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에 대한 투자가 어느만큼의 소득을 실현하는가에 대하여 개개인의 선택이 미치는 오차를 고려하는데 있다. 분석자료는 미국 노동부에서 조사한 National Longitudidinal...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38909
1997
English
304.000
학술저널
223-236(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에 대한 투자가 어느만큼의 소득을 실현하는가에 대하여 개개인의 선택이 미치는 오차를 고려하는데 있다. 분석자료는 미국 노동부에서 조사한 National Longitudidinal...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에 대한 투자가 어느만큼의 소득을 실현하는가에 대하여 개개인의 선택이 미치는 오차를 고려하는데 있다. 분석자료는 미국 노동부에서 조사한 National Longitudidinal Survey of Young Men에서 발췌하였는데, 1981년에 근로소득이 있는 표본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의 선택을 Ordered Probit Model로 분석하여 선택오차를 수정하였는데, 그 결과 개인의 선택으로 인한 오차의 중요성이 발견되었고, 교육투자를 통한 소득효과가 기존의 방법으로 검증된 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만경강하구역에 서식하는 풀망둑어(Acanthogobius hasta)중의 중금속함량에 관한 연구
AMP(Ammonium Phosphomolybdate) 및 MnO₂대한 방사성 핵종의 흡착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