민지 책시장의 역학 = Hanseongdoseo Co., Ltd.(漢城圖書株式會社)’s publishing activities and the dynamics of the colonial book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260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식민지의 출판기구가 식민지 책시장이 발휘한 제도적ㆍ구조적 압력 속에서 출판의 자유를 얼마만큼이나 가질 수 있었는지를 사유해 보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한성도서주식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에 주목했다. 한성도서주식회사는 기업형 조직으로 창립된 최초의 출판기구로서 식민지 지식문화를 일신하는 데 기여했다. 그런데 조선총독부의 검열, 예약출판의 불허, 지식문화의 제국주의, 물자 부족 사태, 조선어말살정책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책시장의 구조적 압력은 점점 커졌다. 1930년대 후반기에 절정에 달한 조선어책의 문학중심주의는 그 결과였고, 한성도서주식회사 또한 그 압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그러나 한성도서주식회사는 대내외적 난관 속에서도 나름의 일관된 출판정책을 고수하려고 노력했다. 요컨대, 한성도서주식회사 출판활동의 독자성, 나아가 식민지 출판기구가 추구한 출판의 자유는 조선어책의 문학중심주의 시기에 문학을 완전히 전면화하지 않은 그 지점에서 먼저 찾아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식민지의 출판기구가 식민지 책시장이 발휘한 제도적ㆍ구조적 압력 속에서 출판의 자유를 얼마만큼이나 가질 수 있었는지를 사유해 보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위해 이...

      이 글은 식민지의 출판기구가 식민지 책시장이 발휘한 제도적ㆍ구조적 압력 속에서 출판의 자유를 얼마만큼이나 가질 수 있었는지를 사유해 보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한성도서주식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에 주목했다. 한성도서주식회사는 기업형 조직으로 창립된 최초의 출판기구로서 식민지 지식문화를 일신하는 데 기여했다. 그런데 조선총독부의 검열, 예약출판의 불허, 지식문화의 제국주의, 물자 부족 사태, 조선어말살정책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책시장의 구조적 압력은 점점 커졌다. 1930년대 후반기에 절정에 달한 조선어책의 문학중심주의는 그 결과였고, 한성도서주식회사 또한 그 압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그러나 한성도서주식회사는 대내외적 난관 속에서도 나름의 일관된 출판정책을 고수하려고 노력했다. 요컨대, 한성도서주식회사 출판활동의 독자성, 나아가 식민지 출판기구가 추구한 출판의 자유는 조선어책의 문학중심주의 시기에 문학을 완전히 전면화하지 않은 그 지점에서 먼저 찾아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sider how much freedom of publishing the colonial publishing organization was able to have under the structural pressure exerted by the colonial book market.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focused on Hanseongdoseo Co., Ltd. Hansungdoseo Co., Ltd. was the first publishing organization founded as a corporate organization. However, the structural pressure on the book market gradually increased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enso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disallowance of reservation publishing, imperialism of knowledge culture, material shortages, and the policy of eradicating the Korean language. The literary centralism of Chosun language books, which reached its peak in the late 1930s, was the result. Hansungdoseo Co., Ltd. was also not free from that pressure. However, Hansungdoseo Co., Ltd. tried to adhere to its own consistent publishing policy. In short, the uniqueness of Hanseongdoseo Co., Ltd.’s publishing activities, and furthermore, the freedom of publishing pursued by the colonial publishing organization, must first be found in the fact that literature was not completely brought to the fore during the period of literary centralism of Chosun language books.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sider how much freedom of publishing the colonial publishing organization was able to have under the structural pressure exerted by the colonial book market.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focused on Hanseongdoseo Co.,...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sider how much freedom of publishing the colonial publishing organization was able to have under the structural pressure exerted by the colonial book market.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focused on Hanseongdoseo Co., Ltd. Hansungdoseo Co., Ltd. was the first publishing organization founded as a corporate organization. However, the structural pressure on the book market gradually increased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enso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disallowance of reservation publishing, imperialism of knowledge culture, material shortages, and the policy of eradicating the Korean language. The literary centralism of Chosun language books, which reached its peak in the late 1930s, was the result. Hansungdoseo Co., Ltd. was also not free from that pressure. However, Hansungdoseo Co., Ltd. tried to adhere to its own consistent publishing policy. In short, the uniqueness of Hanseongdoseo Co., Ltd.’s publishing activities, and furthermore, the freedom of publishing pursued by the colonial publishing organization, must first be found in the fact that literature was not completely brought to the fore during the period of literary centralism of Chosun language book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