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선시대 중국과의 최피 교역의 현황과 특징 및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내용의 대략적인 개요는 다음과 같다. <조선은 초기부터 중국 중심의 조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5921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중국과의 최피 교역의 현황과 특징 및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내용의 대략적인 개요는 다음과 같다. <조선은 초기부터 중국 중심의 조공...
본 연구는 조선시대 중국과의 최피 교역의 현황과 특징 및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내용의 대략적인 개요는 다음과 같다.
<조선은 초기부터 중국 중심의 조공책봉체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조공과 회사라는 일종의 공무역을 중심으로 한 교역이 이루어졌다. 초피로 만든 갖옷[貂裘]은 명의 황제와 귀족뿐만 아니라, 조선에 파견되어 온 명의 사신들에게 선물로 전해졌다. 또한 명의 사신과 일행들은 1425년에 조선에 초피 2천 장을 무역해 가는 등 초피 교역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초피는 당시 중국 사람들이 대단한 보물로 여기고 있었고, 조선에서 초피를 중국에 공급하면서 조선에서는 명에 대한 조공품 중 별도의 물품으로 황제에게 진상되었다. 초피는 조선의 함경·평안·강원도에서도 생산되었지만, 여진인들이 거주하는 현재의 만주 지역의 특산물이었다. 명과 여진은 조공을 중심으로 한 무역관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제한된 공무역 중심인 여진과의 초피 무역으로는 그 수요를 충당할 수 없었다. 따라서 명은 조선산 초피와 여진에서 조선으로 수입된 초피를 다시 명으로 가져가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경국대전 형전 금제를 보면, 초피는 외국과의 교역 금지 물품이었다. 이것은 공무역 외에 중국과의 사무역을 금지시킨 것이지만, 명나라에 파견된 조선의 사행들에 의해 종종 초피의 밀무역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례는 공무역뿐만 아니라 사무역에서도 초피로 얻어지는 이윤이 많았음을 의미하고 있고, 결국 초피를 통한 중국과의 무역이 활발했음을 말해주고 있다.
한편 조선의 국·내외적 초피 수요의 증가는 16세기 여진과의 사무역 발달을 크게 촉진하였다. 중국과 여진과의 초피 무역의 증가 역시 만주 지역에 거주하는 여진인들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초피 무역의 발달은 여진 지역의 경제적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고 전근대 동아사의 변혁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결국 조선 전기 조선을 중심으로 한 중국과의 초피 교역은 명·청교체기를 거치면서 많은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즉 초피의 중심 산지였던 만주 지역의 여진족이 청을 건국하고 중국을 장악하게 되면서 조선과의 초피 무역 양상이 변화하게 된 것이다.
조선 후기에 청은 조선에 초피 등을 선물로 보내게 되었고, 조선의 사신들은 중국에 파견되어 오면서 당초피라 불리는 청나라의 초피를 무역해 왔다. 이제 조선 전기와는 반대로 조선의 사신들이 청나라에서 무역해 오는 물품 중 하나가 바로 중국산 초피가 되었다. 초피 무역은 조선 전기보다 급감하고 있었고, 조선산 초피[향초피]도 청과 조선과의 거래 물품이었지만, 이제 중국산 당초피가 초피 무역을 주도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연구 과제 수행을 위한 방법은 다음의 세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관련 연구 성과를 검토한다. 둘째, 사료 조사를 통해 관련 내용을 파악하고 기초자료를 분석·정리한다. 셋째, 연구논문 작성 및 학회 발표를 통해 연구를 보완하고, 보완된 연구 결과물을 전문학술지에 개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