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지체인의 적성직종 고찰 = A Review of Aptitude Job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60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인의 훈련 직종, 취업 직종, 직업흥미에 기초한 적성직종, 그리고 직업적성검사 결과 나타난 적성직종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ㆍ분석하여, 그들이 원만하게 수행 ...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인의 훈련 직종, 취업 직종, 직업흥미에 기초한 적성직종, 그리고 직업적성검사 결과 나타난 적성직종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ㆍ분석하여, 그들이 원만하게 수행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적성직종들을 중분류와 소분류ㆍ세분류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지체인의 적성직종 관련 국내 선행연구 및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훈련직종, 취업직종, 직업흥미, 직업적성을 고려하여 적성직종을 알아본 연구들에 한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지체인의 적성직종은 한국고용직업분류의 중분류 기준으로 모두 15개의 직군이 선정되었다. 또한, 15개의 중분류 직군에 해당하는 소분류 30개와 49개의 세분류를 제시하고 그에 해당하는 직업을 예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신지체학교의 직업교육과정 운영 및 훈련 직종 선정 등의 과정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그밖에 장애인 직업재활기관에서도 같은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put together and analyze aptitude jobs based on training jobs, employed jobs and vocational interest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as well as the previous studies on aptitude jobs based on the results of vocational apt...

      This study set out to put together and analyze aptitude jobs based on training jobs, employed jobs and vocational interest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as well as the previous studies on aptitude jobs based on the results of vocational aptitude tests. It also aimed to classify the aptitude jobs that would be performed by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with no problems into the middle, small and detailed category.
      For those purposes, previous studies on aptitude job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 Korea were gathered and analyzed along with the related data. The studies were confined to those ones that took into account training jobs, employed jobs, vocational interests and vocational aptitude.
      As a result, the aptitude job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cluded total 15 groups of the middle category in the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The 15 groups of the middle category contained 30 small categories and 49 detailed categories, for each of which examples were given.
      It'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able to serve as basic data in running vocational training courses or selecting training jobs at a school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Other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ill also be able to benefit from the results for the same purpo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덕규, "한국과 일본의 정신지체 영역 전공과 운영 고찰" 5 (5): 67-90, 2003

      2 정봉도,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과제와 대책" 1 (1): 1-19, 1999

      3 오세철, "특수학교 직업 교육과정의 흐름과 전망" 34 : 33-50, 1999

      4 이유훈, "특수교육기관의 직업교육 실태 분석과 지원체제 구축 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 14 (14): 141-167, 2004

      5 김형일, "취업한 장애인의 사례분석을 통한 특수학교 전환 교육과정 운영 방안" 2 : 189-204, 2001

      6 김삼섭, "충청남도 산업특성을 고려한 정신지체여성의 적성직종 탐색 -정신지체여성의 우선취업직종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581-608, 2005

      7 송인섭, "직업적성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연구" 11 (11): 69-100, 1997

      8 오길승, "직업재활 분야에서 본 발달장애 학생 위한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99-132, 2003

      9 Richard W. B., "중증장애인의 교육과 재활: 실제와 전망"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10 안금희, "중ㆍ고등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직업 흥미 조사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 김덕규, "한국과 일본의 정신지체 영역 전공과 운영 고찰" 5 (5): 67-90, 2003

      2 정봉도,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과제와 대책" 1 (1): 1-19, 1999

      3 오세철, "특수학교 직업 교육과정의 흐름과 전망" 34 : 33-50, 1999

      4 이유훈, "특수교육기관의 직업교육 실태 분석과 지원체제 구축 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 14 (14): 141-167, 2004

      5 김형일, "취업한 장애인의 사례분석을 통한 특수학교 전환 교육과정 운영 방안" 2 : 189-204, 2001

      6 김삼섭, "충청남도 산업특성을 고려한 정신지체여성의 적성직종 탐색 -정신지체여성의 우선취업직종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581-608, 2005

      7 송인섭, "직업적성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연구" 11 (11): 69-100, 1997

      8 오길승, "직업재활 분야에서 본 발달장애 학생 위한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99-132, 2003

      9 Richard W. B., "중증장애인의 교육과 재활: 실제와 전망"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10 안금희, "중ㆍ고등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직업 흥미 조사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1 이정화, "정신지체학생의 직업흥미 분포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육대학원 2004

      12 구자숙, "정신지체학생의 지능 수준별 직업흥미 분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3 이광숙, "정신지체학생 직업교육 관련 논문 분석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4 임경원, "정신지체학교의 직업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간의 연관성" 한국직업재활학회 15 (15): 199-211, 2005

      15 송정은, "정신지체학교의 직업교육 실태와 개선에 대한 질적 연구" 2 : 215-231, 2000

      16 왕석현, "정신지체학교 직업교육 시설·설비 현황 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7 나진희, "정신지체학교 중,고등부 여학생의 직업 흥미 특성"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8 박남숙, "정신지체학교 고등부 다운증학생의 직업흥미에 관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1 (11): 271-285, 2004

      19 김종우, "정신지체인의 훈련직종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전, 충남, 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대전직업전문학교 2000

      20 엄승연, "정신지체인의 취업준비를 위한 지원체계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5

      21 김삼섭, "정신지체인의 적성직종 탐색을 위한 희망직종에 대한 예비 조사. 미간행 유인물"

      22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정신지체인용,청각장애인용 그림직업흥미검사 실시요강" 저자 2003

      23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정신지체인 취업현황. 유인물"

      24 김남순, "정신지체아동의 직업교육·훈련의 발전 방안" 6 : 175-196, 2004

      25 이재풍,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직업교육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26 유정희,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직업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1995

      27 유효진,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학부 직업교육 실태와 부모·교사의 요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8 허복심,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환기 교육과정에서의 직업 교과의 내용과 취업 후의 직무 내용간의 연관성"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9 이금희,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서울 소재 공립정신지체 특수학교 4개교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30 이경희,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직업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1 이정기,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졸업생의 취업"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2 김삼섭, "장애인의 직업교육. 한국특수교육의 발전과제" 63-66, 1994

      33 김삼섭, "장애인용 멀티미디어 직업흥미검사 개발 연구. 미간행"

      34 강필수, "장애인 직역확대를 위한 직종개발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1

      35 현호석, "장애인 직업훈련 확대방안과 훈련과정 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7

      36 최현숙, "장애인 직업훈련 실태조사 및 효과성 제고 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2

      37 임경원, "웹기반「정신지체인용 간편 직업적성검사」개발연구(Ⅱ): 적성직군 준거개발" 8 (8): 181-202, 2007

      38 정해룡, "우리나라 지체장애인 직업훈련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삼육재활센터 15 : 127-160, 1994

      39 이현정, "우리나라 정신지체 직업교육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전라북도의 경우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0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비언어성 직업흥미검사" 저자 2000

      41 임안수, "맹인의 직업. 맹인의 교육과 복지" 한국맹인복지연합회 451-546, 1993

      42 한국직업재활학회, "국립재활전문대학 설립,운영방안" 저자 1996

      43 김영중, "精神遲滯學校 職業敎育 改善方向에 關한 硏究"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44 Berkell, D. E., "Vo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with severe handicaps: A review of the literature" 10 : 61-75, 1987

      45 Valpar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3000: Instruction manual" Author 2002

      46 안해령, "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직업교과교육의 실태 및 교사들의 요구에 관한 연구: 정신지체학교 중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7 중앙고용정보원, "2005 한국고용직업분류" 저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