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노년교육학(Educational Gerontology)이 수립한 학문적 정체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보다 공고한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노력이 무엇인 지를 밝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488093
2021
-
338
KCI등재
학술저널
23-47(2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노년교육학(Educational Gerontology)이 수립한 학문적 정체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보다 공고한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노력이 무엇인 지를 밝히...
본 연구는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노년교육학(Educational Gerontology)이 수립한 학문적 정체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보다 공고한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노력이 무엇인 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학문적 정체성을 내적 정체성(과학적 정체성, 경계 정체성)과 외적 정체성으로 구분하였다. 노년교육학의 내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년교육연구」과 「한국노년학」에 최근 6년 간 게재된 논문 98 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노년교육학회의 주요 활동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정체성 영역에서 노년교육학은 고유한 탐구 대상과 다양한 연구방법을 갖고있지만, 고유한 이론체계 구축이 미흡하였다. 경계 정체성과 관련해서는 타 국가의 노년교육학과 차별점을 갖기 위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었으며, 한국적 이론화 시도는부족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외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 비록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노년교육학회가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노년교육학이 새로운 분과학문으로서 공고히 자리매김하기 위해 개별 연구자 및 학술단체 차원에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지를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academic identity established by Educational Gerontology as a new discipline, and to reveal what effort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solid academic identity in the field of Educational Gerontology. To th...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academic identity established by Educational Gerontology as a new discipline, and to reveal what effort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solid academic identity in the field of Educational Gerontology. To this end, disciplinary identity was divided into internal identity (scientific and boundary identity) and external identity. In order to analyze the inner identi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98 research published in the last 6 years were analyz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and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In addition, the main activities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analyzed in order to ascertain the external identity. For the scientific identity, Educational Gerontology had its own subject of inquiry and used various research methods, but the establishment of its own theoretical system was insufficient. Regarding boundary identity, it was revealed that attempts to have own theoretical system developed by Korean researchers were insufficient.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has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to form an external identity, even though it has a short history. Lastly, this study suggested what kind of efforts are need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researchers and academic organiza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position as a new academic disciplina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희, "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노인교육의 방법" 한국노년교육학회 4 (4): 71-85, 2018
2 심영옥, "행복한 삶을 위한 노인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20
3 김주현, "한국노년학의 사회학 분야 연구동향" 한국노년학회 38 (38): 745-766, 2018
4 허준수, "한국노년학의 사회복지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노년학회 38 (38): 725-744, 2018
5 김현숙, "한국노년학의 보건·의료·건강영역 연구동향" 38 (38): 745-766, 2018
6 문미옥,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35-154, 2004
7 신미식, "한국 노인민주시민교육 활성화 필요성과 과제" 한국노년교육학회 5 (5): 83-104, 2019
8 윤현숙, "한국 노년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노년학회 26 (26): 447-460, 2006
9 김장중, "학부모학 기반 형성을 위한 학문적 정체성 찾기" 3 (3): 1-23, 2016
10 장상호, "학문과 교육(상)"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 박성희, "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노인교육의 방법" 한국노년교육학회 4 (4): 71-85, 2018
2 심영옥, "행복한 삶을 위한 노인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20
3 김주현, "한국노년학의 사회학 분야 연구동향" 한국노년학회 38 (38): 745-766, 2018
4 허준수, "한국노년학의 사회복지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노년학회 38 (38): 725-744, 2018
5 김현숙, "한국노년학의 보건·의료·건강영역 연구동향" 38 (38): 745-766, 2018
6 문미옥,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35-154, 2004
7 신미식, "한국 노인민주시민교육 활성화 필요성과 과제" 한국노년교육학회 5 (5): 83-104, 2019
8 윤현숙, "한국 노년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노년학회 26 (26): 447-460, 2006
9 김장중, "학부모학 기반 형성을 위한 학문적 정체성 찾기" 3 (3): 1-23, 2016
10 장상호, "학문과 교육(상)"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1 김한별,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본 노년기 성인의 학습경험 탐구방식" 한국노년교육학회 5 (5): 41-56, 2019
12 김영준, "특수교육 증거기반 실제의 장애인평생교육 학문적 특수성으로의 융합화: 일반평생교육 대비 관점" 국방안보연구소 4 (4): 75-89, 2020
13 최일선, "지식의 맥락성과 노년교육" 한국노년교육학회 5 (5): 21-38, 2019
14 허만용,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 한국정책학회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1 (21): 1-32, 2012
15 신미식, "임파워먼트를 위한 노인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8
16 장지은, "일본의 고령자 보람취로에 관한 평생교육적 고찰 : 실버인재센터의 일 교육의 특징을 중심으로" 1 (1): 41-68, 2015
17 원영희, "세대갈등과 세대통합에 대한 고찰: 노년교육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노년교육학회 5 (5): 63-85, 2019
18 송선희, "새론 쓴 노인교육론" 신정 2016
19 정연희, "문화예술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2 (12): 81-101, 2014
20 양흥권, "메타인지적 관점에서의 ‘노년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2019
21 박성희, "독일 노인대학교 및 U3A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대학 노인평생교육 체제 구축 방향" 한국노년교육학회 5 (5): 1-18, 2019
22 정창우, "도덕과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연구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15): 85-111, 2012
23 조동일, "대등한 화합 : 동아시아문명의 심층" 지식산업사 2020
24 김영석, "노인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척도개발 연구" 한국노년학회 35 (35): 863-880, 2015
25 이준우, "노인문해교육" 파란마음 2011
26 김영석, "노인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구" 3 (3): 33-51, 2017
27 임구원, "노인교육론" 지식공동체 2020
28 한정란, "노인교육론" 학지사 2015
29 최운실, "노인교육론" 양서원 2017
30 김종서, "노인교육과정 개발" 236-240, 1984
31 장유정, "노인과 스마트 미디어 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32 신현석,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진단과 과제의 탐색" 한국교육정치학회 20 (20): 217-257, 2013
33 최성욱,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조건과 실과교육"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6 (16): 1-24, 2010
34 한정란, "『한국노년학』의 교육 분야 연구동향" 한국노년학회 38 (38): 685-703, 2018
35 정태연, "『韓國老年學』의 심리학 분야 연구동향" 한국노년학회 38 (38): 767-782, 2018
36 Peterson, D., "Who are the educational gerontologists" 5 (5): 65-77, 1980
37 Krishnan, A., "What are Academic Disciplines?: Some observations on the Disciplinarity vs. Interdisciplinarity debate" ESRC National Centre for Research Methods NCRM 2009
38 Jarvis, P., "Trends in educational gerontology" 16 (16): 401-409, 1990
39 Glendenning, F., "Teaching and Learning in Later Life: Theoretical Implications" Ashgate Publishing Company 77-86, 2000
40 Hee Yang, "Subjective Age Perceptions of the Elderly"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6 (6): 23-42, 2020
41 Peterson, D. A., "Introduction to Educational Gerontology" Hemishere Publishing Corp 1-19, 1990
42 Peterson, D., "Educational Gerontology : The State of the Art" 1 (1): 61-73, 1976
43 통계청, "2020 고령자통계"
44 통계청, "2019년 생명표"
45 이미정, "100세 시대 시니어융합교육의 비밀, 나는 실버교육 강사다" 일일사 2020
노인복지관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 경기도 B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가의 취약노인 재산관리지원 경험에 대한 연구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치매예방교육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참여 비용부담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