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정원 적정규모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1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효율성을 중심으로 대학 정원의 적정규모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대학 정원정책의 변천, 대학 정원규모 변화 추이, 대학 효율성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162개 일반대학이며, 2019년 기준 대학정보공시 데이터 중 대학 입학정원, 신입생수, 재학생 수, 취업 및 진학자 수, 1인당교육비 자료를 분석 변수로 활용하였다. 대학 효율성 분석에는 투입최소화 모형을 적용한 DEA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대학 효율성 분석 결과 전체 대학의 효율성 점수 평균은 98.02점이며, 소재지, 규모에 따라 효율성 점수의 통계적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비효율대학으로 분석된 149개 대학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원감소분은 3,913명으로 약 1.46%의 감축규모가 필요함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정원감축 의사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 정원규모 적정화를 위한 학계의 실증적 논의가 확장될 필요가 있다. 셋째, 축소 지향적인 대학 정원정책은 상생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 효율성을 중심으로 대학 정원의 적정규모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대학 정원정책의 변천, 대학 정원규모 변화 추이, 대학 효율성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

      본 연구는 대학 효율성을 중심으로 대학 정원의 적정규모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대학 정원정책의 변천, 대학 정원규모 변화 추이, 대학 효율성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162개 일반대학이며, 2019년 기준 대학정보공시 데이터 중 대학 입학정원, 신입생수, 재학생 수, 취업 및 진학자 수, 1인당교육비 자료를 분석 변수로 활용하였다. 대학 효율성 분석에는 투입최소화 모형을 적용한 DEA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대학 효율성 분석 결과 전체 대학의 효율성 점수 평균은 98.02점이며, 소재지, 규모에 따라 효율성 점수의 통계적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비효율대학으로 분석된 149개 대학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원감소분은 3,913명으로 약 1.46%의 감축규모가 필요함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정원감축 의사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 정원규모 적정화를 위한 학계의 실증적 논의가 확장될 필요가 있다. 셋째, 축소 지향적인 대학 정원정책은 상생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ze of the university quota, focusing on the efficienc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changes in university quota policy, changes in size of quota, and university efficiency were analyzed. The analysis data used admission quota, freshmen, students enrolled, employed, and educational cost. And the university efficiency analysis utilized the minimum input DEA.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university was 98.02 points, and the difference in efficiency score was confirmed depending on the district and scale. And the reduction in the quota of inefficient universities is 3,913, requiring 1.46% reduction. Relying 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First, a large number of empirical data for decision-making to reduce university quota should be presen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mpirical discussions to optimize size of the university capac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university quota policy, which is oriented toward reduc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ze of the university quota, focusing on the efficienc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changes in university quota policy, changes in size of quota, and university efficiency were analyzed. The analysis 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ze of the university quota, focusing on the efficienc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changes in university quota policy, changes in size of quota, and university efficiency were analyzed. The analysis data used admission quota, freshmen, students enrolled, employed, and educational cost. And the university efficiency analysis utilized the minimum input DEA.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university was 98.02 points, and the difference in efficiency score was confirmed depending on the district and scale. And the reduction in the quota of inefficient universities is 3,913, requiring 1.46% reduction. Relying 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First, a large number of empirical data for decision-making to reduce university quota should be presen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mpirical discussions to optimize size of the university capac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university quota policy, which is oriented toward redu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제혁, "한국 대학조직성과의 효율성 분석: DEA에 의한 비교" 한국행정학회 48 (48): 133-155, 2014

      2 김용희, "한국 대학의 운영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Bootstrap DEA와 Tobit Regression을 중심으로-" 한국경영공학회 19 (19): 57-75, 2014

      3 김일환, "한국 대학구조조정의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2003-2012" 비판사회학회 (110) : 201-238, 2016

      4 김동석,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 ㈜학지사 2015

      5 윤정일, "한국 교육정책의 탐구" 교육과학사 1996

      6 나민주, "한국 교육의 효율성 분석 : DEA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8

      7 신현석, "학부교육의 질과 성과의 의미에 대한 성찰과 쟁점"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73-102, 2016

      8 배상훈,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이 대학생의 학습과정과 교양기초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263-302, 2017

      9 서영인,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한계대학 대응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20

      10 김기환,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별 대입지원자감소에 대한 예측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1175-1188, 2015

      1 고제혁, "한국 대학조직성과의 효율성 분석: DEA에 의한 비교" 한국행정학회 48 (48): 133-155, 2014

      2 김용희, "한국 대학의 운영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Bootstrap DEA와 Tobit Regression을 중심으로-" 한국경영공학회 19 (19): 57-75, 2014

      3 김일환, "한국 대학구조조정의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2003-2012" 비판사회학회 (110) : 201-238, 2016

      4 김동석,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 ㈜학지사 2015

      5 윤정일, "한국 교육정책의 탐구" 교육과학사 1996

      6 나민주, "한국 교육의 효율성 분석 : DEA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8

      7 신현석, "학부교육의 질과 성과의 의미에 대한 성찰과 쟁점"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73-102, 2016

      8 배상훈,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이 대학생의 학습과정과 교양기초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263-302, 2017

      9 서영인,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한계대학 대응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20

      10 김기환,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별 대입지원자감소에 대한 예측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1175-1188, 2015

      11 반상진,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정원 조정 및 대학구조개혁 대책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20 (20): 189-211, 2013

      12 유기홍,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 정원 조정 시뮬레이션"

      13 노미현, "전문대학의 상대적 효율성 비교 분석: 대학평가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30 (30): 49-74, 2016

      14 한국경제, "전국 175개 대학 정원 못 채워...신입생 추가모집 10년來 최대"

