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Signifcance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 Involvement on Determination of Clinical Staging for Thoracic Eso phageal Carcino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30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1997년에 개정된 AJCC 병기분류법에 의하면 흉부식도암의 쇄골상림프절전이는 원격전이로 분류된다. 연구자들은 다른 국소림프절전이와 쇄골상림프절전이의 임상적 양상의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6월부터 1992년 12월 사이에 임상적으로 절제가 불가능한 식도암 환자 289명이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이 중 25명의 환자에서 쇄골상림프절전이가 관찰되었다. 쇄골상림프절의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소림프절전이 환자와 생존율 및 재발양상에 대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쇄골상림프절전이 환자의 생존중앙치는 7개월이었으며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12.0% 및 4.0% 였다. 국소림프절전이 환자에서는 9개월, 17.0% 및 3.8% 였다. 두 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재발양상에 있어서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흉부식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쇄골상림프절로의 전이는 현재의 분류인 원격전이이기 보다는 국소림프절전이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며, 향후 이에 대한 다기관공동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목 적 : 1997년에 개정된 AJCC 병기분류법에 의하면 흉부식도암의 쇄골상림프절전이는 원격전이로 분류된다. 연구자들은 다른 국소림프절전이와 쇄골상림프절전이의 임상적 양상의 차이에 대...

      목 적 : 1997년에 개정된 AJCC 병기분류법에 의하면 흉부식도암의 쇄골상림프절전이는 원격전이로 분류된다. 연구자들은 다른 국소림프절전이와 쇄골상림프절전이의 임상적 양상의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6월부터 1992년 12월 사이에 임상적으로 절제가 불가능한 식도암 환자 289명이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이 중 25명의 환자에서 쇄골상림프절전이가 관찰되었다. 쇄골상림프절의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소림프절전이 환자와 생존율 및 재발양상에 대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쇄골상림프절전이 환자의 생존중앙치는 7개월이었으며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12.0% 및 4.0% 였다. 국소림프절전이 환자에서는 9개월, 17.0% 및 3.8% 였다. 두 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재발양상에 있어서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흉부식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쇄골상림프절로의 전이는 현재의 분류인 원격전이이기 보다는 국소림프절전이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며, 향후 이에 대한 다기관공동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 Involvement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s (SCL) is considered distant metastas is for thoracic esophageal carcinoma in AJCC staging system revised in 1997. We investigated significance of SCL involvement compared to other regional lymph node involvement.
      Materials and Methods :Two-hundred eighty-nine patients with unresectable esophage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from June of 1979 through December 1992. Of these patients , 25 were identified having SCL involvement. Survival rate and relapse patterns were compared with that of mediastinal and perigastric lymph node pos itive patients to evaluate prognostic s ignificance of SCL involvement.
      Res ults :Median survival for patients with SCL involvement was 7 months and 2- and 5-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12.0% and 4.0% respectably. Corresponding features for regional node positive patients were 9 month, 17.0% and 3.8%. There was no s 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patterns of recurrence .
      Conclusion : Results of this analys is showed that SCL involvement should be staged as nodal disease in contrast to present classification of metastatic disease.
      번역하기

      Background and Purpose : Involvement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s (SCL) is considered distant metastas is for thoracic esophageal carcinoma in AJCC staging system revised in 1997. We investigated significance of SCL involvement compared to other reg...

      Background and Purpose : Involvement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s (SCL) is considered distant metastas is for thoracic esophageal carcinoma in AJCC staging system revised in 1997. We investigated significance of SCL involvement compared to other regional lymph node involvement.
      Materials and Methods :Two-hundred eighty-nine patients with unresectable esophage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from June of 1979 through December 1992. Of these patients , 25 were identified having SCL involvement. Survival rate and relapse patterns were compared with that of mediastinal and perigastric lymph node pos itive patients to evaluate prognostic s ignificance of SCL involvement.
      Res ults :Median survival for patients with SCL involvement was 7 months and 2- and 5-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12.0% and 4.0% respectably. Corresponding features for regional node positive patients were 9 month, 17.0% and 3.8%. There was no s 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patterns of recurrence .
      Conclusion : Results of this analys is showed that SCL involvement should be staged as nodal disease in contrast to present classification of metastatic disea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