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운영전> 창작의 문학적 배경과 연원 = A study on the literary source of Unyeong-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99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yeong-jeon begins with the sentence, "Mansion Sooseong was the mansion of Prince Anpyeong in the past". Mansion Sooseong is the main space of the novel. But Prince Anpyeong's mansion had not been called Mansion Sooseong in his days. The name '壽成宮' has been used after Prince Anpyeong was died for treason and his mansion was handed over to the royal concubines of King Moonjong. Mansion Sooseong was written as 壽聖宮, too. 壽聖宮 is found in the document of Chosun period, but it is the false report of Palace Ingyeong. The writer join Mansion Sooseongs and Palace Ingyeong for he intended the overlapping of two images, Prince Anpyeong and palace.
      As Mansion Sooseong is the palace in Unyeong-jeon, the maids of Mansion Sooseong is represented as the court lady. They cannot go out freely, cannot meet another man but Prince Anpyeong, and can't marry. However this image of court lady is unreal.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women of Unyeong-jeon and real court lady of Chosun.
      I infer the unreal image of this novel from the Songs of court lady, some kind of Chinese Music Bureau poetry, because I can find the image of incarcerated court lady in the Songs of court lady. Besides, many songs of court lady is written in female narrator's first person like Unyeong-jeon. So I think Unyeong-jeon was written in the Songs literary tradition of Chinese Music Bureau poetry and romantic novel of Chosun.
      번역하기

      Unyeong-jeon begins with the sentence, "Mansion Sooseong was the mansion of Prince Anpyeong in the past". Mansion Sooseong is the main space of the novel. But Prince Anpyeong's mansion had not been called Mansion Sooseong in his days. The name '壽成...

      Unyeong-jeon begins with the sentence, "Mansion Sooseong was the mansion of Prince Anpyeong in the past". Mansion Sooseong is the main space of the novel. But Prince Anpyeong's mansion had not been called Mansion Sooseong in his days. The name '壽成宮' has been used after Prince Anpyeong was died for treason and his mansion was handed over to the royal concubines of King Moonjong. Mansion Sooseong was written as 壽聖宮, too. 壽聖宮 is found in the document of Chosun period, but it is the false report of Palace Ingyeong. The writer join Mansion Sooseongs and Palace Ingyeong for he intended the overlapping of two images, Prince Anpyeong and palace.
      As Mansion Sooseong is the palace in Unyeong-jeon, the maids of Mansion Sooseong is represented as the court lady. They cannot go out freely, cannot meet another man but Prince Anpyeong, and can't marry. However this image of court lady is unreal.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women of Unyeong-jeon and real court lady of Chosun.
      I infer the unreal image of this novel from the Songs of court lady, some kind of Chinese Music Bureau poetry, because I can find the image of incarcerated court lady in the Songs of court lady. Besides, many songs of court lady is written in female narrator's first person like Unyeong-jeon. So I think Unyeong-jeon was written in the Songs literary tradition of Chinese Music Bureau poetry and romantic novel of Chosu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수성궁은 <운영전>의 중심공간이다. 그러나 안평대군의 실제 第宅은 비해당으로, ‘壽成宮’은 안평대군의 사후에 사용된 명칭이었다. 그동안 『속잡록』의 ‘壽聖宮’ 관련 기록은 <운영전>의 창작시기를 추정하는 근거로 제시되었지만, 실록의 기록과 대조해보면 ‘인경궁’ 관련 기사를 잘못 기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운영전>의 작자는 안평대군의 私宮인 비해당 대신 ‘수성궁’을 등장시킴으로써 『속잡록』의 ‘壽聖宮’이 지니고 있는 궁궐로서의 이미지를 차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궁궐로서 수성궁의 이미지는 수성궁 궁녀들이 궁가의 궁비가 아닌 ‘궁녀’로 형상화되고 있다는 점과도 상통한다. 수성궁의 궁녀들은 대궐에 소속된 나인들의 실제 삶보다도 더 구속된 존재로 그려지고 있는데, 수성궁 궁녀의 이미지는 당대 현실에 기반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허구화된 이미지이다.
      수성궁 궁녀들의 ‘유폐된 궁녀’ 이미지가 당나라 궁원시에 등장하는 궁녀의 이미지와 흡사한 것으로 볼 때, 궁원시의 영향이 감지된다. <운영전>의 1인칭 서술 또한 궁원시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작자는 궁원시의 전통에서 형성된 여성화자의 독백체를 차용하여, 유영의 3인칭 서술 속에 운영의 1인칭 서술을 삽입한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수성궁은 <운영전>의 중심공간이다. 그러나 안평대군의 실제 第宅은 비해당으로, ‘壽成宮’은 안평대군의 사후에 사용된 명칭이었다. 그동안 『속잡록』의 ‘壽聖宮’ 관련 기록은 <...

      수성궁은 <운영전>의 중심공간이다. 그러나 안평대군의 실제 第宅은 비해당으로, ‘壽成宮’은 안평대군의 사후에 사용된 명칭이었다. 그동안 『속잡록』의 ‘壽聖宮’ 관련 기록은 <운영전>의 창작시기를 추정하는 근거로 제시되었지만, 실록의 기록과 대조해보면 ‘인경궁’ 관련 기사를 잘못 기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운영전>의 작자는 안평대군의 私宮인 비해당 대신 ‘수성궁’을 등장시킴으로써 『속잡록』의 ‘壽聖宮’이 지니고 있는 궁궐로서의 이미지를 차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궁궐로서 수성궁의 이미지는 수성궁 궁녀들이 궁가의 궁비가 아닌 ‘궁녀’로 형상화되고 있다는 점과도 상통한다. 수성궁의 궁녀들은 대궐에 소속된 나인들의 실제 삶보다도 더 구속된 존재로 그려지고 있는데, 수성궁 궁녀의 이미지는 당대 현실에 기반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허구화된 이미지이다.
      수성궁 궁녀들의 ‘유폐된 궁녀’ 이미지가 당나라 궁원시에 등장하는 궁녀의 이미지와 흡사한 것으로 볼 때, 궁원시의 영향이 감지된다. <운영전>의 1인칭 서술 또한 궁원시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작자는 궁원시의 전통에서 형성된 여성화자의 독백체를 차용하여, 유영의 3인칭 서술 속에 운영의 1인칭 서술을 삽입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숙, "「雲英傳」과 「洞仙記」 속 惡人 탄생의 의미" 한국한문고전학회 21 (21): 221-242, 2010

