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숭고의 현상학과 현상학적 예술론: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상학의 주된 관심사는 주어진 사태를 어떻게 하면 생생하고도 구체성을 지닌 채 확보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여기서 숭고의 체험은 그 두드러진 원초성과 수동적 성격으로 인해 이러한 현상학의 지향과 잘 부합한다.
      이러한 숭고의 체험을 현상학적으로 잘 드러내고 있는 현상학자가 바로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이다. 하이데거는 존재에 대한 탐구를 현상학적으로 수행하면서 기분이라는 현상에 주목한다. 그런데 여기서 기분의 가장 원초적인 형태가 바로 낯설음의 기분이다. 낯설음은 친숙한 일상성을 깨뜨리고 숨겨져 있던 존재의 이면을 새롭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낯설음은 일상성을 파괴한다는 점에서는 하나의 부정적 충격이지만 새로운 세계의 드러냄이라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낯설음의 기분이 지니는 이중적 성격은 바로 전통적인 숭고의 체험이 지니는 양가적 감정, 곧 공포와 쾌감이라는 두 측면의 요소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하이데거는 전통적인 숭고의 계기를 현상학적으로 수용, 재해석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하이데거에서는 숭고의 필수적 계기로서의 낯설음이 어떤 배경에서 일어나는지 그리고 그것이 누구에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한계를 나름대로 극복, 보다 감성화된 언어로 구체적으로 숭고성을 표현하고 있는 현상학자가 바로 메를로-뽕띠이다. 그는 하이데거에서는 제대로 설명되지 못한 낯설음의 원인과 근거에 대해서 신체성과 살 그리고 세계의 부조화적 우연성 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인간의 신체와 세계가 접하는 것은 총체적이고 복합적인 형태의 관계와 얽힘으로서 가능하며 이는 이 세계와 신체 모두 공히 동질적인 ‘살’에 의해 매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여기에 어떤 조화나 규칙이 있다기 보다는 무규정적 부조화와 우연만이 지배할 뿐이며 이는 그만치 살로 뒤 덮인 이 세계가 복잡하고 애매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화가는 이러한 이러한 육화된 세계를 감성적으로 잘 포착할 수 있는데 그가 가진 대표적인 정서가 바로 낯설음이다. 그러나 이때의 낯설음은 세계의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에 대한 찬탄이라기 보다는 존재의 사실에 대한 단순한 공감일 뿐이다. 바로 여기에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 숭고관의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숭고의 체험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이고 감성적인 체험이라는 점에서 이것이 하나의 예술론으로 자연스럽게 전이하게 되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바로 여기에 숭고의 현상학은 현상학적 예술론으로 정당화될 이유가 놓여 있다.
      번역하기

      현상학의 주된 관심사는 주어진 사태를 어떻게 하면 생생하고도 구체성을 지닌 채 확보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여기서 숭고의 체험은 그 두드러진 원초성과 수동적 성격으로 인해 이러한 ...

