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구곡은 부사 성여신(1546-1632)이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의 금천에 설정하고 경영했던 구곡원림이다. 경상도 남부지역에 존재하는 10개 미만의 구곡원림 중에서 남명학이 우세한 진주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03994
2014
Korean
금천구곡 ; 금천구곡시 ; 성여신 ; 이정 ; 남명 ; 청정성 ; 탁물우의 ; 선취경향 ; Geumcheon-gugok ; 琴川九曲 ; Geumcheon-gugok poem ; Seong Yeo-shin ; Cleanness ; 淸淨性 ; Takmuluui ; 托物寓意 ; Zen-fondness ; 仙趣
구)KCI등재(통합)
학술저널
273-302(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금천구곡은 부사 성여신(1546-1632)이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의 금천에 설정하고 경영했던 구곡원림이다. 경상도 남부지역에 존재하는 10개 미만의 구곡원림 중에서 남명학이 우세한 진주 지...
금천구곡은 부사 성여신(1546-1632)이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의 금천에 설정하고 경영했던 구곡원림이다. 경상도 남부지역에 존재하는 10개 미만의 구곡원림 중에서 남명학이 우세한 진주 지방의 금천구곡은 여러 측면에서 주목되는 원림이다. 성여신이 경영했던 금천구곡은 금천을 따라 내려가며 설정하였는데 제1곡이 봉학대, 제2곡이 황류연, 제3곡이 어풍정, 제4곡이 와운뢰, 제5곡이 적벽만, 제6곡이 송강진, 제7곡이 반구주, 제8곡이 임강정, 제9곡이 경심담이다. 금천구곡은 성여신이 71세 때에 여씨 향약과 퇴계의 향약을 참고하여 자신이 거처하는 고을에 적합한 동약을 만들어 건전한 유학의 문풍을 세우려고 하였는데 금천구곡의 설정도 이러한 풍속의 쇄신과 문풍학립의 일환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성여신은 구곡을 설정할 때에 주자의 무이구곡 설정 방식에 구애받을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 했을 것이다. 주자의 무이구곡은 아래로부터 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구곡을 설정했으나 금천구곡은 성여신이 동민들과 더불어 자연을 완상하며 심신을 정화하려는 목적이 컸으므로 물을 따라 내려 오면서 순리대로 구곡을 설정하게 되었다고 본다. <금천구곡시>도 그 형식부터 무이도가와 차별성을 띠게 되었다. 서시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무이도가를 차운하지도 않았다. 이는 성여신이 무이구곡을 맹목적으로 추종하기보다는 실용성에 무게를 두어 주자의 구곡문화를 보다 자연스럽게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경영하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도학을 추구하는 입도차제적 입장보다는 자연을 완상하는 인물기흥적 면모를 드러내면서도 탁흥우의적인 시세계를 펼쳤다. <금천구곡시>에는 부분적으로 선취경향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성여신이 만년에 동약을 만들어 행하고 금천구곡을 설정하여 경영하면서 한편으로는 신선의 세계를 찾아 유람을 즐기는 은일의 변모양상이라 하겠다. <금천구곡시>에 드러난 선취는 범부들이 사는 범속의 세계를 떠나 높은 정신세계, 청정한 세계를 지향하는 의식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umcheon-gugok(琴川九曲) is Gugok garden(九曲園林) that Seong Yeo- shin(1546-1632) had established and managed in the Geumcheon stream(琴川) of Gumsan-myeon, Jinju-si, Gyeongsangnam-do. Seong Yeo-shin established Geumcheon-gugok(琴川九...
Geumcheon-gugok(琴川九曲) is Gugok garden(九曲園林) that Seong Yeo- shin(1546-1632) had established and managed in the Geumcheon stream(琴川) of Gumsan-myeon, Jinju-si, Gyeongsangnam-do. Seong Yeo-shin established Geumcheon-gugok(琴川九曲) in order to reform custom and to settle writing style(文風). Thus, Gugok(九曲) was rationally established with going down along the water in the Geumcheon stream. Even Geumcheon-gugok poem(琴川九曲詩) came to have differentiation from Muidoga (武夷棹歌) by Zhuzi(朱子) just in its form. It not only has no prologue, but also had no rhyme-matching(次韻) of Muidoga. This seems to have been the intention of accepting and managing Zhuzi``s Gugok-culture(九曲文化) more naturally and subjectively by which Seong Yeo-shin did put weight on practicality rather than blindly following Mui-gugok(武夷九曲). Accordingly, he did spread the Takheunguui(托興寓意)-based poetic world even while revealing the Inmulgiheung(因物起興)-based aspect of appreciating nature rather than the Ipdochaje(入道次第)-based position of pursuing moral philosophy(道學). In Geumcheon-gugok poem, the partially Zen-fondness(仙趣) tendency is being revealed. This can be said to be a part of Eunil(隱逸) that Seong Yeo- shin enjoys sightseeing by searching for the world of scenic haven on the one hand while making and performing Dongyak(洞約, rule in village) in his latter years and managing Geumcheon-gugok. Zen-fondness, which was revealed in Geumcheon-gugok poem, can be considered to be what revealed the consciousness of pointing to the high mental world and the clean world with escaping from the secular world where ordinary people live.
투고논문 : 『주역(周易)』의 문왕팔괘도(文王八卦圖)에 근거한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성명론(性命論)」의 고찰
투고논문 : 『계암일록』을 통해 본 17세기 예안사족 김령의 인맥기반 형성과 특징
투고논문 : 李穀의 산문에 나타난 나눔 문화의 양상과 의미 - 「借馬說」과 「義財記」를 중심으로
투고논문 : 남파(南坡) 홍우원(洪宇遠)의 논설류 산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