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순수이성비판 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78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 『순수이성비판』 해제
      Ⅰ. 칸트의 철학 과제 = 17
      Ⅱ. 『순수이성비판』의 체제 = 22
      Ⅲ. '순수 이성 비판'과 그 결실 = 26
      Ⅳ. 칸트 초월철학의 체계 = 35
      1. 초월적 감성학 = 35
      1) 순수 직관으로서의 공간ㆍ시간 = 36
      2) 공간ㆍ시간 표상의 주관성 = 38
      3) 주관적 표상인 공간ㆍ시간의 경험적 직관 형식으로서의 객관적 실재성 = 39
      (1) 감성의 일람(一覽)작용과 그 형식 = 39
      (2) 공간ㆍ시간의 경험적 실재성과 초월적 관념성 = 40
      (3) 현상의 '형식'과 '질료'로부터 얻는 결론 = 44
      2. 초월적 논리학 = 45
      1) 순수 지성개념들의 연역 = 46
      (1) 순수 지성개념들의 형이상학적 연역 = 46
      (2) 순수 지성개념들의 초월적 연역 = 50
      2) 순수 지성의 종합적 원칙들 = 55
      (1) 양(量)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 = 56
      (2) 질(質)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 = 59
      (3) 관계(關係)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들 = 61
      ① 제1유추의 원칙 - 실체 개념의 객관적 사용 원칙 = 63
      ② 제2유추의 원칙 - 인과 개념의 객관적 사용 원칙 = 64
      ③ 제3유추의 원칙 - 상호작용 개념의 객관적 사용 원칙 = 66
      (4) 양태(樣態)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들 = 67
      Ⅴ. 이성적 형이상학 비판 : 초월적 변증학 = 71
      1. 초월적 가상의 체계들 = 71
      2. 순수 이성의 오류추리 비판 = 73
      3. 순수 이성의 이율배반 해명 = 76
      1) 첫째 이율배반 = 77
      2) 둘째 이율배반 = 77
      3) 셋째 이율배반 = 78
      4) 넷째 이율배반 = 79
      4. 순수 이성의 이상 해명 = 82
      1) 신의 현존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의 불가능함 = 83
      2) 신의 현존에 대한 우주론적 증명의 불가능함 = 84
      3) 신의 현존에 대한 물리신학적 증명의 불가능함 = 85
      Ⅵ. 순수 이성의 완벽한 체계를 위한 조건들에 대한 마무리 반성 : 초월적 방법론 = 87
      1. 순수 시성의 훈육 = 88
      2. 순수 이성의 규준 = 89
      3. 순수 이성의 건축술 = 93
      4. 순수 이성의 역사 = 94
      Ⅶ. 『순수이성비판』 저술사 = 97
      『순수이성비판』 관련 주요 문헌 = 103
      Ⅰ. 원전 Kritik der reinen Vernunft의 주요 판본 = 103
      1. 주요 판본 = 103
      2. 원전 및 주요 판본 비평 = 105
      Ⅱ. 사전류 = 107
      Ⅲ. 하술지 = 107
      Ⅳ. 주석서 = 108
      Ⅴ. 국외 연구논저 = 110
      1. 개괄 연구서 = 110
      2. 종합 연구논저 = 112
      3. '초월적 감성학' 관련 논저 = 116
      4. '초월적 논리학 Ⅰ : 개념의 분석학' 관련 논저 = 118
      5. '초월적 논리학 Ⅱ : 원칙의 분석학' 관련 논저 = 122
      6. '초월적 논리학 Ⅲ : 변증학' 관련 논저 = 125
      7. 영향사 관련 연구논저 = 128
      Ⅵ. 국내 연구논저 = 130
      제2부 『순수이성비판』 역주
      역주의 원칙 = 135
      유사어 및 상관어 대응 번역어표 = 137
      『순수이성비판』 번역 및 주석 = 149
      [경구] = 161
      [헌정사] = 163
      [A판] 머리말 = 165
      [B판] 제2판 머리말 = 176
      [A판] 서론 = 203
      Ⅰ. 초월철학의 이념 = 203
      분석 판단과 종합 판단의 구별에 대하여 = 207
      Ⅱ. 초월철학의 구분 = 212
      [B판] 서론 = 214
      Ⅰ. 순수한 인식과 경험적 인식의 구별에 대하여 = 214
      Ⅱ. 우리는 모종의 선험적 인식들을 소유하고 있으며, 평범한 지성조차도 결코 그런 인식이 없지 않다 = 216
      Ⅲ. 철학은 모든 선험적 인식의 가능성과 원리들과 범위를 규정해 주는 학문을 필요로 한다 = 219
