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24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를 물과 에탄올 추출 후 극성이 상이한 유기용매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은 EE(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922....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를 물과 에탄올 추출 후 극성이 상이한 유기용매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은 EE(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922.22 mg/g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는 EB(butanol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282.49 mg/g을 함유하였다. WA(aqueous of water extract)와 EH(n-hexane fraction of ethanol extract)는 0.1 mg/mL에서 93% 이상의 전자공여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전자공여능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은1.0 mg/mL의 EA(aqueous of ethanol extract)에서 56.36%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EH와EC(chloroform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도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는 pH 1.2의 EC에서 82.03%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0.5 mg/mL에서 WE를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나, WE는 46.75%로 가장 우수한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남천 열매 분획물은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 제재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지닌 약용 식물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various Nandina domestica fruits extracts. Organic fractions, including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were obtained from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various Nandina domestica fruits extracts. Organic fractions, including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were obtained from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N. domestica fruits.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EE fraction was 922.22 mg/g. The flavonoid compound content was highest in the EB fraction (282.49 mg/g).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was highest (93%) in the WA and EH fractions at 0.1 mg/mL. The SOD-like activity was showed the highest in the EA fraction (56.36%), and EH and EC both showed higher than 50% activity.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the EC fraction at 1.0 mg/mL under pH 1.2 conditions was 82.03%.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all the fractions, except WE, were higher than 90% at 0.5 mg/mL.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was highest in the WE fraction (46.75%).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 domestica fruits fractions contained high levels of polyphenol and flavonoid compounds, along with excellent antioxidative effects. This suggests that N. domestica fruits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선경, "핑크팝 보리수 열매와 잎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4 (44): 69-78, 2010

      2 김남우, "싸리(Lespedeza bicolor) 추출물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75-79, 2005

      3 박찬성, "산수유, 황기, 감초 추출물의 생리활성" 대한본초학회 23 (23): 93-101, 2008

      4 박영서, "복분자의 유산발효와 생리활성 평가"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6 (46): 367-375, 2003

      5 박현실, "머루종실의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조리학회 17 (17): 271-280, 2011

      6 성낙주,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961-966, 2006

      7 김성애, "뜰보리수 열매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134-142, 2007

      8 강대훈, "꾸지뽕열매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과 Elastase 및 Tyrosinase 저해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236-243, 2011

      9 Yun JB, "The wood easily to fide" Jinseon publishers 557-, 2004

      10 Stirpe F,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244 : 3855-3861, 1969

      1 강선경, "핑크팝 보리수 열매와 잎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4 (44): 69-78, 2010

      2 김남우, "싸리(Lespedeza bicolor) 추출물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75-79, 2005

      3 박찬성, "산수유, 황기, 감초 추출물의 생리활성" 대한본초학회 23 (23): 93-101, 2008

      4 박영서, "복분자의 유산발효와 생리활성 평가"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6 (46): 367-375, 2003

      5 박현실, "머루종실의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조리학회 17 (17): 271-280, 2011

      6 성낙주,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961-966, 2006

      7 김성애, "뜰보리수 열매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134-142, 2007

      8 강대훈, "꾸지뽕열매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과 Elastase 및 Tyrosinase 저해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236-243, 2011

      9 Yun JB, "The wood easily to fide" Jinseon publishers 557-, 2004

      10 Stirpe F,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244 : 3855-3861, 1969

      11 Park JH, "The encyclopedia of Chinese crude drugs" Shinil publishers 122-, 2002

      12 Legendra O, "Synthetic studies and pharmacological evaluations on the MDMA (Ecstasy) antagonist nantenine" 20 : 628-631, 2010

      13 Indra B,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tudies with (±)-nantenine derivatives for α1-adrenoceptor antagonist activity" 437 : 173-178, 2002

      14 Shoji N, "Serotonergic receptor antagonist from Nandina domestica Thunberg" 73 : 568-570, 1984

      15 Jung SW,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27 : 891-896, 1995

      16 Chung IM, "Screening of Korean medicinal and food pla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6 : 311-322, 1998

      17 Kinsella JE, "Possible mechanism for the protective role of antioxidants in wine and plant foods" 47 : 85-89, 1993

      18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8th ed Vol 45"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1-22, 2005

      19 Olechno JD, "Nandinin: An acylated free cyanohydrine from Nandina domestica" 23 : 1784-1785, 1984

      20 Marklund S,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47 : 468-474, 1975

      21 Ivorra MD, "Investigation of the dual contractile/relaxant properties showed by antiquine in rats aorta" 109 : 502-, 1992

      22 Kato H,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51 : 1333-1338, 1987

      23 Yagi A,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53 : 517-519, 1987

      24 Woldemeskel M, "Feeding behavior-related toxicity due to Nandina domestica in Cedar Waxwings (Bambycilla cedrorum)" 2010 : 1-4, 2010

      25 Kalt W, "Effects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tors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antioxidant" 70 : 11-19, 2005

      26 Omaye ST,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ne and other antioxidants on mouse lung metabolism" 3 : 829-836, 1997

      27 Nieva Moreno MI,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71 : 109-114, 2000

      28 Vivek K, "Chemical composition and inhibitory parameters of essential oil and extracts of Nandina domestica Thunb. to control food-borne pathogenic and spoilage bacteria" 125 : 117-122, 2008

      29 Duke EJ, "Characterization of alternative molecular forms of xanthine oxidase in the mouse" 131 : 187-190, 1973

      30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