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 융합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Elementary Convergence Education Using Metaverse Plat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36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study attemp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of metavers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applying it to mathematics and convergence education Methods For 120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eaching and learning we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math learning games using ‘Seoul Edu Math Metaverse’ platform.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metaverse focused on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xisting math classes, and discussed what convergence education using metaverse platform would consider for future educa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on their thoughts on math classes using metaverse, and the results of qualitative observation by instructors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eacher observation and student interview analysis, metaverse convergence education was positive in terms of interest and immersion, but inappropriate communication in a virtual space, device use and functional limitations, and learning system problems were negative. In order to properly utilize the metaverse, classes should be designed tailored to students, but there was a limit to reflecting this diversity in the current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designing metaverse convergence classes and conducting teaching and learning, AI ethics an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required for proper interaction on metavers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upport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teacher training for education using metaverse were needed.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goal of education skill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skills and collaboration of converged to make a man-made disasters. To that end, metaverse platform is how it can be used at the scene of school education in this study math learning fusion, empirical analysis as an illustration. The study is metaverse platform to a variety of fusion of education,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metaverse literacy recharge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번역하기

      Objectives The study attemp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of metavers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applying it to mathematics and convergence education Methods For 120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Objectives The study attemp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of metavers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applying it to mathematics and convergence education Methods For 120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eaching and learning we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math learning games using ‘Seoul Edu Math Metaverse’ platform.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metaverse focused on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xisting math classes, and discussed what convergence education using metaverse platform would consider for future educa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on their thoughts on math classes using metaverse, and the results of qualitative observation by instructors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eacher observation and student interview analysis, metaverse convergence education was positive in terms of interest and immersion, but inappropriate communication in a virtual space, device use and functional limitations, and learning system problems were negative. In order to properly utilize the metaverse, classes should be designed tailored to students, but there was a limit to reflecting this diversity in the current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designing metaverse convergence classes and conducting teaching and learning, AI ethics an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required for proper interaction on metavers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upport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teacher training for education using metaverse were needed.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goal of education skill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skills and collaboration of converged to make a man-made disasters. To that end, metaverse platform is how it can be used at the scene of school education in this study math learning fusion, empirical analysis as an illustration. The study is metaverse platform to a variety of fusion of education,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metaverse literacy recharge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초등 수학 융합교육이 가능한지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치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1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서울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학학습게임 연계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교육역량을 반영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학 융합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학 수업소감을 학생들에게 인터뷰를 실시하고 교수자가 질적으로 관찰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의 관찰 및 학생의 인터뷰 질적 분석 결과, 메타버스 융합교육은 흥미성과 몰입도 측면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반응이 나타났지만 메타버스에서의 의사소통, 기기 활용과 관련 기능, 학습 시스템적 문제가 부정적 요소로 나타났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기위해서는 학생 맞춤형으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현행 교육과정에서 다양성을 반영한 융합교육에는 한계가 있었다. 메타버스 수업을설계하고 교수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올바른 상호작용을 위한 지침이 필요하며, 이를 반영하려는 인프라 구축, 교사 연수 등 여러고려와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미래교육의 목표는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협업 능력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를 키워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지 수학과 융합 교수학습 설계로 제시해 보았다. 이 연구는 메타버스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했으며, 메타버스 리터러시 함양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초등 수학 융합교육이 가능한지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치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소재 초등학교 ...

      목적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초등 수학 융합교육이 가능한지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치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1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서울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학학습게임 연계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교육역량을 반영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학 융합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학 수업소감을 학생들에게 인터뷰를 실시하고 교수자가 질적으로 관찰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의 관찰 및 학생의 인터뷰 질적 분석 결과, 메타버스 융합교육은 흥미성과 몰입도 측면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반응이 나타났지만 메타버스에서의 의사소통, 기기 활용과 관련 기능, 학습 시스템적 문제가 부정적 요소로 나타났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기위해서는 학생 맞춤형으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현행 교육과정에서 다양성을 반영한 융합교육에는 한계가 있었다. 메타버스 수업을설계하고 교수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올바른 상호작용을 위한 지침이 필요하며, 이를 반영하려는 인프라 구축, 교사 연수 등 여러고려와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미래교육의 목표는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협업 능력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를 키워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지 수학과 융합 교수학습 설계로 제시해 보았다. 이 연구는 메타버스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했으며, 메타버스 리터러시 함양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찬미, "현행 실시간 원격수업의 한계와 가상세계 기술을 적용한 사회과 원격수업의 가능성 탐색: 듀이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19-540, 2022

