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망국과 國家 表象의 의미 변화 : 태극기, 오얏꽃, 무궁화를 중심으로 = Shifting Meanings of Korean National Symbols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 Flag of Taegeuk, O-yat flower, and Mugungwh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772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Flag of Taegeuk was established as the official national flag in 1883, many national symbols were established in Daehan empire period. For instance, the O-yat(plum) flower, the falcon, and the Mugungwha(hibiscus) each respectably symbolized the royal family, the emperor, and the nation's land and they were used for post stamps, cash, Orders, and other printed materials. But during the time of Japanese Occupation Period, such national symbols were banned and therefore the meanings of those symbols also changed.
      The Flag of Taegeuk was used for national holidays and at the sports meeting of schools during the 1890s. As Korea lost her sovereignty to Japan, the significance of the flag of Taegeuk acquired a new meaning for national identity of Koreans who lived in foreign countries and it also symbolized the recovery of the Korean sovereignty during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significance of the flag of Taegeuk changed from the symbol of sovereignty to that of the nation and her people as a whole.
      When the O-yat flower pattern was first used from the 1890s to the 1900s, there was not so much difference between the imperial family and the nation. But when Soonjong became the emperor in 1907, the O-yat flower was used more as the royal crest. The new flag of emperor(御旗) was representative of the royal family rather then of the nation.
      The Mugungwha was used on the Orders and civil officer’s uniforms as the national symbol during Daehan Empire period. But it was replaced by the O-yat flower in 1905 as the uniforms changed. But Koreans who were living in foreign countries actively used the Mugungwha, along with the flag of Taegeuk as symbols of Korea.
      Since Daehan Empire lost her sovereignty to Japan, various national symbols lost their significance to represent an independent nation. But the flag of Taegeuk and the Mugungwha was used to recover the power of sovereignty. Such changes in the meanings of the national symbol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was not implemented by the authorities, bur rather voluntarily enacted through those without power.
      번역하기

      After the Flag of Taegeuk was established as the official national flag in 1883, many national symbols were established in Daehan empire period. For instance, the O-yat(plum) flower, the falcon, and the Mugungwha(hibiscus) each respectably symbolized ...

      After the Flag of Taegeuk was established as the official national flag in 1883, many national symbols were established in Daehan empire period. For instance, the O-yat(plum) flower, the falcon, and the Mugungwha(hibiscus) each respectably symbolized the royal family, the emperor, and the nation's land and they were used for post stamps, cash, Orders, and other printed materials. But during the time of Japanese Occupation Period, such national symbols were banned and therefore the meanings of those symbols also changed.
      The Flag of Taegeuk was used for national holidays and at the sports meeting of schools during the 1890s. As Korea lost her sovereignty to Japan, the significance of the flag of Taegeuk acquired a new meaning for national identity of Koreans who lived in foreign countries and it also symbolized the recovery of the Korean sovereignty during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significance of the flag of Taegeuk changed from the symbol of sovereignty to that of the nation and her people as a whole.
      When the O-yat flower pattern was first used from the 1890s to the 1900s, there was not so much difference between the imperial family and the nation. But when Soonjong became the emperor in 1907, the O-yat flower was used more as the royal crest. The new flag of emperor(御旗) was representative of the royal family rather then of the nation.
      The Mugungwha was used on the Orders and civil officer’s uniforms as the national symbol during Daehan Empire period. But it was replaced by the O-yat flower in 1905 as the uniforms changed. But Koreans who were living in foreign countries actively used the Mugungwha, along with the flag of Taegeuk as symbols of Korea.
      Since Daehan Empire lost her sovereignty to Japan, various national symbols lost their significance to represent an independent nation. But the flag of Taegeuk and the Mugungwha was used to recover the power of sovereignty. Such changes in the meanings of the national symbol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was not implemented by the authorities, bur rather voluntarily enacted through those without pow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다카시 후지타니, "화려한 군주 : 근대일본의 권력과 국가의례" 이산 2003

      2 목수현,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 상징물" 서울대학교 2008

      3 "제국신문 1899년 5월 5일자"

      4 "제국신문 1899년 5월 1일자"

      5 "애국가, 共立新報 1908년 3월 11일자"

      6 이지선, "애국가 형성과정 연구 : 올드랭사인 애국가, 대한제국 애국가, 안익태애국가" 서울대학교 2007

      7 "시 평론, 대한매일신보 1909년 1월 10일자"

