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중 문화 충돌과 문화산업 경쟁 - 중국학계의 한국드라마 담론을 중심으로 - =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 Competi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3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 초부터 중국에서 한국드라마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는 중국공산당과 정부가 문화발전 전략을 추진한 기간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이러한 시대 특징에 주목해서 중국학계가 생성...

      2000년 초부터 중국에서 한국드라마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는 중국공산당과 정부가 문화발전 전략을 추진한 기간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이러한 시대 특징에 주목해서 중국학계가 생성하는 한국드라마 담론을 통해 한·중 문화 충돌과 문화산업 경쟁의 가능성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중문핵심학술지를 담론분석 원본으로 다음 세 가지 문제를 분석했다. 첫째, 중국학계의 한국드라마 연구경향은 무엇인가. 둘째, 중국학계의 한국드라마 연구주제 중 문화산업 전략·정책과 유교문화에서 드러나는 중국의 문화발전 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앞서 두 문제를 기초로 한·중 문화 충돌과 문화산업에서 경쟁의 가능성이 있는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중문핵심학술지에 120편의 한국드라마 추가 논문이 발표됐다. 연구주제를 보면, 한국드라마의 ‘인기원인’을 분석하는 연구(19.2%)가 가장 많았고, ‘문화산업 전략·정책’과 ‘유교문화’는 자국의 관점에서 중국문화산업 발전과 중화문화의 부활·계승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것은 21세기 들어서 중국이 소프트파워 측면에서 문화산업 발전과 중화문화 부활 등을 추진한 것과 관계가 있다. 후진타오부터 현재 시진핑까지 ‘문화강국’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개인 측면에서 중국수용자는 문화근접성에서 유교문화를 재현하는 한국드라마를 쉽게 수용했다. 그러나 국가 측면은 다르다. 양국은 유교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전통문화를 공유하기 때문에 자문화 중심으로 문화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문화를 원형으로 하는 문화산업 경쟁도 치열해질 가능성이 높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000s,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TV dramas in China had been maintained in line with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government’s 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how the Chinese academic world r...

      In the 2000s,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TV dramas in China had been maintained in line with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government’s 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how the Chinese academic world researched South Korean TV dramas for promoting the domestic cultural development, and intended to identify not only how fierce the competi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between Korea and China would become but also whethe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ultural clash would happen between the two n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three items like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research by the major Chinese journals on South Korean TV dramas. Secondly, the studies on South Korean TV dramas were made under the context of the 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pushed for by the Chinese Community Party during the period of President Hu Jintao. Thirdly, this study examined the competi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lash between Korea and China.
      From 2001 to 2012, a total of 120 thesis on South Korean TV dramas were published in the major journals of China and research on analyzing the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TV drama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19.2%). Besides, theses that examined South Korean TV dram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traditional culture emphasiz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and the revival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This had some connections with emphasis on the soft power while the CCP push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revival of Chinese culture from 2000.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lash is getting higher because of the competi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with South Korea as well as how both countries are sharing the culture because the CCP is promoting the cultural power of the n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진숙, "한국 비판언론학의 질적 연구방법 적용사례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43 (43): 81-113, 2008

      2 조영남, "한·중관계의 발전과 규범 충돌: 현황과 과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67-191, 2010

      3 손승혜, "학술 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해본 한류 10년 : 연구 경향과 그 정책적 함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7 (17): 122-153, 2009

      4 김은미,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의 인터넷 관련 연구 10년 : PC통신에서 웹2.0까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5 (25): 243-288, 2008

      5 마틴 자크,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 패권국가 중국은 천하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부키 2010

      6 이욱연, "중국의 문화대국 전략 - 그 내용과 한국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동아연구소 (56) : 5-39, 2009

      7 郭敏, "韓劇與儒家文化版圖的拓展" (6) : 117-121, 2006

      8 張少輝, "韓劇與中國社會文化的同源性" (6) : 60-61, 2011

      9 高福安, "韓劇的發展給國産電視劇的啓示" (7) : 56-57, 2011

      10 操慧, "韓劇啓示錄: 兼論對國産現實題材電視劇走向世界的借鑒意義" (1) : 66-69, 2004

      1 강진숙, "한국 비판언론학의 질적 연구방법 적용사례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43 (43): 81-113, 2008

      2 조영남, "한·중관계의 발전과 규범 충돌: 현황과 과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67-191, 2010

      3 손승혜, "학술 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해본 한류 10년 : 연구 경향과 그 정책적 함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7 (17): 122-153, 2009

      4 김은미,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의 인터넷 관련 연구 10년 : PC통신에서 웹2.0까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5 (25): 243-288, 2008

      5 마틴 자크,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면: 패권국가 중국은 천하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부키 2010

      6 이욱연, "중국의 문화대국 전략 - 그 내용과 한국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동아연구소 (56) : 5-39, 2009

      7 郭敏, "韓劇與儒家文化版圖的拓展" (6) : 117-121, 2006

      8 張少輝, "韓劇與中國社會文化的同源性" (6) : 60-61, 2011

      9 高福安, "韓劇的發展給國産電視劇的啓示" (7) : 56-57, 2011

      10 操慧, "韓劇啓示錄: 兼論對國産現實題材電視劇走向世界的借鑒意義" (1) : 66-69, 2004

      11 朱權, "從契合到浸潤: 文化傳播學視角下的 “韓劇熱”" 29 (29): 78-79, 2006

      12 戈麗芳, "客觀評價 “韓劇”的發展現狀及借鑒價值" (13) : 31-32, 2009

      13 梁英, "大衆敘事與精神家園" 四川大學 2007

      14 劉原, "在 “韓流”的背後: 解讀韓國電視劇" (5) : 44-46, 2004

      15 "國發 [2006]18號"

      16 張利生, "國外電視節目本土化管见" (8) : 47-49, 2009

      17 劉道鋒, "儒家孝道思想在韓劇中的表現模式" (7) : 58-59, 2009

      18 吳麟, "傳播和諧的 “傳統-現代”價値觀: 從韓劇熱播談起" (6) : 64-65, 2006

      19 金花子, "中韓電視劇敘事文化比較研究" 吉林大學 2009

      20 樸圭玉, "中韓家庭劇倫理文化比較研究" 遼甯大學 2011

      21 朱强, "中文核心期刊要目總覽" 北京大学出版社 2011

      22 "中國共產黨第十六次全國代表大會報告"

      23 "中國共產黨第十七次全國代表大會報告"

      24 "http://www.cnki.net"

      25 정인숙, "3대 언론학술지에 게재된 방송정책연구에 대한 평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6) : 109-135, 2006

      26 溫朝霞, "1980年後日韓影視劇在中國的傳播" 暨南大學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7-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5 0.85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