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는 학교교육의 과정과 결과 그리고 학생 개인의 교육적 성장 정도를 측정하는 포괄적 교육활동이다. 따라서 그 평가도구는 반드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평가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928189
대전 :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학위논문(석사) --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 교육학과 음악교육 전공 , 2012. 8
2012
한국어
780 판사항(22)
대전
(A)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Music class of secondary school
ii, 64 p. : 삽화 ; 26 cm.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전정임
참고문헌 : p. 59-6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교육평가는 학교교육의 과정과 결과 그리고 학생 개인의 교육적 성장 정도를 측정하는 포괄적 교육활동이다. 따라서 그 평가도구는 반드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평가결...
교육평가는 학교교육의 과정과 결과 그리고 학생 개인의 교육적 성장 정도를 측정하는 포괄적 교육활동이다. 따라서 그 평가도구는 반드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평가결과는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최대한 억제하고 구체적인 기준에 근거해 내려진 객관적인 판단이어야 한다. 따라서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음악과 수행평가의 객관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학교의 학사 일정에 맞추어 평가기준안을 작성하였다.
둘째, 학생의 음악적 역량을 파악하여 적절한 도달점을 정하고 실제 음악수업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준거점에 도달하도록 교수 ? 학습과정을 전개하였다.
셋째, 학생들에게 평가계획을 발표하고 그에 따른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평가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시킨 다음 정해진 순서와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음악과 수행평가의 객관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평가기준의 세분화가 필요하다. ‘우수, 보통, 미흡’의 3단계만으로 평가하는 것은 그 경계선이 불분명하고 모호하여 교사의 주관에 좌우되는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평가기준은 5 ~ 6단계로 세분화해야 한다.
둘째, 음악과 수행평가의 객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평가항목의 명료화가 필요하다. 교사 한 사람이 학생의 연주를 듣고 바로 즉석에서 객관적으로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평가항목이 명료하게 규정되어야 한다. 즉, 발성과 호흡, 셈여림과 나타냄 말, 창의적 표현, 가사의 전달 등 모호하거나 너무 광범위한 개념이 아닌, 음정, 박자, 표현과 같이 직관적으로 바로 판단 가능 하도록 평가항목을 명료화해야 하는 것이다.
셋째, 학생들에게 수치화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제시 하여야 한다. 평가 기준상의 급간별 수준차이를 수치로 비교 가능하도록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기준을 제시하여야 하며, 또한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염두에 둔 평가기준을 수치로 제시 하여야 한다.
넷째, 평가의 근거자료를 반드시 작성하여야 한다. 교사의 기억과 학생의 양심에만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해야 한다. 즉, 학생의 연주실황을 녹음하고, 교사의 채점을 뒷받침 할 근거자료 또한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평가과정에서 일어 날 수 있는 오류가능성을 인정하고, 이를 수정 할 수 있는 허용적(許容的)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평가의 근거자료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평가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 학생으로 하여금 주저함 없이 이를 확인 해 볼 수 있게 함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여 음악 수행평가의 객관화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음악과 수행평가도 다른 교과목의 지필평가에 버금가는 객관성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다. 음악교사 스스로가 이러한 수행평가의 객관화를 위해 부단한 연구와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갖는 음악교과의 교육력과 교과로서의 위상은 회복 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문화예술 측면에서의 국가 경쟁력 또한 더욱 신장 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al assessment is the comprehensive educational activity to measure the process and results of school education and the degree of student's educational growth. Therefore, the assessment tool must contai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r...
Educational assessment is the comprehensive educational activity to measure the process and results of school education and the degree of student's educational growth. Therefore, the assessment tool must contai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results of assessment should be objective judgment based on objective data while the evaluator’s subjective judgment should be restrained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objectification method of music performance assessment with target of freshmen at high school and the following processes were carried out.
First, the research plan was created and assessment standards were made according to school's academic calendar.
Second, once identifying the student's musical ability and arranging the proper reaching points, we conduct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o have students reach the reference point through actual music class.
Third, once assessment plan was announced to the students and assessment criteria were presented, we let the students understand the purpose and methods of assessment. The assessmen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assigned order and method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final conclusions through study process.
First, the segmentation of assessment criteria is required for objectification of music performance assessment. Since it is unclear and ambiguous to evaluate it with only three steps such as ‘excellent, medium and insufficient’, it is highly dependent on teacher’s subjectivity. Therefore, assessment criteria should be broken down into 5-6 steps.
Second, the clarification of assessment items is required for objectification of music performance assessment. The assessment items should be clarified to judge it objectively on the spot right after a teacher listens to music that a study plays. In other words, assessment items should be clarified to make a judgment intuitively such as interval, meter and expression rather than ambiguous or too broad concepts such as voice production and breathing, dynamic marks and expression marks, creative expression and delivery of lyrics.
Third, assessment criteria to be quantified should be presented to students. Concrete and practical criteria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level between grades of assessment criteria should be presented with numbers. In addition, assessment criteria with a consideration of all possible cases should be provided in numbers.
Fourth, the evidential data of assessment must be created. The objective evidential data should be prepared, instead of relying on memories of teachers and conscience of students. In other words, student’s performances should be recorded and evidential data which support teacher’s scoring should be made as well.
Fifth, a permissive atmosphere should be created in which the possibility of errors in process of assessment is acknowledged and the error is corrected. If the evidential data of assessment are properly utilized, the error which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assessment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if it enables students to confirm it without hesitation,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assessment are increased to enhance the objectification of music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above five conclusions, the objectivity can be obtained sufficiently in music performance assessment as much as in written assessment of other subjects. Music teachers themselves should make continuous research and every single effort for objectification of music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these efforts, the educational authority and position of music class will be restored on site of school and, furthermore, national competitiveness can be enhanced in aspects of culture and ar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