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UNECE(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와 EU가 공동 개발, 산출하고 있는 활동적 노화 지표(AAI, Active Ageing Index)를 활용하여 한국 고령자의 활동적 노화 수준과 변화와 변화 결정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68153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5-135(4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UNECE(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와 EU가 공동 개발, 산출하고 있는 활동적 노화 지표(AAI, Active Ageing Index)를 활용하여 한국 고령자의 활동적 노화 수준과 변화와 변화 결정요...
본 논문은 UNECE(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와 EU가 공동 개발, 산출하고 있는 활동적 노화 지표(AAI, Active Ageing Index)를 활용하여 한국 고령자의 활동적 노화 수준과 변화와 변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2017년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4%를 넘어 고령사회가 되었으며 2025~26년 사이에는 고령인구 20%를 초과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기 힘든 빠른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지만 공적 노후소득보장체계는 제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빈곤율은 49.6%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노후소득보장체계의 공백을 메우고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노년기 일과 사회적 활동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노인일자리 정책의 양적 확대와 질적 변화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자료 1차, 12차 자료를 이용해 1931~1951년에 출생한 고령자가 65~74세 시기에 경험한 활동적 노화 수준 변화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해 고령자 노동, 사회적 활동의 특성 변화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정책을 통한 노인 일자리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active aging level among Korean elderly people using AAI (Active Aging Index), which are jointly developed and calculated by UNECE and EU. South Korea became an aged society with an elderly population over 65 exceedi...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active aging level among Korean elderly people using AAI (Active Aging Index), which are jointly developed and calculated by UNECE and EU. South Korea became an aged society with an elderly population over 65 exceeding 14% in 2017. In 2025-26, the proportion will exceed 20% and enter a super-aging society. Although South Korea has been experiencing rapid aging, the public old-age income guarantee system does not play a key role yet. Because of this, South Korea has the highest poverty rate among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49.6%), the highest among OECD countries. Work and social activities among elderly people become more important as the vacancies of the old-age income guarantee system and improvement the quality of life in the old age.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change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elderly is exp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the level of active aging in aged 65-74 years old, who were born in 1931~1951 using Korea Welfare Panel Study. This study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of elderly people’s job development and the employment-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여진,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조절변수 및 하위차원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회 35 (35): 627-642, 2015
2 구인회, "한국의 노인빈곤 변화추이와 노인일자리 사업의 과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8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 12차년도 조사자료 유저가이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4 이현기, "한국 노인 자원봉사자의 특성, 횟수와 시간,그리고 자원봉사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317-344, 2013
5 박정호, "취업 고령자의 특성과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생산적 활동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2012
6 박영란, "초고령사회 대비 EU의 ‘활동적 노화’(active ageing) 정책 패러다임" 한국유럽학회 31 (31): 135-158, 2013
7 최혜지, "중고령자의 불안정 노동:세대 비교적 관점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249-272, 2018
8 장지연,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의 국가간 비교: 한국, 미국, 스웨덴, 독일, 중고령자 노동시장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9 반정호, "중고령자 가구의 자산불평등 구조분석" 한국노동연구원 4 (4): 2008
10 김지경,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 후 경과기간별 은퇴생활적응의 영향요인" 대한가정학회 48 (48): 83-101, 2010
1 정여진,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조절변수 및 하위차원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회 35 (35): 627-642, 2015
2 구인회, "한국의 노인빈곤 변화추이와 노인일자리 사업의 과제"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8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 12차년도 조사자료 유저가이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4 이현기, "한국 노인 자원봉사자의 특성, 횟수와 시간,그리고 자원봉사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317-344, 2013
5 박정호, "취업 고령자의 특성과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생산적 활동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2012
6 박영란, "초고령사회 대비 EU의 ‘활동적 노화’(active ageing) 정책 패러다임" 한국유럽학회 31 (31): 135-158, 2013
7 최혜지, "중고령자의 불안정 노동:세대 비교적 관점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249-272, 2018
8 장지연,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의 국가간 비교: 한국, 미국, 스웨덴, 독일, 중고령자 노동시장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9 반정호, "중고령자 가구의 자산불평등 구조분석" 한국노동연구원 4 (4): 2008
10 김지경,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 후 경과기간별 은퇴생활적응의 영향요인" 대한가정학회 48 (48): 83-101, 2010
11 박신영,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사회적 자본 및 생활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박물대학 성인학습자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0 (30): 98-108, 2018
12 이철희, "인구고령화가 노동수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23 (23): 34-77, 2017
13 최현수, "우리나라의 AAI(Active Ageing Index) 개발 및 산출방안 기초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5
14 최옥금,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 과정에 관한 연구: 생애주된일자리와 가교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1 (31): 15-31, 2011
15 김안정, "우리나라 장년층의 실질은퇴연령" 한국고용정보원 2017
16 김석일,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자기효능감, 자아통합감 및 성공적 노화" 한국체육학회 55 (55): 509-520, 2016
17 염동문,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낙관성과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00-111, 2016
18 배동습, "성공적 노화의 대비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9 (19): 95-110, 2017