      Ⅳ. 분석 판단과 종합 판단의 구별에 대하여 = 222
      Ⅴ. 이성의 모든 이론적 학문들에는 선험적 종합 판단들이 원리로서 포함되어 있다 = 225
      Ⅵ. 순수 이성의 일반적 과제 = 228
      Ⅶ. 순수 이성 비판이라는 이름 밑의 특수한 학문의 이념과 구분 = 233
      Ⅰ. 초월적 요소론 = 237
      제1편 초월적 감성학 = 239
      §1 = 239
      제1절 공간에 대하여 = 243
      §2 이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설 = 243
      §3 공간 개념에 대한 초월적 해설 = 246
      이상의 개념들로부터 나오는 결론 = 247
      제2절 시간에 대하여 = 251
      §4 시간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설 = 251
      §5 시간 개념에 대한 초월적 해설 = 253
      §6 이상의 개념들로부터 나오는 결론 = 253
      §7 해명 = 257
      §8 초월적 감성학에 대한 일반적 주해 = 262
      초월적 감성학의 맺음말 = 272
      제2편 초월적 논리학 = 273
      서론 : 초월 논리학의 이념 = 273
      Ⅰ. 논리학 일반에 대하여 = 273
      Ⅱ. 초월 논리학에 대하여 = 277
      Ⅲ. 일반 논리학을 분석학과 변증학으로 구분함에 대하여 = 279
      Ⅳ. 초월 논리학을 초월적 분석학과 변증학으로 구분함에 대하여 = 282
      제1부 초월적 분석학 = 285
      제1권 개념의 분석학 = 286
      제1장 모든 순수 지성개념들의 발견의 실마리에 대하여 = 287
      제1절 논리적 지성사용 일반에 대하여 = 288
      제2절 = 290
      §9 판단에 있어 지성의 논리적 기능에 대하여 = 290
      제3절 = 295
      §10 순수 지성개념들, 즉 범주들에 대하여 = 295
      §11 = 301
      §12 = 304
      제2장 순수 지성개념들의 연역에 대하여 = 306
      제1절 = 306
      §13 초월적 연역 일반의 원리들에 대하여 = 306
      §14 범주의 초월적 연역으로 이행 = 313
      순수 지성개념들의 연역[A]판 = 318
      제2절 경험의 가능성을 위한 선험적 근거들에 대하여 = 318
      예비적 주의 = 320
      1. 직관에서 포착의 종합에 대하여 = 321
      2. 상상에서 재생의 종합에 대하여 = 322
      3. 개념에서 인지의 종합에 대하여 = 323
      4. 선험적 인식으로서 범주들이 가능함에 대한 예비적 설명 = 329
      제3절 대상들 일반에 대한 지성의 관계와 이것들을 선험적으로 인식할 가능성에 대하여 = 332
      요약 정리 - 순수 지성개념의 이 연역은 올바르고 유일하게 가능한 것이다 = 341
      순수 지성개념들의 연역[B판] = 344
      제2절 순수 지성개념들의 초월적 연역 = 344
      §15 결합 일반의 가능성에 대하여 = 344
      §16 통각의 근원적 - 종합적 통일에 대하여 = 346
      §17 통각의 종합적 통일 원칙은 모든 지성사용의 최상 원리이다 = 349
      §18 자기의식의 객관적 통일은 무엇인가 = 352
      §19 모든 판단들의 논리적 형식은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개념들의 통각의 객관적 통일에 있다 = 352
      §20 모든 감성적 직관들은 직관의 잡다가 한 의식 안에 모일 수 있는 조건인 범주들에 종속한다 = 354
      §21 주석 = 355
      §22 범주들은 경험 대상들에 대한 적용 이외에는 사물 인식을 위한 어떠한 다른 용도를 가지지 않는다 = 356
      §23 = 357
      §24 감관의 대상 일반에 대한 범주들의 적용에 대하여 = 359
      §25 = 364
      §26 순수 지성개념들의 보편적으로 가능한 경험적 사용에 대한 초월적 연역 = 366
      §27 순수 지성개념들의 이 연역의 성과 = 370
      이 연역의 요점 = 372
      제2권 원칙의 분석학 = 373
      서론 : 초월적 판단력 일반에 대하여 = 374
      판단력의 초월적 교설(즉, 원칙의 분석학) = 378
      제1장 순수 지성개념들의 도식기능에 대하여 = 378
      제2장 순수 지성의 모든 원칙들의 체계 = 386
      제1절 모든 분석 판단들의 최상 원칙에 대하여 = 387
      제2절 모든 종합 판단들의 최상 원칙에 대하여 = 390
      제3절 순수 지성의 모든 종합적 원칙들의 체계적 표상 = 393
      1. 직관의 공리들 = 397
      2. 지각의 예취들 = 401
      3. 경험의 유추들 = 411
      A. 제1유추 : 실체 고정불변성의 원칙 = 416
