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경설계(CPTED)를 활용한 도시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revention of Urban Crime Using CP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40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last two decades urban crime has increased over 200 percent and recently become sophisticated and ferocious form. Because this urban crime is occurr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e necessity of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is increasing to prevent urban crim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important factors and planning direction on prevention of urban crime with CPTED and its theories. As a result, this study draws the environmental factor of CPTED such as, approach control, surveillance, and sense of territory from case study. This study analyzes relative importance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proposes planning considered by factors. In detail with the primary outcome of the analysis, there are two importances, surveillance in physical factor, and social relationship in social factor. An approach control against subjects is also appeared as the secondary importance. Based on the outcome, this study proposes planning guide for physical and non-physical planning. In physical planning guide, this provides CPTED design guide for urban planning, architectural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Also, in non-physical planning guide, this provides CPTED administrative aspect for police and urban administration.
      번역하기

      For last two decades urban crime has increased over 200 percent and recently become sophisticated and ferocious form. Because this urban crime is occurr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e necessity of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or last two decades urban crime has increased over 200 percent and recently become sophisticated and ferocious form. Because this urban crime is occurr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e necessity of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is increasing to prevent urban crim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important factors and planning direction on prevention of urban crime with CPTED and its theories. As a result, this study draws the environmental factor of CPTED such as, approach control, surveillance, and sense of territory from case study. This study analyzes relative importance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proposes planning considered by factors. In detail with the primary outcome of the analysis, there are two importances, surveillance in physical factor, and social relationship in social factor. An approach control against subjects is also appeared as the secondary importance. Based on the outcome, this study proposes planning guide for physical and non-physical planning. In physical planning guide, this provides CPTED design guide for urban planning, architectural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Also, in non-physical planning guide, this provides CPTED administrative aspect for police and urban administ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환경설계(CPTED) 개념 및 시사점
      • 3. 환경설계(CPTED)의 요소 간 중요도 분석
      • 4. 환경설계(CPTED)의 계획 및 관리방향
      • Abstract
      • 1. 서론
      • 2. 환경설계(CPTED) 개념 및 시사점
      • 3. 환경설계(CPTED)의 요소 간 중요도 분석
      • 4. 환경설계(CPTED)의 계획 및 관리방향
      • 5. 결론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 16 (16): 33-61, 2007

      2 이제선,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한국적 도입방안을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 20 (20): 213-232, 2008

      3 백혜웅,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제도적 고찰" 전남대학교 2009

      4 박현호, "한국적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제도적 고찰" 한국경찰연구학회 5 (5): 113-160, 2006

      5 김동호, "지역사회 범죄예방과 경호활동 - CPTED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2005

      6 김걸, "일본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프로그램(CPTED)" 326 : 2008

      7 김길섭, "안전한 도시를 위한 CPTED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경찰법무대학원 2007

      8 남재성, "범죄예방을 위한 CPTED기법의 활용방안" 2007

      9 박현호,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표준화 연구[1]" 국립경찰대학교 2007b

      10 정재희, "범죄로부터 안전한 지역만들기를 위한 CPTED의 의의와 경남의 정책방향" (7) : 2007

      1 김영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 16 (16): 33-61, 2007

      2 이제선,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한국적 도입방안을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 20 (20): 213-232, 2008

      3 백혜웅,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제도적 고찰" 전남대학교 2009

      4 박현호, "한국적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제도적 고찰" 한국경찰연구학회 5 (5): 113-160, 2006

      5 김동호, "지역사회 범죄예방과 경호활동 - CPTED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2005

      6 김걸, "일본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프로그램(CPTED)" 326 : 2008

      7 김길섭, "안전한 도시를 위한 CPTED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경찰법무대학원 2007

      8 남재성, "범죄예방을 위한 CPTED기법의 활용방안" 2007

      9 박현호,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표준화 연구[1]" 국립경찰대학교 2007b

      10 정재희, "범죄로부터 안전한 지역만들기를 위한 CPTED의 의의와 경남의 정책방향" (7) : 2007

      11 Block, R., "Space, place, and crime: hot spot areas and hot places of liquor-related crime. in Crime and Place Eds" Willow Tree Press 1995

      12 Brantingham, P. L., "Nodes, Paths, and Edges: considerations on the complexity of crime and phusical environment" 13 : 1993

      13 Koide, O., "Developing the CPTED policy in Japan" (168) : 2-6, 1998

      14 Tempe City Council,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US"

      15 강용길, "CPTED(환경설계에 의한 범죄예방)의 사례분석을 통한 효율적 도입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6

      16 삼천지구대, "CPTED 범죄예방 프로젝트" 서울지방경찰청 수서경찰서 2005

      17 김영환, "CPTED 기법을 적용한 주거지역의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3 (13): 273-278, 2008

      18 Akiko Ogawa,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occurrence of crime and its spatial tendency in Shibuya area" Center for Spatial Information Science,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2002

      19 ACT Crime Prevention Committee, "ACT Community Safety Strategy, Canberra"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외국어명 :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37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