      현상학의 주된 관심사는 주어진 사태를 어떻게 하면 생생하고도 구체성을 지닌 채 확보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여기서 숭고의 체험은 그 두드러진 원초성과 수동적 성격으로 인해 이러한 현상학의 지향과 잘 부합한다.
      이러한 숭고의 체험을 현상학적으로 잘 드러내고 있는 현상학자가 바로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이다. 하이데거는 존재에 대한 탐구를 현상학적으로 수행하면서 기분이라는 현상에 주목한다. 그런데 여기서 기분의 가장 원초적인 형태가 바로 낯설음의 기분이다. 낯설음은 친숙한 일상성을 깨뜨리고 숨겨져 있던 존재의 이면을 새롭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낯설음은 일상성을 파괴한다는 점에서는 하나의 부정적 충격이지만 새로운 세계의 드러냄이라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낯설음의 기분이 지니는 이중적 성격은 바로 전통적인 숭고의 체험이 지니는 양가적 감정, 곧 공포와 쾌감이라는 두 측면의 요소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하이데거는 전통적인 숭고의 계기를 현상학적으로 수용, 재해석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하이데거에서는 숭고의 필수적 계기로서의 낯설음이 어떤 배경에서 일어나는지 그리고 그것이 누구에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한계를 나름대로 극복, 보다 감성화된 언어로 구체적으로 숭고성을 표현하고 있는 현상학자가 바로 메를로-뽕띠이다. 그는 하이데거에서는 제대로 설명되지 못한 낯설음의 원인과 근거에 대해서 신체성과 살 그리고 세계의 부조화적 우연성 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인간의 신체와 세계가 접하는 것은 총체적이고 복합적인 형태의 관계와 얽힘으로서 가능하며 이는 이 세계와 신체 모두 공히 동질적인 ‘살’에 의해 매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여기에 어떤 조화나 규칙이 있다기 보다는 무규정적 부조화와 우연만이 지배할 뿐이며 이는 그만치 살로 뒤 덮인 이 세계가 복잡하고 애매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화가는 이러한 이러한 육화된 세계를 감성적으로 잘 포착할 수 있는데 그가 가진 대표적인 정서가 바로 낯설음이다. 그러나 이때의 낯설음은 세계의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에 대한 찬탄이라기 보다는 존재의 사실에 대한 단순한 공감일 뿐이다. 바로 여기에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 숭고관의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숭고의 체험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이고 감성적인 체험이라는 점에서 이것이 하나의 예술론으로 자연스럽게 전이하게 되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바로 여기에 숭고의 현상학은 현상학적 예술론으로 정당화될 이유가 놓여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lear the relation between the sublime an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henomenology is characterized by its method, the given in its originality and purity to catch and keep. So the phenomenologists regard lived experiences(Erlebnis) as the foundation for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The one of the most outstanding lived experiences is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This experience is famous for its deeply shocking character, so that man is here fascinated by Being itself. The feeling of the sublime shows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Being, world), which is very phenomenological.
      Heidegger and Merleau-Ponty didn't treat this sublime explicitly as a main theme, but their late philosophies represent a strong relation to it. Heidegger considers in his late period the work of art as the place in which the truth(Aletheia) as disclosing occurs. He thinks that the feeling of unfamiliarity(Unheimlichkeit) plays here a central role. And this feeling of unfamiliarity is -so I think- an art of the sublime. So we can interpret the philosophy of Heidegger as the philosophy of the sublime. But Heidegger's reflexion on the sublime is in my opinion somewhat unclear in that the structure and cause of the feeling of the sublime are not explained. Merleau-Ponty is at this point noteworthy, because he indicates the relation of the body to the sublime. The flesh which connects body with world would be a important cause or base for the feeling of the sublime. So it becomes more clear in Merleau-Ponty the phenomenological implication of the sublime.
      As long as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is the passive and sensitive, the phenomenology of the sublime should be developed as a phenomenological theory of art. So I advocate the thesis that the phenomenology is in the end to be an ar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lear the relation between the sublime an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henomenology is characterized by its method, the given in its originality and purity to catch and keep. So the phenomenologists regard lived experiences(Er...

      This study aims to clear the relation between the sublime an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henomenology is characterized by its method, the given in its originality and purity to catch and keep. So the phenomenologists regard lived experiences(Erlebnis) as the foundation for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The one of the most outstanding lived experiences is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This experience is famous for its deeply shocking character, so that man is here fascinated by Being itself. The feeling of the sublime shows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Being, world), which is very phenomenological.
      Heidegger and Merleau-Ponty didn't treat this sublime explicitly as a main theme, but their late philosophies represent a strong relation to it. Heidegger considers in his late period the work of art as the place in which the truth(Aletheia) as disclosing occurs. He thinks that the feeling of unfamiliarity(Unheimlichkeit) plays here a central role. And this feeling of unfamiliarity is -so I think- an art of the sublime. So we can interpret the philosophy of Heidegger as the philosophy of the sublime. But Heidegger's reflexion on the sublime is in my opinion somewhat unclear in that the structure and cause of the feeling of the sublime are not explained. Merleau-Ponty is at this point noteworthy, because he indicates the relation of the body to the sublime. The flesh which connects body with world would be a important cause or base for the feeling of the sublime. So it becomes more clear in Merleau-Ponty the phenomenological implication of the sublime.
      As long as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is the passive and sensitive, the phenomenology of the sublime should be developed as a phenomenological theory of art. So I advocate the thesis that the phenomenology is in the end to be an ar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