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간복제에 관한 철학적 성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792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복제는 자연에 대한 기술적 지배의 정점인 동시에 인간 및 생명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반성의 한계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21세기 철학적 탐구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의 철학의 핵심문제로 등장한 <인간복제>를 독일의 슬로터다이크 논쟁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생명공학의 위험성은 단적으로 말해서 자연과 기술의 경계가 무너졌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자연과 기술의 경계가 무너진 결과, 인간의 몸뿐만 아니라, 성향, 기질, 성격 등 그의 삶과 존재 전체가 인위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인간다움의 제1조건이 <탄생>에 놓여 있는 것이라면, 생명의 <디자인>과 <만듦>을 지향하는 생명공학은 도덕적으로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 둘째, 특히 인간복제와 관련하여 철학적으로 중요한 문제는 요나스가 강조하듯이 복제인간의 자기성과 관련하여 발생한다. 자연생식에 의해 탄생한 인간과는 달리 복제인간은 실존적 자유와 자기실현의 가능 조건인 <원초적 무지>가 박탈되어 있다. 이처럼 인간복제가 인간의 천부적 권리 가운데 하나인 <무지에 대한 권리>를 박탈하는 한, 그것은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는 범죄행위 이외의 다른 것이 아니다. 셋째, 인간복제의 위험성은 생식, 출산, 양육과 관련하여 가장 원초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는 가족의 해체를 가져온다는 점에서도 지적될 수 있다. 즉 인간복제는 생식의 기술화, 상업화, 분산화를 통해, 혈연관계와 가족관계는 물론, 생식과 생물학적 재생산마저도 분리시킴으로써 인간이 자기의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유일한 터전으로서의 가족 제도를 무너뜨리고 만다.
      번역하기

      인간복제는 자연에 대한 기술적 지배의 정점인 동시에 인간 및 생명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반성의 한계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21세기 철학적 탐구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따라서 본 연구...

      인간복제는 자연에 대한 기술적 지배의 정점인 동시에 인간 및 생명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반성의 한계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21세기 철학적 탐구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의 철학의 핵심문제로 등장한 <인간복제>를 독일의 슬로터다이크 논쟁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생명공학의 위험성은 단적으로 말해서 자연과 기술의 경계가 무너졌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자연과 기술의 경계가 무너진 결과, 인간의 몸뿐만 아니라, 성향, 기질, 성격 등 그의 삶과 존재 전체가 인위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인간다움의 제1조건이 <탄생>에 놓여 있는 것이라면, 생명의 <디자인>과 <만듦>을 지향하는 생명공학은 도덕적으로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 둘째, 특히 인간복제와 관련하여 철학적으로 중요한 문제는 요나스가 강조하듯이 복제인간의 자기성과 관련하여 발생한다. 자연생식에 의해 탄생한 인간과는 달리 복제인간은 실존적 자유와 자기실현의 가능 조건인 <원초적 무지>가 박탈되어 있다. 이처럼 인간복제가 인간의 천부적 권리 가운데 하나인 <무지에 대한 권리>를 박탈하는 한, 그것은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는 범죄행위 이외의 다른 것이 아니다. 셋째, 인간복제의 위험성은 생식, 출산, 양육과 관련하여 가장 원초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는 가족의 해체를 가져온다는 점에서도 지적될 수 있다. 즉 인간복제는 생식의 기술화, 상업화, 분산화를 통해, 혈연관계와 가족관계는 물론, 생식과 생물학적 재생산마저도 분리시킴으로써 인간이 자기의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유일한 터전으로서의 가족 제도를 무너뜨리고 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 Menschenklonen ist insofern ein wichtiger Gegenstand der heutigen philosophischen Untersuchungen geworden, als er nicht nur einen Höhepunkt der menschlichen Herrschaft über die Natur darstellt, sondern auch die Würde und das Wesen des menschlichen Lebens in Frage stellt. Unser Projekt, welches aus Anlaß der sog. Sloterdijk-Debatte in Deutschland durchgeführt wurde, stellt 3 Thesen auf: 1. Die Gefahr der Biotechnik besteht v. a. in der Entdifferenzierung zwischen der Natur und der Technik. Durch diese Entdifferenzierung ist es schon möglich geworden, sowohl in den menschlichen Leib als auch seine psychische Tendenz, sein Temperament und seinen Charakter technisch einzugreiffen. Wenn aber die erste Bedingung des Menschlichen in der Geborenheit liegt, ist derartige technische Eingriff moralisch niemals erlaubbar. 2. Das Menschenklonen ist gefährlich, wie H. Jonas betont, weil er auch dem Menschen die Freiheit des ursprünglichen Nichtwissens beraubt. Insofern müssen wir sagen, daß das Menschenklonen ein unsühnbares Verbrechen ist, das auch nicht einziges Mal begangen werden darf. 3. Die Gefahr von Menschenklonen finden wir auch in bezug auf die Familie. Im Prozeß der Klonierung entarten die grundlegenden Beziehungen der menschlichen Person: Kindschaft, Blutsverwandtschaft, Elternschaft. In der Klonierung werden diese Bande radikal zerstört.
      번역하기

