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읽기 관여(reading engagement)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 An Essay about Reading Eng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81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읽기(교육) 분야에서 관여(engagement)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시론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읽기 교육의 용어로 관여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이에 본고에서는 ‘engagement’, ‘engage...

      이 연구는 읽기(교육) 분야에서 관여(engagement)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시론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읽기 교육의 용어로 관여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이에 본고에서는 ‘engagement’, ‘engaged’라는 용어와 표현이 교육학 일반, 뇌인지 과학, 그리고 읽기 및 리터러시 교육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맥락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관여 개념의 구성 요소로 ‘전략적 노력’, ‘자발적 참여’, ‘몰두와 열중’ 등이 주로 다루어지며, 관여 개념은 무언가를 열심히 행하는 주체의 특성을 함축하는 의미역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관여 패러다임 하에서 독자상과 읽기 수행의 특성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읽기 교육의 용어로서 관여 개념을 정리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1) 전략적임의 의미역 확장, 2) 행위주도적 독자상 정립, 3) 한국 문화 특성을 반영한 읽기 관여 개념 및 구성 요소의 타당화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the character of being an idea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ngagement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ngagement as a term of reading education, we examined the context in which the terms 'engagem...

      This study has the character of being an idea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ngagement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ngagement as a term of reading education, we examined the context in which the terms 'engagement' and 'engaged' are used in education, brain cognitive science, and reading and literac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rategic effort”, “voluntary participation”, “enthusiasm and enthusiasm” are mainly dealt with as components of the concept of engagement, and the concept of engagement has a meaning that implies the characteristics of a subject who is doing something hard. We also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readers can be explained under the paradigm of Engagement. In addition, as a preliminary task to summarize the concept of engagement as a term of reading education, 1) expanding of the concept of ‘strategic’, 2) establishing an agentic reader-oriented image, and 3) validity of the concept of reading engage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혜, "학습자의 스탠스(stance)에 따른 한국소설 감상 양상 분석 <외국인 유학생 감상문의 담론적 소통 양상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9-155, 2017

      2 편지윤, "청소년 독자의 읽기 개념에 대한 은유분석" 한국독서학회 (44) : 164-202, 2017

      3 정혜승, "읽기 태도가 부정적인 학생들의 독자 정체성 인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2) : 235-276, 2013

      4 Evans, J., "읽기 쓰기의 진화" 사회평론 2011

      5 편지윤, "은유분석을 통해 본 초·중·고등학생의 읽기 개념 인식의 발달적 경향" 국어교육연구소 (41) : 239-276, 2018

      6 이지연, "성실성과 완벽성이 학습관여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7 (27): 127-142, 2013

      7 Giddens, A., "사회구성론" 간디 서원 2006

      8 이순영, "몰입 독서의 개념에 관한 비판적 검토" 한국어교육학회 (120) : 201-224, 2006

      9 김혜정, "독서 관련 학문의 동향과 독서교육: 독서교육 이론의 변화와 쟁점" 한국독서학회 (40) : 9-56, 2016

      10 김현진, "대학생을 위한 4차원 구조의 학생 참여(student engagement)척도 타당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627-655, 2017

      1 김지혜, "학습자의 스탠스(stance)에 따른 한국소설 감상 양상 분석 <외국인 유학생 감상문의 담론적 소통 양상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9-155, 2017

      2 편지윤, "청소년 독자의 읽기 개념에 대한 은유분석" 한국독서학회 (44) : 164-202, 2017

      3 정혜승, "읽기 태도가 부정적인 학생들의 독자 정체성 인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2) : 235-276, 2013

      4 Evans, J., "읽기 쓰기의 진화" 사회평론 2011

      5 편지윤, "은유분석을 통해 본 초·중·고등학생의 읽기 개념 인식의 발달적 경향" 국어교육연구소 (41) : 239-276, 2018

      6 이지연, "성실성과 완벽성이 학습관여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7 (27): 127-142, 2013

      7 Giddens, A., "사회구성론" 간디 서원 2006

      8 이순영, "몰입 독서의 개념에 관한 비판적 검토" 한국어교육학회 (120) : 201-224, 2006

      9 김혜정, "독서 관련 학문의 동향과 독서교육: 독서교육 이론의 변화와 쟁점" 한국독서학회 (40) : 9-56, 2016

      10 김현진, "대학생을 위한 4차원 구조의 학생 참여(student engagement)척도 타당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627-655, 2017

      11 Vaughn, M., "the role of student agency: exploring openings during literacy instruction" 28 (28): 4-16, 2014

      12 Lee Soon-Young, "korean adolescent engaged readers" university of Iowa 2007

      13 Winterer, G., "Volition to action an event related fMRI study" 17 (17): 851-858, 2002

      14 Alexander, P. A.,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 IntlReadingAssn 3-46, 2013

      15 Douglas, "The pleasures of immersion and engagement:schemas, scripts and the fifth business" 12 (12): 153-166, 2001

      16 Christenson, S. L., "The handbook of research on student engagemen" Springer Science 2011

      17 Lee Jung-Sook,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s It a Myth or Reality?," 107 (107): 177-185, 2014

      18 Lee Kye-hyoung, "The Neural Correlates of Choice Effect on Cognitive Engagement" Korea University 2011

      19 Guthrie, J. T., "Teaching for literacy engagement" 36 (36): 1-30, 2004

      20 Frediricks, J. A., "School engagement: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74 : 59-109, 2004

      21 Fredricks, J. A., "School engagement: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74 : 59-109, 2004

      22 Wigfield, A., "Role of reading engagement in mediating effects of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on reading outcomes" 45 (45): 432-445, 2008

      23 McDonald, L., "Moving from reader response to critical reading:developing 10–11‐year‐olds' ability as analytical readers of literary texts" 38 (38): 17-25, 2004

      24 Wigfield, A., "Motivating reading comprehension: Concept-oriented reading instruction" Routledge 2004

      25 Nystrand, M., "Instructional discourse, student engagement, and literature achievement" 25 : 261-290, 1991

      26 Reeve, J., "How Students Create Motivationally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s for Themselves: The Concept of Agentic Engagement" 105 (105): 579-595, 2013

      27 Wigfield, A., "Engagement and motivation in reading"

      28 Guthrie, J. T., "Engaged reading: Processes, practices, and policy implications" Teachers College Press 1999

      29 McCombs, B. L., "Developing engaged readers in school and home communities" Routledge 67-87, 1996

      30 Afflerbach, P., "Developing engaged readers in school and home communities" Routledge 191-214, 1996

      31 Horner, S. L., "Becoming an Engaged, Self-Regulated Reader" 41 (41): 102-109, 2002

      32 Reeve, J., "Agency as a fourth aspect of students’ engagement during learning activities" 36 (36): 257-26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0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