      B. 제2유추 : 인과성의 법칙에 따른 시간계기의 원칙 = 422
      C. 제3유추 : 상호작용 또는 상호성의 법칙에 따른 동시에 있음[동시성]의 원칙 = 442
      4. 경험적 사고 일반의 요청들 = 449
      관념론 반박 = 456
      원칙들의 체계에 대한 일반적 주석 = 468
      제3장 대상 일반을 현상체와 예지체로 구별하는 근거에 대하여 = 474
      부록
      경험적 지성사용과 초월적 지성사용의 혼동에서 생긴 반성개념들의 모호성에 대하여 = 496
      반성 개념들의 모호성에 대한 주해 = 503

      (출처 : RISS, http://www.riss.kr/link?id=M10491562)
      번역하기

      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 『순수이성비판』 해제 Ⅰ. 칸트의 철학 과제 = 17 Ⅱ. 『순수이성비판』의 체제 = 22 Ⅲ. '순수 이성 비판'과 그 결실 = 26 Ⅳ. 칸트 초월철학의 체계 = 35 1. 초월...

      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 『순수이성비판』 해제
      Ⅰ. 칸트의 철학 과제 = 17
      Ⅱ. 『순수이성비판』의 체제 = 22
      Ⅲ. '순수 이성 비판'과 그 결실 = 26
      Ⅳ. 칸트 초월철학의 체계 = 35
      1. 초월적 감성학 = 35
      1) 순수 직관으로서의 공간ㆍ시간 = 36
      2) 공간ㆍ시간 표상의 주관성 = 38
      3) 주관적 표상인 공간ㆍ시간의 경험적 직관 형식으로서의 객관적 실재성 = 39
      (1) 감성의 일람(一覽)작용과 그 형식 = 39
      (2) 공간ㆍ시간의 경험적 실재성과 초월적 관념성 = 40
      (3) 현상의 '형식'과 '질료'로부터 얻는 결론 = 44
      2. 초월적 논리학 = 45
      1) 순수 지성개념들의 연역 = 46
      (1) 순수 지성개념들의 형이상학적 연역 = 46
      (2) 순수 지성개념들의 초월적 연역 = 50
      2) 순수 지성의 종합적 원칙들 = 55
      (1) 양(量)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 = 56
      (2) 질(質)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 = 59
      (3) 관계(關係)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들 = 61
      ① 제1유추의 원칙 - 실체 개념의 객관적 사용 원칙 = 63
      ② 제2유추의 원칙 - 인과 개념의 객관적 사용 원칙 = 64
      ③ 제3유추의 원칙 - 상호작용 개념의 객관적 사용 원칙 = 66
      (4) 양태(樣態)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들 = 67
      Ⅴ. 이성적 형이상학 비판 : 초월적 변증학 = 71
      1. 초월적 가상의 체계들 = 71
      2. 순수 이성의 오류추리 비판 = 73
      3. 순수 이성의 이율배반 해명 = 76
      1) 첫째 이율배반 = 77
      2) 둘째 이율배반 = 77
      3) 셋째 이율배반 = 78
      4) 넷째 이율배반 = 79
      4. 순수 이성의 이상 해명 = 82
      1) 신의 현존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의 불가능함 = 83
      2) 신의 현존에 대한 우주론적 증명의 불가능함 = 84
      3) 신의 현존에 대한 물리신학적 증명의 불가능함 = 85
      Ⅵ. 순수 이성의 완벽한 체계를 위한 조건들에 대한 마무리 반성 : 초월적 방법론 = 87
      1. 순수 시성의 훈육 = 88
      2. 순수 이성의 규준 = 89
      3. 순수 이성의 건축술 = 93
      4. 순수 이성의 역사 = 94
      Ⅶ. 『순수이성비판』 저술사 = 97
      『순수이성비판』 관련 주요 문헌 = 103
      Ⅰ. 원전 Kritik der reinen Vernunft의 주요 판본 = 103
      1. 주요 판본 = 103
      2. 원전 및 주요 판본 비평 = 105
      Ⅱ. 사전류 = 107
      Ⅲ. 하술지 = 107
      Ⅳ. 주석서 = 108
      Ⅴ. 국외 연구논저 = 110
      1. 개괄 연구서 = 110
      2. 종합 연구논저 = 112
      3. '초월적 감성학' 관련 논저 = 116
      4. '초월적 논리학 Ⅰ : 개념의 분석학' 관련 논저 = 118
      5. '초월적 논리학 Ⅱ : 원칙의 분석학' 관련 논저 = 122
      6. '초월적 논리학 Ⅲ : 변증학' 관련 논저 = 125
      7. 영향사 관련 연구논저 = 128
      Ⅵ. 국내 연구논저 = 130
      제2부 『순수이성비판』 역주
