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DRM 적용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383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의 보급과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는 속성상 아날로그 콘텐츠와 달리 쉽고, 빠르게 복사할 수 있으며 복제품은 원본에 비해 질적인 저하가 없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들의 무료 선호 인식과 더불어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비정상적인 유통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은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불법 복제 및 불법 유통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최근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인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은 기존의 PC 환경에서 이루어지던 콘텐츠 활용기술이 휴대용 기기에 기술의 성장으로 휴대용 기기에서의 DRM 적용이 요구되어 왔다 많은 등의 많은 표준화 기구와 많은 DRM 서비스 회사들에 의해서 여러 가지 서비스 모델이 제안되어 왔으며 기존의 PC 환경과 달리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기기는 프로세스/네트워크 제약으로 기존의 PC DRM의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우며 DRM 적용을 위해 고사양의 H/W사양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많은 디지털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 사용되는 저성능 기기에 적용이 적합하도록 DRM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기기의 내부 메모리 구조 타 DRM 서비스의 호환성을 위해 서비스 변환 서버인 DFCS를 제안하여 저성능 프로세스를 사용한 디지털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보안성 및 편의성을 증가시켰다
      번역하기

      인터넷의 보급과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는 속성상 아날로그 콘텐츠와 달리 쉽고, 빠르게 복사할 수 있으며 복제품은 원...

      인터넷의 보급과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는 속성상 아날로그 콘텐츠와 달리 쉽고, 빠르게 복사할 수 있으며 복제품은 원본에 비해 질적인 저하가 없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들의 무료 선호 인식과 더불어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비정상적인 유통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은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불법 복제 및 불법 유통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최근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인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은 기존의 PC 환경에서 이루어지던 콘텐츠 활용기술이 휴대용 기기에 기술의 성장으로 휴대용 기기에서의 DRM 적용이 요구되어 왔다 많은 등의 많은 표준화 기구와 많은 DRM 서비스 회사들에 의해서 여러 가지 서비스 모델이 제안되어 왔으며 기존의 PC 환경과 달리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기기는 프로세스/네트워크 제약으로 기존의 PC DRM의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우며 DRM 적용을 위해 고사양의 H/W사양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많은 디지털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 사용되는 저성능 기기에 적용이 적합하도록 DRM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기기의 내부 메모리 구조 타 DRM 서비스의 호환성을 위해 서비스 변환 서버인 DFCS를 제안하여 저성능 프로세스를 사용한 디지털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보안성 및 편의성을 증가시켰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introduction of sound source sharing over the high speed internet and portable digital audio, the digitalization of sound source has been rapidly expanded and the sales and distribution of sound sources of the former offline markets are stagnant. Also, the problem of infringement of copyright is being issued seriously through illegal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igitalized sound source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DRM technology for protecting contents and copyrights in portable digital audio device began to be introduced. However, since the existing DRM was designed based on the fast processing CPU and network environment, there were many problems in directly applying to the devices with small screen resolution, low processing speed and network function such as digital portable audio devices which the contents are downloadable through the PC. In this study, the DRM structural model which maintains similar security level as PC environment in the limited hardware conditions such as portable digital audio devices is proposed and analyzed. The proposed model chose portable digital audio exclusive device as a target platform which showed much beter result in the aspect of security and usability compared to the DRM structure of exiting portable digital audio device.
      번역하기

      With the introduction of sound source sharing over the high speed internet and portable digital audio, the digitalization of sound source has been rapidly expanded and the sales and distribution of sound sources of the former offline markets are stagn...

      With the introduction of sound source sharing over the high speed internet and portable digital audio, the digitalization of sound source has been rapidly expanded and the sales and distribution of sound sources of the former offline markets are stagnant. Also, the problem of infringement of copyright is being issued seriously through illegal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igitalized sound source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DRM technology for protecting contents and copyrights in portable digital audio device began to be introduced. However, since the existing DRM was designed based on the fast processing CPU and network environment, there were many problems in directly applying to the devices with small screen resolution, low processing speed and network function such as digital portable audio devices which the contents are downloadable through the PC. In this study, the DRM structural model which maintains similar security level as PC environment in the limited hardware conditions such as portable digital audio devices is proposed and analyzed. The proposed model chose portable digital audio exclusive device as a target platform which showed much beter result in the aspect of security and usability compared to the DRM structure of exiting portable digital audio dev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DRM 모델 관련 연구
      • 3. 제안된 디지털 휴대용 오디오기기의 DRM 구조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DRM 모델 관련 연구
      • 3. 제안된 디지털 휴대용 오디오기기의 DRM 구조
      • 3.1 기기 정보 전달 방식 및 key 생성 방식
      • 3.2 콘텐츠 패키징
      • 3.3 라이센스 획득
      • 3.4 DFCS (DRM Format Convert Server)
      • 4. 제안모델 분석
      • 4.1 보안적 측면
      • 4.2 라이센스 획득 및 지속적 관리 측면
      • 4.3 제안된 내부 메모리 구조의 보안성 측면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삼성 UID specification, "삼성 UID specification"

      2 Microsoft, "http:/www.microsoft.com/windows/windowsmedia/forpros/drm/components.aspx"

      3 Markany, "http:/w.markany.co.kr"

      4 Intertrust, "http://w.intertrust.com/main/over-view/index.html"

      5 이승제, "OMA 표준화 동향" LG전자 이동통신기술연구소

      6 오원근, "DRM 표준화 및 평가기술 전자통신동향분석" 20 (20): 2005,8

      7 강호갑, "DRM 최신 국제표준 기술사양 분석 및 세계 유명제품 동향과 전망에 관한 연구" 프트웨어진흥원 2004

      8 조경옥, "DRM 시스템상에서 디지털 콘텐츠 보호를 위한 패키징 기법 설계"

      9 intel, "Content Protection in the Digital Home" 6 (6): 2002,11

      1 삼성 UID specification, "삼성 UID specification"

      2 Microsoft, "http:/www.microsoft.com/windows/windowsmedia/forpros/drm/components.aspx"

      3 Markany, "http:/w.markany.co.kr"

      4 Intertrust, "http://w.intertrust.com/main/over-view/index.html"

      5 이승제, "OMA 표준화 동향" LG전자 이동통신기술연구소

      6 오원근, "DRM 표준화 및 평가기술 전자통신동향분석" 20 (20): 2005,8

      7 강호갑, "DRM 최신 국제표준 기술사양 분석 및 세계 유명제품 동향과 전망에 관한 연구" 프트웨어진흥원 2004

      8 조경옥, "DRM 시스템상에서 디지털 콘텐츠 보호를 위한 패키징 기법 설계"

      9 intel, "Content Protection in the Digital Home" 6 (6): 2002,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7-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 한국융합보안학회
      영문명 : Korea Information Assurance Society -> Korea Convergence Security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2-07-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안논문지 -> 융합보안 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Information Assurance -> Journal of convergence security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4-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1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증논문지 -> 정보*보안논문지 KCI등재후보
      2006-1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증논문지 -> 정보*보안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Information Assurance -> Journal of The Information and Securi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5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