      2 방정숙 ; 정희진,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97-321, 2006

      3 교육부,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수업" 씨마스 2021

      4 홍선주, "학교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2020

      5 우운택, "포스트 메타버스" 포르체 2022

      6 손태영, "초등학교 교과연계 인공지능 교육운영 사례" 25 (25): 111-114, 2021

      7 김재웅 ; 이문형, "초등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트랜스휴먼’과 ‘미래직업탐색’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64) : 549-582, 2021

      8 송주영,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의 수업자료 활용 방안 연구" 25 (25): 273-276, 2021

      9 이재호 ; 이승훈 ; 이동형, "초등 AI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5 (25): 471-481, 2021

      10 정유남 ; 이영희, "인공지능 콘텐츠를 활용한 국어과 융합 교육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81-705, 2022

      1 김찬미, "현행 실시간 원격수업의 한계와 가상세계 기술을 적용한 사회과 원격수업의 가능성 탐색: 듀이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19-540, 2022

      2 방정숙 ; 정희진,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97-321, 2006

      3 교육부,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수업" 씨마스 2021

      4 홍선주, "학교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2020

      5 우운택, "포스트 메타버스" 포르체 2022

      6 손태영, "초등학교 교과연계 인공지능 교육운영 사례" 25 (25): 111-114, 2021

      7 김재웅 ; 이문형, "초등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트랜스휴먼’과 ‘미래직업탐색’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64) : 549-582, 2021

      8 송주영,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의 수업자료 활용 방안 연구" 25 (25): 273-276, 2021

      9 이재호 ; 이승훈 ; 이동형, "초등 AI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5 (25): 471-481, 2021

      10 정유남 ; 이영희, "인공지능 콘텐츠를 활용한 국어과 융합 교육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81-705, 2022

      11 류철균 ; 안보라, "어린이용 가상세계의 교육적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9 (9): 177-186, 2009

      12 한국교육방송공사, "미래의 학교(DVD)"

      13 고선영 ; 정한균 ; 김종인 ; 신용태, "문화 여가 중심의 메타버스 유형 및 발전 방향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10 (10): 331-338, 2021

      14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메타버스의 구현과 긍정적 활용을 위한 극복과제와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92 : 1-6, 2021

      15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한계" 글로벌정책연구부 2021

      16 홍희경, "메타버스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22, 2021

      17 윤진영 ; 김연형 ; 이채원, "메타버스를 활용한 창작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9 (39): 273-283, 2021

      18 김신애 ; 방준성, "메타버스(metaverse)에서 디지털 아바타를 활용한 교육적 자아의 확장과 AI 아바타와 교육적 상호작용의 가능성" 한국교육원리학회 26 (26): 147-166, 2021

      19 박상준, "메타버스 수업, 미래교육의 방향을 찾다" 교육과학사 2022

      20 전준현, "메타버스 구성 원리에 대한 연구: 로블록스를 중심으로" 한국영상문화학회 (38) : 257-279, 2021

      21 김상균, "메타버스 :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플랜비디자인 2020

      22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모든 아이를 위한 보편적 정보 교육 확대 방안"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KiSEF) 2021

      23 김도헌, "국내 교육 분야의 게임화(Gamification) 연구에 관한 문헌 고찰: 동향 분석과 비판적 논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457-482, 2020

      24 조안나, "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탐구생활" 지노 2022

      25 권낙원, "교육과정" 동문사 2011

      26 Suh, W., "Utilizing the Metaverse for Learner-Centered Constructivist Education in the Post-Pandemic Era :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 (10): 1-17, 2022

      27 김종윤, "OECD Education 2030 프레임 워크에 기반한 우리나라 교사의 역량 개발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1-145, 2021

      28 Smart, J. M., "Metaverse roadmap overview"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29 Bredo, E., "Learners, learning and assessment" Open University Press 65-82, 1999

      30 Ryan, R. M.,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3-33, 2002

      31 이현정, "AI가 적용될 메타버스 시대를 위한 확장된 공감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 21 (21): 87-99, 2021

      32 이지연 ; 김사훈, "3차원 가상세계의 교육적 활용 연구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59-179,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