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래형 요소가 신어 형성 과정에 수용되는 방식과 신어 형성에서의 기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외래형 요소는 주로 간접적 ‘차용’과 본토화된 ‘변용’ 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37318
2025
Korean
710
학술저널
58-68(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래형 요소가 신어 형성 과정에 수용되는 방식과 신어 형성에서의 기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외래형 요소는 주로 간접적 ‘차용’과 본토화된 ‘변용’ 두...
본 연구는 외래형 요소가 신어 형성 과정에 수용되는 방식과 신어 형성에서의 기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외래형 요소는 주로 간접적 ‘차용’과 본토화된 ‘변용’ 두가지 방식을 통해 신어 형성과정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는 외래어 단어 차용을 통해 간접 수용된 요소를 의미하며 후자는 차용 과정에 적응적 조정을 거쳐 형성된 요소를 가리킨다. ‘변용’은 조정방식에 따라 ‘기능 변용’, ‘의미 변용’, ‘형식 변용’, ‘형식 및 의미의 이중 변용’ 등 네가지 류형으로 세분화된다. 이러한 외래형 요소는 신어 형성에서 고정된 형태로 특정 위치에 나타나며 생산적으로 신어 형성에 참여하여 ‘결합형’이 된다. 본 연구는 외래형 요소의 수용방식을 탐구함으로써 조선어(한국어)가 어떻게 외래 요소를 차용하여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새로운 사물과 새로운 개념의 표현 수요에 부응하여 언어 발전의 동적인 특성을 보여주었는지를 밝혀냈다.
개혁을 가일층 전면적으로 심화하여 중국식 현대화를 추진할 데 대한 중공중앙의 결정 (2) : (2024년 7월 18일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원회의에서 통과)
조선어 전공수업에서의 지식 그라프 활용방안 연구 -- ‘기초조선어(G)II’수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