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여성 일자리 질 현황과 과제 = Women"s Job Quality and job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175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위기기간과 위기 극복기간 이후 최근까지 여성일자리 질적 수준과 일자리 변동을 살펴보고, 여성의 노동시장 참가가 일자리 질 변동과 관계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제활동인구조사자료와 고용보험 행정DB인 보수총액DB를 결합하여 자료를 구축한 후 일자리 접근법과 장기변동 회귀분석(long-differenc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경제위기는 전 연령, 저학력 여성의 상위 및 중위 일자리에서의 고용감소, 그리고 하위일자리에서의 고용증가로 전반적으로 여성의 일자리 질을 낮추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300인 이하 중소규모와 서비스업 부문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다. 둘째, 경제회복과정에서 고학력, 30~54세 여성 일자리는 하위 일자리에서 증가가 두드러진 가운데 상위 및 중위 일자리에서의 고용증가가 나타나 전반적으로 여성일자리의 질을 개선시켰고, 대규모 사업체, 제조업 부문에서는 상위 및 중위 일자리에서의 고용이 증가한 반면 하위일자리는 고용이 감소하여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여성의 인적속성 및 사업체 속성에 따라 일자리 질 회복이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성 일자리의 질의 변동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도 영향을 미쳐 하위 일자리 비중이 높아질수록 여성인력의 노동시장 퇴장이 늘어 비경제활동인구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위기기간과 위기 극복기간 이후 최근까지 여성일자리 질적 수준과 일자리 변동을 살펴보고, 여성의 노동시장 참가가 일자리 질 변동과 관계있는지...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위기기간과 위기 극복기간 이후 최근까지 여성일자리 질적 수준과 일자리 변동을 살펴보고, 여성의 노동시장 참가가 일자리 질 변동과 관계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제활동인구조사자료와 고용보험 행정DB인 보수총액DB를 결합하여 자료를 구축한 후 일자리 접근법과 장기변동 회귀분석(long-differenc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경제위기는 전 연령, 저학력 여성의 상위 및 중위 일자리에서의 고용감소, 그리고 하위일자리에서의 고용증가로 전반적으로 여성의 일자리 질을 낮추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300인 이하 중소규모와 서비스업 부문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다. 둘째, 경제회복과정에서 고학력, 30~54세 여성 일자리는 하위 일자리에서 증가가 두드러진 가운데 상위 및 중위 일자리에서의 고용증가가 나타나 전반적으로 여성일자리의 질을 개선시켰고, 대규모 사업체, 제조업 부문에서는 상위 및 중위 일자리에서의 고용이 증가한 반면 하위일자리는 고용이 감소하여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여성의 인적속성 및 사업체 속성에 따라 일자리 질 회복이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성 일자리의 질의 변동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도 영향을 미쳐 하위 일자리 비중이 높아질수록 여성인력의 노동시장 퇴장이 늘어 비경제활동인구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omen"s job quality and job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o analyze whether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women is related to job quality changes.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by combining the data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the compensation statistics of the employment insurance administration database, followed by a job-based approach and a long-differenc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crisis has affected the overall job quality of women by lowering the number of high and low educated women in upper and middle level jobs, and increasing employment in lower jobs. Especially, these are remarkable in the small and medium size and service sector with less than 300 employees. Second, in the course of the economic recovery, highly educated women aged 30 to 54,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ower jobs, showed an increase in employment in the upper and middle jobs, overall improving the quality of women"s jobs, While job hunting in the middle-level job increased, the number of jobs in the lower job declined due to the economic crisis, resulting in a differential impact of job quality recovery on the basis of female personal attributes and business attributes. Third, the change in the quality of women "s jobs affects women" 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as the share of the lower - level jobs increases, the labor market exits of the female workforce increas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omen"s job quality and job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o analyze whether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women is related to job quality changes. To do this, data were coll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omen"s job quality and job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o analyze whether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women is related to job quality changes.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by combining the data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the compensation statistics of the employment insurance administration database, followed by a job-based approach and a long-differenc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crisis has affected the overall job quality of women by lowering the number of high and low educated women in upper and middle level jobs, and increasing employment in lower jobs. Especially, these are remarkable in the small and medium size and service sector with less than 300 employees. Second, in the course of the economic recovery, highly educated women aged 30 to 54,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ower jobs, showed an increase in employment in the upper and middle jobs, overall improving the quality of women"s jobs, While job hunting in the middle-level job increased, the number of jobs in the lower job declined due to the economic crisis, resulting in a differential impact of job quality recovery on the basis of female personal attributes and business attributes. Third, the change in the quality of women "s jobs affects women" 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as the share of the lower - level jobs increases, the labor market exits of the female workforce increa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과 자료
      • Ⅲ. 여성 일자리의 질과 주요 특징
      • Ⅳ. 여성 일자리 질과 노동시장 참가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과 자료
      • Ⅲ. 여성 일자리의 질과 주요 특징
      • Ⅳ. 여성 일자리 질과 노동시장 참가
      •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