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 = Standing to Sue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802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field of the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it is an issue whether the third party, such as citizens living nearby environmental pollution area and environmental damages area to be effected by the illegal dispositions of administrative agencies, could have a standing to sue. Basically,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on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awsuits also are not greatly contrary to conventional theories of standing to sue and precedential theories of legal remedy for violation of interests. As the precedential interpretation of “legal interests” under Article 1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has its limits on extending the scope of standing to sue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awsuits, it is required to search legislative and political countermeasures. This thesis examin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qualification of the third party based on the past precedents of Supreme Court related to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For this purpose, the past precedents of Supreme Court related to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were classified and reviewed whether the criterion to judge whether standing to sue is legal interest, whether it is a reflect interest, whether it is an abstract common concern, whether it is subject to litigation, whether it suffers from environmental damages exceeding the limit,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statutory provision.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amendment of the clause of standing to sue of the environment related laws. In the specialized environmental litigations, the expansion of the standing based on the environmental rights of third party resident who live in the outside of the boundary is very limited. Thus it is necessary to admit of standing for the environmental interest of the third party resident who live in the outside of the boundary. Conclusively, it is desirable for courts to have reasonable and systematical judgment criteria and use more scientifically appropriate investigation method when judging standing to sue of a third party related to environmental interests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s.
      번역하기

      In the field of the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it is an issue whether the third party, such as citizens living nearby environmental pollution area and environmental damages area to be effected by the illegal dispositions of administrativ...

      In the field of the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it is an issue whether the third party, such as citizens living nearby environmental pollution area and environmental damages area to be effected by the illegal dispositions of administrative agencies, could have a standing to sue. Basically,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on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awsuits also are not greatly contrary to conventional theories of standing to sue and precedential theories of legal remedy for violation of interests. As the precedential interpretation of “legal interests” under Article 1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has its limits on extending the scope of standing to sue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awsuits, it is required to search legislative and political countermeasures. This thesis examin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qualification of the third party based on the past precedents of Supreme Court related to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For this purpose, the past precedents of Supreme Court related to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were classified and reviewed whether the criterion to judge whether standing to sue is legal interest, whether it is a reflect interest, whether it is an abstract common concern, whether it is subject to litigation, whether it suffers from environmental damages exceeding the limit,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statutory provision.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amendment of the clause of standing to sue of the environment related laws. In the specialized environmental litigations, the expansion of the standing based on the environmental rights of third party resident who live in the outside of the boundary is very limited. Thus it is necessary to admit of standing for the environmental interest of the third party resident who live in the outside of the boundary. Conclusively, it is desirable for courts to have reasonable and systematical judgment criteria and use more scientifically appropriate investigation method when judging standing to sue of a third party related to environmental interests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환경행정소송분야에서 행정청의 위법한 처분으로 영향을 받는 환경오염 및 환경침해지역 인근주민과 같은 제3자가 원고적격을 가질 수 있는지 문제된다. 환경행정소송의 원고적격도 기본적으로 취소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통설과 판례의 입장인 법률상 이익구제설의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다. 행정소송법 제12조의 “법률상 이익”에 관한 판례의 해석론으로는 환경행정소송의 원고적격의 범위를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입법정책적 대응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환경행정소송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법률상 이익’과 ‘반사적 이익’인지 여부, ‘추상적·평균적·일반적 이익인지 여부’ 그리고 ‘근거법률이 있는지 여부’와 ‘소를 구할 주체인지 여부’, ‘수인한도를 넘는 환경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음을 인정할 만한 근거가 있는지 여부’ 그리고 ‘명문의 법률규정이 없는 경우’로 유형화하여 살펴보고 제3자의 원고적격 확대의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결론적으로 환경소송에서 주관적 권리침해에 대한 원고적격의 확대에는 ‘환경상 이익’이 ‘반사적 이익’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해석상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환경과 관련된 행정소송에 있어서 ‘환경상 이익’과 관련성이 있는 영향권 밖의 제3자에 대한 원고적격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헌법상 환경권에 대한 보다 구체화된 입법화와 함께 특히 미래의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건설과 개발 사업에서 환경오염피해가 다양하게 장기적으로 나타난다는 환경오염특성을 고려하여 법원은 기존의 태도에서 벗어나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판단기준을 확립하고 과학적이고 적절한 원고적격 조사방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역하기

      환경행정소송분야에서 행정청의 위법한 처분으로 영향을 받는 환경오염 및 환경침해지역 인근주민과 같은 제3자가 원고적격을 가질 수 있는지 문제된다. 환경행정소송의 원고적격도 기본...