      2 박혜숙, "형성기의 한국악부시연구" 한길사 1991

      3 박희병, "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2005

      4 안대회, "한국악부시의 장르적 성격" 한국시가학회 1 : 121-145, 1997

      5 "한국문집총간"

      6 大谷森繁, "조선후기 소설독자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5

      7 박혜숙, "조선전기 악부시 연구" 13 : 109-130, 1992

      8 이종묵, "조선의 문화공간1" 휴머니스트 2006

      9 "조선왕조실록"

      10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 도시사" 태학사 2007

      1 김정숙, "「雲英傳」과 「洞仙記」 속 惡人 탄생의 의미" 한국한문고전학회 21 (21): 221-242, 2010

      2 박혜숙, "형성기의 한국악부시연구" 한길사 1991

      3 박희병, "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2005

      4 안대회, "한국악부시의 장르적 성격" 한국시가학회 1 : 121-145, 1997

      5 "한국문집총간"

      6 大谷森繁, "조선후기 소설독자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5

      7 박혜숙, "조선전기 악부시 연구" 13 : 109-130, 1992

      8 이종묵, "조선의 문화공간1" 휴머니스트 2006

      9 "조선왕조실록"

      10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 도시사" 태학사 2007

      11 손정목, "조선시대 도시사회 연구" 1977

      12 신재홍, "운영전의 삼각관계와 숨김의 미학"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8) : 111-138, 2004

      13 조용호, "운영전 서사론" 한국고전연구학회 3 : 123-161, 1997

      14 김수연, "운영의 자살심리와 <운영전>의 치유적 텍스트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시론" 한국고전연구학회 (21) : 233-272, 2010

      15 이혜순, "여성화자 시의 한시전통" 한국한문학회 19 : 21-45, 1996

      16 "승정원일기"

      17 "속대전"

      18 이찬, "서울의 옛 지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1995

      19 박혜숙, "남성의 시각과 여성의 현실:서사한시의 경우" 민족문학사연구 9 : 28-54, 1996

      20 신명호, "궁녀" 시공사 2004

      21 김동욱, "궁녀가 쓴 가사 <궁녀>" 문헌과해석사 (겨울) : 231-243, 2006

      22 "국역연려실기술"

      23 "국대전"

      24 황혜진, "고전소설 소재 인물의 역사적 삶에 대한 연구 -<운영전>의 안평대군에 대한 실록의 기록을 대상으로-" 한국고소설학회 (29) : 117-148, 2010

      25 宋貞愛, "雲英傳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7

      26 김은아, "盛唐樂府詩硏究" 대만국립대학교 1990

      27 中津濱涉, "樂府詩集の硏究" 汲古書院 1970

      28 강창구, "唐代宮怨詩의 創作背景과 內容考" 중국인문학회 22 : 71-98, 2001

      29 김은아, "初唐樂府詩初探" 11 : 71-90, 1992

      30 정출헌, "<운영전>의 중층적 애정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 In 고전소설사의 구도와시각" 소명출판 81-121, 1999

      31 정출헌, "<운영전>의 중층적 애정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 In 고전소설사의 구도와시각" 소명출판 81-121, 1999

      32 전성운, "<운영전>의 인물 성향과 비회(悲懷)의 정조" 민족어문학회 0 (0): 115-143, 2007

      33 강상순, "<운영전>의 인간학과 그 정신사적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39) : 125-160, 2011

      34 양승민, "<운영전>의 연구 성과와 그 전망" 123-149, 2002

      35 엄태식, "<운영전>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28) : 39-69, 2009

      36 김지연, "<운영전>의 서사구조와 시점연구" 새얼어문학회 17 : 229-259, 2005

      37 박일용, "<운영전>의 비극적 성격과 그 사회적 의미, In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66-188, 1993

      38 신경숙, "<운영전>의 반성적 검토" 한성대학교 9 : 1-84, 1990

      39 정길수, "<운영전>의 메시지-캐릭터 설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 한국고소설학회 (28) : 71-103, 2009

      40 이상구, "<운영전>의 갈등양상과 작가의식" 한국고소설학회 5 : 133-176, 1998

      41 김경미, "<운영전>에 나타난 여성 서술자의 의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4 : 35-65, 2002

      42 안창수, "<운영전>에 나타난 규범과 일탈의 변증법" 한민족어문학회 (59) : 295-336, 2011

      43 박기석, "<운영전> 재평가를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37 : 81-94, 1980

      44 정규식, "<雲英傳>에 형상화된 삶의 권력과 죽음의 권리" 한국고소설학회 (31) : 41-70, 2011

      45 윤세순, "17세기 전기소설에 나타난 삽입시가의 존재양상과 기능 -「周生傳」·「韋敬天傳」·「雲英傳」·「想思洞記」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42) : 165-194, 2010

      46 정환국, "16세기 말 17세기 초 사상사의 흐름 속에서 본 운영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7 (7): 261-292, 2003

      47 황위주, "16-7세기 악부시의 출현동인과 전개과정" 한국한문학회 12 : 227-264,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5 1.52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