19 지혜은, "성공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비교" 한국사회보장학회 34 (34): 209-237, 2018
20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 한국행정연구원 2017
21 김지훈,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질에 미치는 종단적 요인: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세대간 비교분석"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2 (22): 605-626, 2017
22 정경희,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3 김욱진,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한 자원봉사참여율의 변화양상 분석 ― 소득 및 성별의 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9 (19): 89-114, 2017
24 김희영, "농촌지역 노인의 주관적인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생활습관과 사회심리적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5 (35): 295-313, 2015
25 강소랑, "노인일자리사업이 고령자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50 (50): 167-199, 2016
26 지은정, "노인일자리 종합계획(2018~2022)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7
27 김수현, "노인의 자원봉사 참여가 신체적 건강,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3 (33): 53-66, 2013
28 이주일, "노인의 일과 행복-생산적 노년을 중심으로" 45-73, 2011
29 김미령, "노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연구: 성인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7) : 159-182, 2017
30 정경희, "노인의 생산활동 실태 및 경제적 가치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31 이선화,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8012-8020, 2015
32 이소정, "노인의 사회적 역할 유형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9-35, 2013
33 전병주, "노인의 가족유형에 따른 건강상태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및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한국웰니스학회 12 (12): 203-216, 2017
34 정경희, "노인문화의 현황과 정책적 함의-‘성공적 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35 류기형,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가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충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65-89, 2015
36 이금자, "노인 코호트에 따른 삶의 질 결정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1) : 159-182, 2008
37 이재풍,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직무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4 (4): 77-108, 2017
38 양윤정, "노동시장참여 중심의 ‘활동적 노화’와 그 한계" 9 (9): 49-62, 2011
39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통계"
40 통계청, "고령자통계" 통계청 2018
41 오지은, "고령자의 취업여부와 근무형태 및 직종별 취업결정 요인 실증분석" 사회과학연구원 20 (20): 24-54, 2013
42 석상훈, "고령은퇴자의 퇴직과정과 은퇴 후 소득 비교" 한국응용경제학회 13 (13): 269-295, 2011
43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2018
44 방하남, "강요된 선택 :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재취업의 동학분석" 한국사회학회 45 (45): 73-108, 2011
45 고용노동부, "’19년 일자리사업 정부제출 예산(안) 보도참고자료"
46 김교성, "‘활동적 노화’에 관한 다차원적 측정과 국가간 비교"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1-32, 2014
47 최희경, "‘신노년’ 정책 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활동적 노화,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41-65, 2010
48 Lynott, R. J., "Tracing the course of theoretical development in the sociology of aging" 36 (36): 749-760, 1996
49 Brückner, H., "The Structure of the Life Course: Standardized? Individualized? Differentiated?: Standardized? Individualized? Differentiated? (Vol. 9)" Elsevier 27-53, 2005
50 Rowe, J. W., "Successful aging" 37 (37): 433-440, 1997
51 이수진, "Rowe와 Kahn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설 활용별 집단간 비교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5 (45): 231-239, 2015
52 Cahill, K. E., "Retirement patterns and the macroeconomy, 1992–2010: The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bridge jobs, phased retirement, and reentry among three recent cohorts of older Americans" 55 (55): 384-403, 2013
53 Butler, R. N., "Productive aging" Springer Pub. Co 1985
54 Feng, Q.,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successful ageing: a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12 (12): 83-94, 2015
55 Glass, T. A., "Population based study of social and productive activities as predictors of survival among elderly Americans" 319 (319): 478-483, 1999
56 OECD, "Pension at a Glance"
57 Zaidi, A., "Measuring active and healthy ageing in Europe" 27 (27): 138-157, 2017
58 OECD, "Maintaining Prosperity in an Ageing Society"
59 Moen, P, "Handbook of the life course" Springer 269-291, 2003
60 Kantarci, T., "Gradual retirement: Preferences and limitations" 156 (156): 113-144, 2008
61 Depp, C. A.,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14 (14): 6-20, 2006
62 Timonen, V, "Beyond successful and active ageing: A theory of model ageing" Policy Press 2016
63 Walker, A., "Active ageing: A strategic policy solution to demographic ageing in the European Union" 21 : S117-S130, 2012
64 Varlamova, M., "Active ageing index as an evidence base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active ageing policy in Russia" 10 (10): 41-71, 2017
65 Sidorenko, A, "Active ageing in CIS countries: Semantics, challenges, and responses" Current gerontology and geriatrics research 2013
66 WHO,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67 UNECE, "AAI 2014: Active Ageing Index for 28 EU countries"
68 Walker, A, "A strategy for active ageing" 55 (55): 121-139, 2002
69 de Sao Jose, J. M., "A critique of the Active Ageing Index" 40 : 49-56, 2017
70 박경숙, "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 과정; 은퇴의 유형화에 대한 함의" 3 (3): 103-140, 2003
71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7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8
72 통계청, "2016 사회조사보고서" 통계청 2016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와 장애인복지제도의 제도 간 조정에 관한 고찰
죄인인가 클라이언트인가? “기독교인 사회복지사가 동성애자 클라이언트를 만났을 때”
건강위험과 보건정책 - 위험사회에서의 건강영향평가와 ‘모든 정책에서 건강우선(HiAP)’ 접근
학교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중학교 내 교사와 사회복지사 간의 협력 의미에 관한 재구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영문명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Academy of Critical Health Policy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3-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11-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 |
2011-10-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상황과복지 -> 비판사회정책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35 | 1.67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