      역주의 원칙 = 135
      유사어 및 상관어 대응 번역어표 = 137
      『순수이성비판』 번역 및 주석 = 149
      [경구] = 161
      [헌정사] = 163
      [A판] 머리말 = 165
      [B판] 제2판 머리말 = 176
      [A판] 서론 = 203
      Ⅰ. 초월철학의 이념 = 203
      분석 판단과 종합 판단의 구별에 대하여 = 207
      Ⅱ. 초월철학의 구분 = 212
      [B판] 서론 = 214
      Ⅰ. 순수한 인식과 경험적 인식의 구별에 대하여 = 214
      Ⅱ. 우리는 모종의 선험적 인식들을 소유하고 있으며, 평범한 지성조차도 결코 그런 인식이 없지 않다 = 216
      Ⅲ. 철학은 모든 선험적 인식의 가능성과 원리들과 범위를 규정해 주는 학문을 필요로 한다 = 219
      Ⅳ. 분석 판단과 종합 판단의 구별에 대하여 = 222
      Ⅴ. 이성의 모든 이론적 학문들에는 선험적 종합 판단들이 원리로서 포함되어 있다 = 225
      Ⅵ. 순수 이성의 일반적 과제 = 228
      Ⅶ. 순수 이성 비판이라는 이름 밑의 특수한 학문의 이념과 구분 = 233
      Ⅰ. 초월적 요소론 = 237
      제1편 초월적 감성학 = 239
      §1 = 239
      제1절 공간에 대하여 = 243
      §2 이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설 = 243
      §3 공간 개념에 대한 초월적 해설 = 246
      이상의 개념들로부터 나오는 결론 = 247
      제2절 시간에 대하여 = 251
      §4 시간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설 = 251
      §5 시간 개념에 대한 초월적 해설 = 253
      §6 이상의 개념들로부터 나오는 결론 = 253
      §7 해명 = 257
      §8 초월적 감성학에 대한 일반적 주해 = 262
      초월적 감성학의 맺음말 = 272
      제2편 초월적 논리학 = 273
      서론 : 초월 논리학의 이념 = 273
      Ⅰ. 논리학 일반에 대하여 = 273
      Ⅱ. 초월 논리학에 대하여 = 277
      Ⅲ. 일반 논리학을 분석학과 변증학으로 구분함에 대하여 = 279
      Ⅳ. 초월 논리학을 초월적 분석학과 변증학으로 구분함에 대하여 = 282
      제1부 초월적 분석학 = 285
      제1권 개념의 분석학 = 286
      제1장 모든 순수 지성개념들의 발견의 실마리에 대하여 = 287
      제1절 논리적 지성사용 일반에 대하여 = 288
      제2절 = 290
      §9 판단에 있어 지성의 논리적 기능에 대하여 = 290
      제3절 = 295
      §10 순수 지성개념들, 즉 범주들에 대하여 = 295
      §11 = 301
      §12 = 304
      제2장 순수 지성개념들의 연역에 대하여 = 306
      제1절 = 306
      §13 초월적 연역 일반의 원리들에 대하여 = 306
      §14 범주의 초월적 연역으로 이행 = 313
      순수 지성개념들의 연역[A]판 = 318
      제2절 경험의 가능성을 위한 선험적 근거들에 대하여 = 318
      예비적 주의 = 320
      1. 직관에서 포착의 종합에 대하여 = 321
      2. 상상에서 재생의 종합에 대하여 = 322
      3. 개념에서 인지의 종합에 대하여 = 323
      4. 선험적 인식으로서 범주들이 가능함에 대한 예비적 설명 = 329
      제3절 대상들 일반에 대한 지성의 관계와 이것들을 선험적으로 인식할 가능성에 대하여 = 332
      요약 정리 - 순수 지성개념의 이 연역은 올바르고 유일하게 가능한 것이다 = 341
      순수 지성개념들의 연역[B판] = 344
      제2절 순수 지성개념들의 초월적 연역 = 344
      §15 결합 일반의 가능성에 대하여 = 344
      §16 통각의 근원적 - 종합적 통일에 대하여 = 346
      §17 통각의 종합적 통일 원칙은 모든 지성사용의 최상 원리이다 = 349
      §18 자기의식의 객관적 통일은 무엇인가 = 352
      §19 모든 판단들의 논리적 형식은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개념들의 통각의 객관적 통일에 있다 = 352
      §20 모든 감성적 직관들은 직관의 잡다가 한 의식 안에 모일 수 있는 조건인 범주들에 종속한다 = 354
      §21 주석 = 355
      §22 범주들은 경험 대상들에 대한 적용 이외에는 사물 인식을 위한 어떠한 다른 용도를 가지지 않는다 = 356
      §23 = 357
      §24 감관의 대상 일반에 대한 범주들의 적용에 대하여 = 359
      §25 = 364
      §26 순수 지성개념들의 보편적으로 가능한 경험적 사용에 대한 초월적 연역 = 366
