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소비, 투자, 수출이 충북 노동소득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s in Korea on Labor Income in Chungcheong bukdo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64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regional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s such as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s on labor income in Chungcheong bukdo Province using the 2015 regional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20.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s between regions in Korea increased the total amount of labor income inducement in Chungcheongbuk-do in the order of consumption> investment> export, but the size of the total amount induced by industry was different.
      Therefore, if consumption in the Chungbuk region is contracted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COVID-19,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sector in which private consumption is highly dependent on inducing labor income will be affected more than other industries.
      Since the labor income induction coefficient in Chungcheongbuk-do is more efficient in the government sector than in the private sector, this means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take measures to stabilize the economy and stimulate the economy through increased consumption and invest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regional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s such as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s on labor income in Chungcheong bukdo Province using the 2015 regional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

      This study analyze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regional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s such as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s on labor income in Chungcheong bukdo Province using the 2015 regional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20.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s between regions in Korea increased the total amount of labor income inducement in Chungcheongbuk-do in the order of consumption> investment> export, but the size of the total amount induced by industry was different.
      Therefore, if consumption in the Chungbuk region is contracted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COVID-19,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sector in which private consumption is highly dependent on inducing labor income will be affected more than other industries.
      Since the labor income induction coefficient in Chungcheongbuk-do is more efficient in the government sector than in the private sector, this means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take measures to stabilize the economy and stimulate the economy through increased consumption and inves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0년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지역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지역의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소비지출이 충북 노동소득에 미친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우리나라 지역 간 소비, 투자 및 수출의 충북 노동소득 유발총액은 소비 > 투자 > 수출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산업별로 노동소득 유발총액의 크기가 차이를 나타냈으며, 노동소득 유발액 기여도는 민간소비 > 수출 > 정부소비 > 민간투자 > 정부 투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VID-19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지역소비가 위축될 경우 충북 지역은 민간소비의 노동소득 유발 의존도가 높은 산업 부분이 타 산업에 비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충북의 소비, 투자의 노동소득 효율성을 나타내는 노동소득 유발계수는 민간보다 정부부문의 효율성이 크므로 적극적인 중앙 및 지방정부의 소비와 투자 증대를 통한 경기 안정화 및 부양대책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20년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지역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지역의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소비지출이 충북 노동소득에 미친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우리나라 ...

      본 연구는 2020년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지역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지역의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소비지출이 충북 노동소득에 미친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우리나라 지역 간 소비, 투자 및 수출의 충북 노동소득 유발총액은 소비 > 투자 > 수출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산업별로 노동소득 유발총액의 크기가 차이를 나타냈으며, 노동소득 유발액 기여도는 민간소비 > 수출 > 정부소비 > 민간투자 > 정부 투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VID-19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지역소비가 위축될 경우 충북 지역은 민간소비의 노동소득 유발 의존도가 높은 산업 부분이 타 산업에 비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충북의 소비, 투자의 노동소득 효율성을 나타내는 노동소득 유발계수는 민간보다 정부부문의 효율성이 크므로 적극적인 중앙 및 지방정부의 소비와 투자 증대를 통한 경기 안정화 및 부양대책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춘,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한 한·일 제조업 생산 변동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98-615, 2017

      2 김소연,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울산광역시 3대 주력산업의 구조변화와 성장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20 (20): 1-15, 2017

      3 임용빈,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노동소득분배율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47-62, 2020

      4 이종하, "광역자치단체별 노동소득분배율의 측정과 경제성과에 대한 영향" 국가정책연구소 33 (33): 125-146, 2019

      5 Dietzenbacher, Erik, "Trade, Networks and Hierarchies, Modeling Regional and Interregional Economies" Springer 179-199, 2002

      6 Fujimagari, David, "The Sources of Changes in Canadian Industry Output" 1 : 187-201, 1989

      7 Chenery, Hollis B, "The Pattern of Japanese Growth, 1914–1954" 30 : 98-139, 1962

      8 Vaccara, Beatrice, "The Industrial Composition of Income and Product"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8, 1968

      9 Liu, Aying, "Structural Change in Apartheid-era South Africa: 1975–1993" 13 : 235-257, 2001

      10 Feldman, Stanley J., "Sources of Structural Change in the United States, 1963–78: An Input-Output Perspective" 69 : 503-510, 1987

      1 김상춘,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한 한·일 제조업 생산 변동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98-615, 2017

      2 김소연,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울산광역시 3대 주력산업의 구조변화와 성장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20 (20): 1-15, 2017

      3 임용빈,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노동소득분배율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47-62, 2020

      4 이종하, "광역자치단체별 노동소득분배율의 측정과 경제성과에 대한 영향" 국가정책연구소 33 (33): 125-146, 2019

      5 Dietzenbacher, Erik, "Trade, Networks and Hierarchies, Modeling Regional and Interregional Economies" Springer 179-199, 2002

      6 Fujimagari, David, "The Sources of Changes in Canadian Industry Output" 1 : 187-201, 1989

      7 Chenery, Hollis B, "The Pattern of Japanese Growth, 1914–1954" 30 : 98-139, 1962

      8 Vaccara, Beatrice, "The Industrial Composition of Income and Product"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8, 1968

      9 Liu, Aying, "Structural Change in Apartheid-era South Africa: 1975–1993" 13 : 235-257, 2001

      10 Feldman, Stanley J., "Sources of Structural Change in the United States, 1963–78: An Input-Output Perspective" 69 : 503-510, 1987

      11 Barker, Terry, "Sources of Structural Change for the UK Service Industries, 1979–84" 2 : 173-183, 1990

      12 Martin, R. P, "Sources of Output Change in the U.S. Economy" 23 : 446-468, 1992

      13 Miller, Ronald E,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4 Bezdek, Roger H, "Disaggregation of Structural Change in the American Economy: 1947–1966" 24 : 93-104, 1976

      15 Roy, Sikhanwita, "A Study on the Indian Informaꠓtion Sector: An Experiment with Input-Output Techniques" 14 : 107-129, 2002

      16 한국은행,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

      17 한국은행, "2010년 및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

      18 한국은행,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

      19 한국은행,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7-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충북개발연구원 -> 충북연구원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