      1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16 우상규, "자료포락분석(DEA)을 활용한 대학 운영의 효율성 평가: 대학평가정책의 효과성 진단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7 (27): 1265-1285, 2015

      17 이호섭, "자료포락분석(DEA)기법을 활용한 대학의 특성별 효율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41-65, 2008

      18 김성훈,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에 따른 대학의 효율성과 대학평가결과 비교"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1-26, 2008

      19 김지하, "인구절벽 시대를 반영한 대학설립운영 규정 개정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2019

      20 류방란, "인구절벽 시대 교육정책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8

      21 교육부, "인구구조 변화, 4차 산업혁명 대응 대학혁신 지원 방안 발표"

      22 강용주, "수요자 감소에 따른 대학정원정책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3 윤용화, "수도권지역의 고3학생 수 예측과 대학입학정원수와의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1 (21): 523-534, 2010

      24 문태형, "손익분기점을 이용한 대학교육원가 분석 모형의 개발" 한국회계정보학회 12 (12): 185-202, 2012

      25 신현대, "세계대학간 상대적 효율성 평가:DEA와 군집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9 (19): 96-128, 2009

      26 배현주,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생의 K-CESA 핵심역량 분석" 핵심역량교육학회 2 (2): 125-143, 2017

      27 오종진, "사립대학의 규모별·지역별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회계학회 (31) : 265-284, 2010

      28 오범호, "사립대학의 규모 및 범위의 경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1-19, 2010

      29 김수경, "사립대학 학생수와 비용 및 수익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257-278, 2007

      30 문보은, "사립대학 재정 결손 규모 및 변화 추이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20

      31 김수경, "사립대학 구조개혁의 경제적 접근 방안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139-166, 2015

      32 박영규, "사립대학 경영효율성에 대한 연구- 자료포락분석과 토빗회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27-53, 2010

      33 세계일보, "사립대, 교직원 인건비로 등록금 74% 사용"

      34 뉴스터치, "사립대 지난해 등록금 의존율 53.7%"

      35 장석환, "문민정부 이후 대학 정원정책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389-412, 2007

      36 박진형, "대학평가정책의 변화와 지속에 대한 제도적 분석" 서울대학교 2014

      37 이정규, "대학정원정책의 현황과 전망" 2 (2): 21-40, 2001

      38 최강식, "대학정원정책을 중심으로 본 한국의 대학구조개혁정책의 변화와 쟁점"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13-363, 2017

      39 장아름,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 고려대학교 2018

      40 이정미, "대학재정의 효율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163-186, 2010

      41 반상진, "대학규모의 경제성에 관한 연구" 19 (19): 339-362, 2001

      42 반상진, "대학구조개혁정책의 쟁점과 대응 과제에 관한 연구 - 학령인구 감소에 대한 새로운 대학구조개혁 패러다임 탐색 -" 한국공학교육학회 18 (18): 14-26, 2015

      43 반상진,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정치학"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59-89, 2016

      44 박정수,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59-80, 2009

      45 고영남, "대학 민주주의의 교육정치학: 강요받은 대학 구조조정"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13 (13): 59-82, 2017

      46 이진권, "대학 규모 및 범위의 경제성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53-82, 2013

      47 신현석, "대학 구조개혁정책의 쟁점 분석과 과제" 교육문제연구소 (42) : 1-40, 2012

      48 김미란, "대학 구조개혁 평가 방향 정립을 위한 대학평가 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4

      49 김대훈, "대학 구조개혁 추진에 따른 사립대학 운영 효율성 분석: 대학 기본역량 진단을 중심으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 (20): 191-200, 2020

      50 교육부, "대학 구조개혁 추진계획" 2014

      51 현정원, "국내대학의 효율성 및 적정규모 분석" 한국상업교육학회 29 (29): 151-171, 2015

      52 심춘식, "국·공립대학의 효율성 분석" 146-151, 2020

      53 유은혜, "교육부 1주기 대학정원감축정책 평가와 진단"

      54 송기창,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방안에 대한 논의"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9 (19): 125-153, 2010

      55 박경호, "고등교육 질 제고를 위한 재정투자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8

      56 남신동, "고등교육 질 보장을 위한 중장기 대학 진단체제 발전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20

      57 유현숙, "고등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학 구조조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58 세계일보, "고3, 2030년대 30만대...“2037년 대학정원 40% 못채워”"

      59 부산일보, "[교육부 재정지원 사업 설문조사 결과] 교수 70% “교육·연구에 도움 안 돼…효과에 회의적”"

      60 김도진, "DEA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 전문대학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대학기본역량진단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491-507, 2019

      61 권영훈, "DEA모형을 이용한 대학운영효율성 분석 연구; 수도권 소재대학과 지방소재대학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1 (11): 179-208, 2010

      62 김민희, "DEA를 활용한 대학의 연구생산성 제고방안 탐색"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9 (19): 33-64, 2010

      63 이황원, "DEA를 활용한 대학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 한국경영교육학회 (55) : 25-52, 2009

      64 배영민, "DEA를 활용한 국내 사립대학 운영 효율성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67-75, 2021

      65 윤홍주, "DEA를 활용한 교육대학교 운영의 효율성 평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7 (17): 29-57, 2008

      66 이석열, "DEA를 이용한 사립대학의 경영효율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381-403, 2009

      67 김화영, "DEA를 이용한 대학의 효율성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6 (26): 1-30, 2019

      68 김선민, "DEA를 이용한 대학 연구 효율성 비교 연구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5 (15): 249-258, 2013

      69 송운경, "3주기 및 4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후 전국 대학 유아교육과 효율성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517-529, 2021

      70 교육부, "2주기 대학 구조개혁 기본계획(안)" 2017

      71 교육부,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기본계획"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