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아동 음악치료의 실태와 이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 고 앞으로 특수교육현장에서 음악치료의 방법과 방향을 구체화하고 음악치료의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활성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45567
2012
-
370
학술저널
31-58(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아동 음악치료의 실태와 이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 고 앞으로 특수교육현장에서 음악치료의 방법과 방향을 구체화하고 음악치료의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활성화...
본 연구는 장애아동 음악치료의 실태와 이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
고 앞으로 특수교육현장에서 음악치료의 방법과 방향을 구체화하고 음악치료의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활성화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60명의 특수교사와 50명의 특수학급담담
교사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운영 실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및 개선점에 대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장애아동의 음악치료 실태에서는 음악치료 실
시 현황, 관심정도 및 시행자 등에 대해 알아보았고, 장애아동의 음악치료에 대
한 인식에서는 음악치료의 필요성과 주요활동에 대한 인지 및 개선효과의 정도
와 기대되는 변화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음악치료의 요구에서는 효과적
인 실시 방향, 실시 유형 및 횟수와 문제점, 개선점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
고 이에 기초하여 특수교육현장에서 음악치료가 다양한 기능적 역할을 하기 위
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학습전략 교수방법에 있어서 초인지 자동화와 피드백 제공의 효과
중재반응모형을 통한 학습장애 위험 학생들의 어휘획득전략 중재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