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원지역 중ㆍ소도시의 도시형태 기초연구 - 강원지역 18개 시ㆍ군의 시가지 지역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Urban Forms of Medium and Small Sized Cities in the Gangwon Area - Focused on Urban Areas in 18 Cities and Counties of the Gangwo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49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orms centering around the urban tissue of 18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Gangwondo, presents frames of analysis for different time periods through approaches to the dimensions of space politics, and deduces detaile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mponents of urban tissue. The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Seven city unit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eleven county unit administrative districts had urban spac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orms and scales and these came from historical, geological, and environmental effect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 unique form characteristic deduc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treets, blocks, land parcels, and buildings acted as causes for the formative differentiation or similarities of each city and county administrative district. Also, it was found that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ivers, coastlines, and lakes affect the forms of entire cities and most urban areas (city centers) displayed formalized urban spatial structures based on grid-patterns. Land plots that are maintained during periods of growth are left as they are in partial military areas and in city administrative districts where downtown decline is occurring, displaying the reality of provincial towns in periods of decline.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orms centering around the urban tissue of 18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Gangwondo, presents frames of analysis for different time periods through approaches to the dimensions of space politics, a...

      This study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orms centering around the urban tissue of 18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Gangwondo, presents frames of analysis for different time periods through approaches to the dimensions of space politics, and deduces detaile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mponents of urban tissue. The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Seven city unit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eleven county unit administrative districts had urban spac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orms and scales and these came from historical, geological, and environmental effect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 unique form characteristic deduc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treets, blocks, land parcels, and buildings acted as causes for the formative differentiation or similarities of each city and county administrative district. Also, it was found that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ivers, coastlines, and lakes affect the forms of entire cities and most urban areas (city centers) displayed formalized urban spatial structures based on grid-patterns. Land plots that are maintained during periods of growth are left as they are in partial military areas and in city administrative districts where downtown decline is occurring, displaying the reality of provincial towns in periods of decli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강원도 중ㆍ소도시 18곳에서 나타나는 도시조직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형태의 특성을 분석하고, 공간정치 차원의 접근을 통해 시기별 분석의 틀을 제시하며, 도시조직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7개의 시단위 행정구역과 11 개의 군단위 행정구역은 각기 다른 형태와 규모의 시가지 공간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영향에서 비롯된다. 특히 가로, 블록, 필지, 건축물의 특성 분석을 통해 도출한 각각의 고유한 형태특성은 각 시군단위 행정구역 시가지의 형태적 차별성 혹은 유사성을 갖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천, 해안선, 호수 등 지형적, 지리적 특성이 전체 도시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시가지(원도심)의 상당수는 격자형 그리드 체계를 바탕으로 정형화된 도시공간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일부 군지역과 도심 쇠퇴가 일어나고 있는 시단위 행정구역에서는 성장기에 정비된 부지가 그대로 남겨져 쇠퇴기 지방 도시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강원도 중ㆍ소도시 18곳에서 나타나는 도시조직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형태의 특성을 분석하고, 공간정치 차원의 접근을 통해 시기별 분석의 틀을 제시하며, 도시조직의 구성요소...

      본 연구는 강원도 중ㆍ소도시 18곳에서 나타나는 도시조직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형태의 특성을 분석하고, 공간정치 차원의 접근을 통해 시기별 분석의 틀을 제시하며, 도시조직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7개의 시단위 행정구역과 11 개의 군단위 행정구역은 각기 다른 형태와 규모의 시가지 공간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영향에서 비롯된다. 특히 가로, 블록, 필지, 건축물의 특성 분석을 통해 도출한 각각의 고유한 형태특성은 각 시군단위 행정구역 시가지의 형태적 차별성 혹은 유사성을 갖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천, 해안선, 호수 등 지형적, 지리적 특성이 전체 도시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시가지(원도심)의 상당수는 격자형 그리드 체계를 바탕으로 정형화된 도시공간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일부 군지역과 도심 쇠퇴가 일어나고 있는 시단위 행정구역에서는 성장기에 정비된 부지가 그대로 남겨져 쇠퇴기 지방 도시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림,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쇠퇴와 중심시가지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257-280, 2019

      2 변필성, "지방중소도시 활성화를 위한 유형별 발전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21-26, 2015

      3 백영기, "전주시 공간구조의 변화, 1996~2014년" 한국도시지리학회 20 (20): 45-60, 2017

      4 김득수, "일제강점기 근대도시의 도시공간구조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 1910~30년대 忠淸南道 禮山의 도시공간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8 (8): 21-38, 2007

      5 전경구, "인구감소지역의 스마트 쇠퇴를 위한 축소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8 (28): 1-28, 2016

      6 박종철, "인구감소시대의 축소 도시계획 수립방안 : 전라남도 중소도시의 도시공간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3 (23): 55-88, 2011

      7 김리영, "시스템사고로 본 압축도시의 공간적 특성과 지속가능성과의 동태적 관계"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11 (11): 5-28, 2010

      8 박현찬, "서울의 도시형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9 민현석, "서울 사대문안의 역사적 도시조직의 변화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35-48, 2010

      10 박훈, "삼척시 지적자료 분석을 통한 근·현대 도시형태 변화 연구 - 근대이후 공간정치개념을 적용한 시기별 변화특성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2 (22): 27-38, 2020

      1 김성림,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쇠퇴와 중심시가지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257-280, 2019

      2 변필성, "지방중소도시 활성화를 위한 유형별 발전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21-26, 2015

      3 백영기, "전주시 공간구조의 변화, 1996~2014년" 한국도시지리학회 20 (20): 45-60, 2017

      4 김득수, "일제강점기 근대도시의 도시공간구조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 1910~30년대 忠淸南道 禮山의 도시공간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8 (8): 21-38, 2007

      5 전경구, "인구감소지역의 스마트 쇠퇴를 위한 축소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8 (28): 1-28, 2016

      6 박종철, "인구감소시대의 축소 도시계획 수립방안 : 전라남도 중소도시의 도시공간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3 (23): 55-88, 2011

      7 김리영, "시스템사고로 본 압축도시의 공간적 특성과 지속가능성과의 동태적 관계"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11 (11): 5-28, 2010

      8 박현찬, "서울의 도시형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9 민현석, "서울 사대문안의 역사적 도시조직의 변화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35-48, 2010

      10 박훈, "삼척시 지적자료 분석을 통한 근·현대 도시형태 변화 연구 - 근대이후 공간정치개념을 적용한 시기별 변화특성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2 (22): 27-38, 2020

      11 이병대, "도시건축의 경관개념을 적용한 중소도시 역세권재생 모델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12 박훈, "강원지역 중소도시의 도시형태 연구" 217-220, 2020

      13 오진모, "강원도 접경지역 개발 구상" 32 (32): 299-303,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