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서술정체성을 측정하고 이와 관련된 심리 사회적 변인간의 관련성을 탐구하고자 고안되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서술정체성의 내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2899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서술정체성을 측정하고 이와 관련된 심리 사회적 변인간의 관련성을 탐구하고자 고안되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서술정체성의 내용...
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서술정체성을 측정하고 이와 관련된 심리 사회적 변인간의 관련성을 탐구하고자 고안되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서술정체성의 내용을 탐구하고 이를 기존의 서양 청소년들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일단 서술정체성 탐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실시할 것이며, 코딩 프로토콜의 작성, 그리고 통계분석이라는 순으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서술정체성은 McAdams와 McLean등의 연구들에 기초하여 간단한 자신의 일생에 대한 자서전을 작성하게 하고 이를 평정하는 방식을 취한다. 가장 기본이 될 평정은 McLean (McLean & Thorne, 2003)등에 의해 정의된 방식을 사용하고자 하며, 이와 동시에 Pals(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개인의 위기해결에 대한 해석이나, 정서적 분리의 평정도 참고하여 유사한 방식의 코딩 프로토콜을 개발할 예정이다. 그와 동시에 정체성 사건의 내용분석 및 서양과의 비교를 위하여 관련연구가 진행된 McLean과 Breen(2009)의 연구를 기초로 특정 연령대의 집단이 특정시기 주로 어느 부분에 대해 언급하는지를 분석할 예정이다.
이렇게 평정된 다양한 측면의 서술정체성은 다음과 같은 기존의 척도와 비교분석할 계획이다. 1) 지위형 자아 정체성 척도 2) 정신건강 척도 3) 삶의 질 척도 4) 경험에 대한 개방성 척도 5) BIS/BAS 척도 6) 진로 정체성 척도
이러한 기존의 척도들을 종합하여 다음의 주요 가설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첫째, 서술 정체성의 내용분석이다. McLean과 Breen(2009)의 연구에서 밝혀진 전환점 서술의 내용이 한국 청소년에서도 같은 양상으로 발견되는지 아니면 국내 청소년의 특수한 맥락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서술된 전환점의 내용을 분석하는 작업을 실시할 것이다. McLean과 Breen(2009)의 연구에서 구분한 총 12가지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청소년에게서 얻은 전환점에 대한 기술을 할당하여 이를 기존의 연구 자료와 비교하는 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분석은 카이자승 검증이나 기타 비모수적 검증치를 이용할 계획이다.
둘째, 서술적 정체성과 기존의 정체성 요인간의 관련성을 탐구할 것이다.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서술 정체성은 지위형 정체성과 작은 수준의, 그렇지만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cLean & Pratt, 2006).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외국연구의 결과를 국내 청소년에게 적용하여 기존 연구의 결과 패턴이 국내 청소년층에도 관찰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서술 정체성으로 측정한 전반적인 자아정체성이 진로정체성이라는 청소년기 특수 정체성과도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은 상관분석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며, 서술 정체성과 정체성 지위의 예측을 위해서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할 예정이다.
셋째, 서술정체성으로 측정한 다양한 정체성 점수가 성격이나 개인차 변인들을 매개하여 청소년들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개방성 성격차원과 행동 억제 / 행동 활성의 두 가지 개인차 변인을 서술 정체성 수준의 선행변인으로 간주하고, 서술 정체성의 평정으로 점수화한 두 가지 변인 (의미부여 점수 및 서술의 정교성 점수)을 매개변인으로 삼아 기준변인인 삶의 질과 정신건강을 예측하는 모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주 분석에 더불어, 연령 및 성에 따른 다 집단 분석도 병행하고자 한다. 분석은 회귀분석 혹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