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중·일 FTA를 활용한 동북아 전자상거래 및 물류 활성화 전략 = Cross-Border E-Commerce Models and Global Logistics Strategies under a Tripartite FTA among Korea, Chin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26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중·일 FTA의 국제 전자상거래 및 물류 산업에 대한 영향분석, 전자상거래 및 물류 측면에서의 FTA 사례분석이 이루어졌다. 둘째, 한·중·일 전자상거래 물량 흐름 분석을 통해 FTA 전략 및 물류체계의 개선이 필요한 분야와 한·중·일 전자상거래 협력 표적 산업이 도출되었다. 셋째, 한·중·일 자유무역구 및 교류 거점시설 방문 조사, 주요 입주 및 이용 기업 설문 및 인터뷰 조사, SWOT 분석, 협력모델 도출, 한·중·일 협력방안 도출의 단계로 국제 전자상거래 협력모델이 도출되었다. 넷째, 종합분석을 기반으로 동북아 전자상거래 활성화 및 물류체계 개선 전략이 도출되었다. 국제 전자상거래 협력모델로는, 상하이·장삼각-한-일 E-C 협력모델, 광저우·심천-한-일 E-C 협력모델, 이우·닝보-한-일 E-C 협력모델, 한·중·일 연계 C-B E-C 협력모델, 동아시아 C-B E-C 거점 연계 협력모델 등이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중·일 FTA의 국제 전자상거래 및 물류 산업에 대한 영향분석, 전자상거래 및 물류 측면에서의 FTA 사례분석이 이루어졌다. 둘째, 한·중·일 전자상거래 물량 흐름 분�...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중·일 FTA의 국제 전자상거래 및 물류 산업에 대한 영향분석, 전자상거래 및 물류 측면에서의 FTA 사례분석이 이루어졌다. 둘째, 한·중·일 전자상거래 물량 흐름 분석을 통해 FTA 전략 및 물류체계의 개선이 필요한 분야와 한·중·일 전자상거래 협력 표적 산업이 도출되었다. 셋째, 한·중·일 자유무역구 및 교류 거점시설 방문 조사, 주요 입주 및 이용 기업 설문 및 인터뷰 조사, SWOT 분석, 협력모델 도출, 한·중·일 협력방안 도출의 단계로 국제 전자상거래 협력모델이 도출되었다. 넷째, 종합분석을 기반으로 동북아 전자상거래 활성화 및 물류체계 개선 전략이 도출되었다. 국제 전자상거래 협력모델로는, 상하이·장삼각-한-일 E-C 협력모델, 광저우·심천-한-일 E-C 협력모델, 이우·닝보-한-일 E-C 협력모델, 한·중·일 연계 C-B E-C 협력모델, 동아시아 C-B E-C 거점 연계 협력모델 등이 도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effect of tripartite FTA among Korea, China and Japan on cross-border e-commerce and logistics industry through case studies. And it identifies target industries for cross-border e-commerce collaboration business models through analyzing e-commerce product flow on supply chain among 3 countries. Then it develops cross-border e-commerce collaboration business model through a field study on Free Trade Zones and cross-border e-commerce hub facilities in 3 countries,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on tenants and users of such facilities, SWOT analysis and feasibility study. Based on such analyses, strategies to implement NE Asia cross-border e-commerce collaboration models and support FTA are developed. In conclusion,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is study, policy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ector, which are stakeholders of the cooperation model and activation strategy, and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distribution, manufacturing and logistics companies, are developed.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effect of tripartite FTA among Korea, China and Japan on cross-border e-commerce and logistics industry through case studies. And it identifies target industries for cross-border e-commerce collaboration business models through ana...

      This paper analyzes effect of tripartite FTA among Korea, China and Japan on cross-border e-commerce and logistics industry through case studies. And it identifies target industries for cross-border e-commerce collaboration business models through analyzing e-commerce product flow on supply chain among 3 countries. Then it develops cross-border e-commerce collaboration business model through a field study on Free Trade Zones and cross-border e-commerce hub facilities in 3 countries,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on tenants and users of such facilities, SWOT analysis and feasibility study. Based on such analyses, strategies to implement NE Asia cross-border e-commerce collaboration models and support FTA are developed. In conclusion,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is study, policy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ector, which are stakeholders of the cooperation model and activation strategy, and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distribution, manufacturing and logistics companies, are develop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II. FTA 현황분석 및 선행연구 III. 전자상거래 및 한·중·일 FTA 관련 환경분석 IV. FTA 기반 국제 전자상거래 협력 모델 및 활성화 전략 V. 결론 및 활성화 전략 참고문헌
      • I. 서 론 II. FTA 현황분석 및 선행연구 III. 전자상거래 및 한·중·일 FTA 관련 환경분석 IV. FTA 기반 국제 전자상거래 협력 모델 및 활성화 전략 V. 결론 및 활성화 전략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