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찬미, "현행 실시간 원격수업의 한계와 가상세계 기술을 적용한 사회과 원격수업의 가능성 탐색: 듀이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19-540, 2022
2 방정숙 ; 정희진,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97-321, 2006
3 교육부,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수업" 씨마스 2021
4 홍선주, "학교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2020
5 우운택, "포스트 메타버스" 포르체 2022
6 손태영, "초등학교 교과연계 인공지능 교육운영 사례" 25 (25): 111-114, 2021
7 김재웅 ; 이문형, "초등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트랜스휴먼’과 ‘미래직업탐색’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64) : 549-582, 2021
8 송주영,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의 수업자료 활용 방안 연구" 25 (25): 273-276, 2021
9 이재호 ; 이승훈 ; 이동형, "초등 AI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5 (25): 471-481, 2021
10 정유남 ; 이영희, "인공지능 콘텐츠를 활용한 국어과 융합 교육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81-705, 2022
1 김찬미, "현행 실시간 원격수업의 한계와 가상세계 기술을 적용한 사회과 원격수업의 가능성 탐색: 듀이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19-540, 2022
2 방정숙 ; 정희진,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97-321, 2006
3 교육부,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수업" 씨마스 2021
4 홍선주, "학교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2020
5 우운택, "포스트 메타버스" 포르체 2022
6 손태영, "초등학교 교과연계 인공지능 교육운영 사례" 25 (25): 111-114, 2021
7 김재웅 ; 이문형, "초등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트랜스휴먼’과 ‘미래직업탐색’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64) : 549-582, 2021
8 송주영,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의 수업자료 활용 방안 연구" 25 (25): 273-276, 2021
9 이재호 ; 이승훈 ; 이동형, "초등 AI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5 (25): 471-481, 2021
10 정유남 ; 이영희, "인공지능 콘텐츠를 활용한 국어과 융합 교육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81-705, 2022
11 류철균 ; 안보라, "어린이용 가상세계의 교육적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9 (9): 177-186, 2009
12 한국교육방송공사, "미래의 학교(DVD)"
13 고선영 ; 정한균 ; 김종인 ; 신용태, "문화 여가 중심의 메타버스 유형 및 발전 방향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10 (10): 331-338, 2021
14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메타버스의 구현과 긍정적 활용을 위한 극복과제와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92 : 1-6, 2021
15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한계" 글로벌정책연구부 2021
16 홍희경, "메타버스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22, 2021
17 윤진영 ; 김연형 ; 이채원, "메타버스를 활용한 창작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9 (39): 273-283, 2021
18 김신애 ; 방준성, "메타버스(metaverse)에서 디지털 아바타를 활용한 교육적 자아의 확장과 AI 아바타와 교육적 상호작용의 가능성" 한국교육원리학회 26 (26): 147-166, 2021
19 박상준, "메타버스 수업, 미래교육의 방향을 찾다" 교육과학사 2022
20 전준현, "메타버스 구성 원리에 대한 연구: 로블록스를 중심으로" 한국영상문화학회 (38) : 257-279, 2021
21 김상균, "메타버스 :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플랜비디자인 2020
22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모든 아이를 위한 보편적 정보 교육 확대 방안"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KiSEF) 2021
23 김도헌, "국내 교육 분야의 게임화(Gamification) 연구에 관한 문헌 고찰: 동향 분석과 비판적 논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457-482, 2020
24 조안나, "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탐구생활" 지노 2022
25 권낙원, "교육과정" 동문사 2011
26 Suh, W., "Utilizing the Metaverse for Learner-Centered Constructivist Education in the Post-Pandemic Era :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 (10): 1-17, 2022
27 김종윤, "OECD Education 2030 프레임 워크에 기반한 우리나라 교사의 역량 개발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1-145, 2021
28 Smart, J. M., "Metaverse roadmap overview"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29 Bredo, E., "Learners, learning and assessment" Open University Press 65-82, 1999
30 Ryan, R. M.,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3-33, 2002
31 이현정, "AI가 적용될 메타버스 시대를 위한 확장된 공감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 21 (21): 87-99, 2021
32 이지연 ; 김사훈, "3차원 가상세계의 교육적 활용 연구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59-17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