      환경행정소송분야에서 행정청의 위법한 처분으로 영향을 받는 환경오염 및 환경침해지역 인근주민과 같은 제3자가 원고적격을 가질 수 있는지 문제된다. 환경행정소송의 원고적격도 기본적으로 취소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통설과 판례의 입장인 법률상 이익구제설의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다. 행정소송법 제12조의 “법률상 이익”에 관한 판례의 해석론으로는 환경행정소송의 원고적격의 범위를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입법정책적 대응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환경행정소송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법률상 이익’과 ‘반사적 이익’인지 여부, ‘추상적·평균적·일반적 이익인지 여부’ 그리고 ‘근거법률이 있는지 여부’와 ‘소를 구할 주체인지 여부’, ‘수인한도를 넘는 환경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음을 인정할 만한 근거가 있는지 여부’ 그리고 ‘명문의 법률규정이 없는 경우’로 유형화하여 살펴보고 제3자의 원고적격 확대의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결론적으로 환경소송에서 주관적 권리침해에 대한 원고적격의 확대에는 ‘환경상 이익’이 ‘반사적 이익’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해석상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환경과 관련된 행정소송에 있어서 ‘환경상 이익’과 관련성이 있는 영향권 밖의 제3자에 대한 원고적격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헌법상 환경권에 대한 보다 구체화된 입법화와 함께 특히 미래의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건설과 개발 사업에서 환경오염피해가 다양하게 장기적으로 나타난다는 환경오염특성을 고려하여 법원은 기존의 태도에서 벗어나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판단기준을 확립하고 과학적이고 적절한 원고적격 조사방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창규, "「공법논총」, 을강 박일경회갑논문집" 1981

      2 채우석, "환경행정소송의 전개와 법리변화" 한국환경법학회 28 (28): 359-388, 2006

      3 김용섭, "환경행정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논의" 한국환경법학회 34 (34): 225-264, 2012

      4 김충묵, "환경행정소송의 본질에 관한 고찰" 군산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1 : 1989

      5 장욱,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 확대와 그 한계" 법학연구원 (39) : 543-566, 2012

      6 안세희,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 확대와 그 한계"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3 (3): 2014

      7 장순재, "환경행정소송에 있어서의 원고적격- 대법원99두2970" 대구판례연구회 11 : 2001

      8 김용섭, "환경행정소송에 있어서의 원고적격" 고시연구사 1999

      9 백종인, "환경행정소송에 있어서 원고적격확대 가능성 -한국과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부설법학연구소 32 : 265-302, 2011

      10 권기법, "환경행정소송에 있어서 원고적격의 법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3

      1 한창규, "「공법논총」, 을강 박일경회갑논문집" 1981

      2 채우석, "환경행정소송의 전개와 법리변화" 한국환경법학회 28 (28): 359-388, 2006

      3 김용섭, "환경행정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논의" 한국환경법학회 34 (34): 225-264, 2012

      4 김충묵, "환경행정소송의 본질에 관한 고찰" 군산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1 : 1989

      5 장욱,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 확대와 그 한계" 법학연구원 (39) : 543-566, 2012

      6 안세희,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 확대와 그 한계"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3 (3): 2014

      7 장순재, "환경행정소송에 있어서의 원고적격- 대법원99두2970" 대구판례연구회 11 : 2001

      8 김용섭, "환경행정소송에 있어서의 원고적격" 고시연구사 1999

      9 백종인, "환경행정소송에 있어서 원고적격확대 가능성 -한국과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부설법학연구소 32 : 265-302, 2011

      10 권기법, "환경행정소송에 있어서 원고적격의 법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3

      11 유종민, "환경행정소송에 있어서 원고적격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12 구형근, "환경행정소송에 관한 소고" 한국법학회 (28) : 37-59, 2007

      13 金泓均, "환경행정소송과 공법상 구제의 확대" 대한변호사협회 321 : 7-, 2003

      14 박균성, "환경피해의 공법적 구제" 한국환경법학회 23 (23): 2001

      15 윤철홍, "환경이익의 침해와 유지청구권"

      16 강홍균, "환경소송의 원고적격 확대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17 김동건, "환경소송에서의 주민의 원고적격" 한국환경법학회 28 (28): 41-52, 2006

      18 최선웅, "환경상 이익이 관련된 지역과 원고적"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33) : 27-50, 2012