      §27 순수 지성개념들의 이 연역의 성과 = 370
      이 연역의 요점 = 372
      제2권 원칙의 분석학 = 373
      서론 : 초월적 판단력 일반에 대하여 = 374
      판단력의 초월적 교설(즉, 원칙의 분석학) = 378
      제1장 순수 지성개념들의 도식기능에 대하여 = 378
      제2장 순수 지성의 모든 원칙들의 체계 = 386
      제1절 모든 분석 판단들의 최상 원칙에 대하여 = 387
      제2절 모든 종합 판단들의 최상 원칙에 대하여 = 390
      제3절 순수 지성의 모든 종합적 원칙들의 체계적 표상 = 393
      1. 직관의 공리들 = 397
      2. 지각의 예취들 = 401
      3. 경험의 유추들 = 411
      A. 제1유추 : 실체 고정불변성의 원칙 = 416
      B. 제2유추 : 인과성의 법칙에 따른 시간계기의 원칙 = 422
      C. 제3유추 : 상호작용 또는 상호성의 법칙에 따른 동시에 있음[동시성]의 원칙 = 442
      4. 경험적 사고 일반의 요청들 = 449
      관념론 반박 = 456
      원칙들의 체계에 대한 일반적 주석 = 468
      제3장 대상 일반을 현상체와 예지체로 구별하는 근거에 대하여 = 474
      부록
      경험적 지성사용과 초월적 지성사용의 혼동에서 생긴 반성개념들의 모호성에 대하여 = 496
      반성 개념들의 모호성에 대한 주해 = 503

      (출처 : RISS, http://www.riss.kr/link?id=M1049156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양 철학의 고전 <순수이성비판>을 번역한 책.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최근까지의 칸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는 방대한 연구 번역본으로, 800여 쪽의 원전 번역과 함께 각각 130여 쪽에 이르는 해제와 찾아보기로 구성되어 있다. 유한한 인식의 한계 내에서 위대함을 꿈꾸었던 계몽주의적 인간상을 그려낸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칸트 비판철학의 핵심을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출처 : 아카넷, http://www.acanet.co.kr/book/book_detail.php?book_id=128)
      번역하기

      서양 철학의 고전 <순수이성비판>을 번역한 책.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최근까지의 칸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는...

      서양 철학의 고전 <순수이성비판>을 번역한 책.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최근까지의 칸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는 방대한 연구 번역본으로, 800여 쪽의 원전 번역과 함께 각각 130여 쪽에 이르는 해제와 찾아보기로 구성되어 있다. 유한한 인식의 한계 내에서 위대함을 꿈꾸었던 계몽주의적 인간상을 그려낸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칸트 비판철학의 핵심을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출처 : 아카넷, http://www.acanet.co.kr/book/book_detail.php?book_id=128)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칸트 인식론에서의 형상적 종합의 의미와 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형상적 종합 개념이 선험적 대상인식의 가능성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고찰한 “순수이성비판”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번역하기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칸트 인식론에서의 형상적 종합의 의미와 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형상적 종합 개념이 선험적 대상인식의 ...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칸트 인식론에서의 형상적 종합의 의미와 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형상적 종합 개념이 선험적 대상인식의 가능성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고찰한 “순수이성비판”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