      Das Menschenklonen ist insofern ein wichtiger Gegenstand der heutigen philosophischen Untersuchungen geworden, als er nicht nur einen Höhepunkt der menschlichen Herrschaft über die Natur darstellt, sondern auch die Würde und das Wesen des menschlic...

      Das Menschenklonen ist insofern ein wichtiger Gegenstand der heutigen philosophischen Untersuchungen geworden, als er nicht nur einen Höhepunkt der menschlichen Herrschaft über die Natur darstellt, sondern auch die Würde und das Wesen des menschlichen Lebens in Frage stellt. Unser Projekt, welches aus Anlaß der sog. Sloterdijk-Debatte in Deutschland durchgeführt wurde, stellt 3 Thesen auf: 1. Die Gefahr der Biotechnik besteht v. a. in der Entdifferenzierung zwischen der Natur und der Technik. Durch diese Entdifferenzierung ist es schon möglich geworden, sowohl in den menschlichen Leib als auch seine psychische Tendenz, sein Temperament und seinen Charakter technisch einzugreiffen. Wenn aber die erste Bedingung des Menschlichen in der Geborenheit liegt, ist derartige technische Eingriff moralisch niemals erlaubbar. 2. Das Menschenklonen ist gefährlich, wie H. Jonas betont, weil er auch dem Menschen die Freiheit des ursprünglichen Nichtwissens beraubt. Insofern müssen wir sagen, daß das Menschenklonen ein unsühnbares Verbrechen ist, das auch nicht einziges Mal begangen werden darf. 3. Die Gefahr von Menschenklonen finden wir auch in bezug auf die Familie. Im Prozeß der Klonierung entarten die grundlegenden Beziehungen der menschlichen Person: Kindschaft, Blutsverwandtschaft, Elternschaft. In der Klonierung werden diese Bande radikal zerstö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부 : 인간복제와 슬로터다이크 논쟁

      1장 : 인간복제, 어디까지 와 있는가?
      2장 : 인간복제 - 담론의 과잉, 철학의 부재
      3장 : 인간사육인가, 인간해방인가?
      4장 : 인간복제와 포스트휴머니즘



      2부 : 인간복제에 관한 철학적 성찰

      5장 : 태어난 인간과 만들어진 인간
      6장 : 요나스의 목적론적 생명철학과 인간복제
      7장 : 니체의 초인과 복제인간
      8장 : 인간복제 시대의 가족 - 생식기술의 사회적 효과

      * 용어해설
      번역하기

      1부 : 인간복제와 슬로터다이크 논쟁 1장 : 인간복제, 어디까지 와 있는가? 2장 : 인간복제 - 담론의 과잉, 철학의 부재 3장 : 인간사육인가, 인간해방인가? 4장 : 인간복제와 ...

      1부 : 인간복제와 슬로터다이크 논쟁

      1장 : 인간복제, 어디까지 와 있는가?
      2장 : 인간복제 - 담론의 과잉, 철학의 부재
      3장 : 인간사육인가, 인간해방인가?
      4장 : 인간복제와 포스트휴머니즘



      2부 : 인간복제에 관한 철학적 성찰

      5장 : 태어난 인간과 만들어진 인간
      6장 : 요나스의 목적론적 생명철학과 인간복제
      7장 : 니체의 초인과 복제인간
      8장 : 인간복제 시대의 가족 - 생식기술의 사회적 효과

      * 용어해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