      19 최유나, "환경상 이익의 침해를 이유로 취소소송을 제기한 제3자의 원고적격 (대법원 2010. 4. 15. 선고 2007두16127 판결)" 19 : 2010

      20 조용현, "환경상 이익 침해 소송의 원고적격(2009. 9. 24. 선고 2009두2825 판결 : 공2009하, 1770)"

      21 황보완, "환경분쟁과 행정재판"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17 : 2004

      22 박재완, "환경법의 제문제(상)" 법원도서관 2002

      23 강재규, "환경법의 성격과 환경행정소송제도- 도롱뇽소송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법학회 27 (27): 1-46, 2005

      24 이상규, "환경법론" 법문사 1998

      25 류지태, "환경법"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26 김동복, "행정청의 부작위에 대한 소송" 한국토지공법학회 11 : 2001

      27 김향기, "행정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연구 - 환경행정소송에서 제3자의 원고적격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법학회 31 (31): 211-261, 2009

      28 장태주, "행정법개론" 법문사 2008

      29 정하중, "행정법개론" 법문사 2011

      30 박윤흔, "행정법강의(상)" 박영사 2005

      31 김동희, "행정법Ⅰ" 박영사 2005

      32 천명은, "항고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33 박정훈, "항고소송에서 행정기관의 당사자능력과 원고적격" 법학연구소 49 (49): 405-446, 2014

      34 진광엽, "항고소송에 있어서 처분의 상대방 아닌 자의 원고적격: 경업자 및 경원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1 : 1997

      35 홍준형, "한국공법학 이론의 새로운 전개-묵촌김도창박사팔순기념논문집" 삼지원 2005

      36 임영호, "폐기물처리시설의 주변영향지역 밖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소각장입지지역결정·고시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할 원고적격이 있는지 여부 (2005.3.11. 선고 2003두13489 판결 : 공2005상, 596)"

      37 박정훈, "판례실무연구Ⅳ" 2000

      38 권경선, "취소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39 서재국, "취소소송에 있어서의 제3자의 원고적격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40 박선경, "취소소송에 있어서의 원고적격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41 김학세, "취소소송과 원고적격, 법률상 이익-대법원 1998.4.24. 선고 97누3286 판결과 관련하여" 법제처 2000

      42 박정훈, "청담최송화교수회갑기념논문집" 2002

      43 이영진, "지역주민들이 공설화장장설치결정처분의 취소를 구할 수 있는 원고적격을 가지는지 여부" (307) : 1995

      44 박균성, "제2판 행정법론(상)" 박영사 2011

      45 임영호, "정의로운 사법(이용훈대법원장재임기념)" 2006

      46 신용인, "자연의 권리" 부산지방변호사회 (창간) : 2006

      47 김도창, "일반행정법론(상)" 청운사 1992

      48 석종현, "일반행정법(상)" 삼영사 2005

      49 박종국, "인인소송상의 제3자의 원고적격" 법제처 2003

      50 이원우, "원고적격과 협의의 소의 이익" 2002

      51 김용섭, "법학전문대학원 판례교재 행정법 제2판" 법문사 2011

      52 최세영, "반사적이익과 항고소송" 대법원 10 : 1979

      53 차상붕, "미국의 NEPA소송과 환경소송상의 원고적격" 한국토지공법학회 31 : 241-266, 2006

      54 김광수, "미국 행정소송과 원고적격 ― 법적 권리에서 사실상의 손상(injury in fact)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39) : 89-113, 2014

      55 채우석, "開發行政과 環境行政訴訟" 한국공법학회 33 (33): 233-257, 2005

      56 原田尙彦, "訴の利益" 有裝閣 1973

      57 설계경, "環境行政訴訟의 原告適格에 관한 小考" 한국환경법학회 27 (27): 179-201, 2005

      58 김해룡, "環境行政訴訟에 있어서의 原告適格의 擴大와 集團訴訟制度 도입문제" 한국공법학회 33 (33): 211-231, 2005

      59 曺正煥, "環境行政訴訟에 관한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1

      60 장경원, "環境行政訴訟과 제3자의 原告適格 (대법원 2010. 4. 15. 선고 2007두16127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법학회 33 (33): 359-388, 2011

      61 김현준, "獨逸 環境法上 團體訴訟의 새로운 展開" 한국환경법학회 29 (29): 31-68, 2007

      62 近藤卓史, "實務行政訴訟法講義" 民事法硏究會 2007

      63 정남철, "4大江事件의 法的 爭點과 問題點에 관한 批判的 考察" 한국토지공법학회 73 (73): 131-158,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