      8 김소영, "순종황제의 南・西巡幸과 忠君愛國論" 고려사학회 (39) : 159-193, 2010

      9 "무궁화가, 대한매일신보 1907년 10월 30일자"

      10 "메리다의 국치기념, 新韓民報 1916년 9월 21일자"

      1 다카시 후지타니, "화려한 군주 : 근대일본의 권력과 국가의례" 이산 2003

      2 목수현,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 상징물" 서울대학교 2008

      3 "제국신문 1899년 5월 5일자"

      4 "제국신문 1899년 5월 1일자"

      5 "애국가, 共立新報 1908년 3월 11일자"

      6 이지선, "애국가 형성과정 연구 : 올드랭사인 애국가, 대한제국 애국가, 안익태애국가" 서울대학교 2007

      7 "시 평론, 대한매일신보 1909년 1월 10일자"

      8 김소영, "순종황제의 南・西巡幸과 忠君愛國論" 고려사학회 (39) : 159-193, 2010

      9 "무궁화가, 대한매일신보 1907년 10월 30일자"

      10 "메리다의 국치기념, 新韓民報 1916년 9월 21일자"

      11 백동현, "러, 일전쟁 전후 ‘민족’ 용어의 둥장과 민족인식" (10) : 176-, 2001

      12 목수현, "디아스포라의 정체성과 태극기: 20세기 전반기의 미주 한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6) : 47-79, 2010

      13 "독립신문 1899년 6월 29일자"

      14 "독립신문 1899년 5월 4일자"

      15 "독립신문 1899년 5월 1일자"

      16 "독립신문 1898년 5월 31일자 잡보"

      17 "독립신문 1897년 6월 19일자"

      18 "독립신문 1897년 4월 29일자"

      19 "독립신문 1896년 9월 22일자 논설"

      20 "독립신문 1896년 6월 2일자"

      21 이경미,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2008

      22 이왕무, "대한제국기 純宗의 南巡幸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59-88, 2007

      23 "대한매일신보 1909년 2월 5일자 잡보"

      24 "대한매일신보 1908년 8월 6일자"

      25 "대치욕국치기념일 기사, 新韓民報 1913년 9월 5일자"

      26 목수현, "근대국가의 ‘국기(國旗)’라는 시각문화 - 개항과 대한제국기 태극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27) : 309-344, 2006

      27 김성학, "근대 학교운동회의 탄생: 화류에서 훈련과 경쟁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1 (31): 57-94, 2009

      28 이욱, "근대 국가의 모색과 국가의례의 변화: 1894-1908년 국가 제사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7 (27): 59-94, 2004

      29 "국치기념일 성황, 新韓民報 1914년 9월 3일자"

      30 "국기문제를 변론함, 대한매일신보 1909년 2월 19일자 논설"

      31 이태진, "고종의 군민일체의 정치이념, In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45-, 1999

      32 이윤상, "고종 즉위 40년 및 망육순 기념행사와 기념물" 29 (29): 29-, 2003

      33 홍문기, "갑오개혁 이후 비서기관의 변천과 군주권" 서울대학교 2004

      34 "감개비량한 국치 제八년 기념식, 新韓民報 1917년 8월 30일자"

      35 "高宗實錄"

      36 "韓日國旗, 皇城新聞 1905년 11월 4일자 잡보"

      37 최규순, "開港期에서 日帝强占期 의생활연구의 현황과 전망" 1 : 66-, 2007

      38 "統監府文書 9, 隆熙3년(1909) 1월 20일"

      39 "皇城新聞 1907년 11월 2일자 잡보"

      40 "皇城新聞 1907년 11월 2일자"

      41 "皇城新聞 1906년 06월 13일자 잡보"

      42 "皇城新聞 1904년 5월 13일자"

      43 "皇城新聞 1899년 5월 1일자"

      44 "法規類編"

      45 "民家國旗, 皇城新聞 1909년 1월 10일자 잡보"

      46 "東亞日報 1925년 10월 21일자"

      47 "普校頌祝盛况 皇城新聞 1906년 3월 9일자 잡보"

      48 "日省錄"

      49 "日皇太子歡迎, 皇城新聞 1907년 9월 27일자 잡보"

      50 沼田賴輔, "日本紋章學" 人物往來社 1968

      51 "新韓民報 1910년 9월 21일자"

      52 李明花, "愛國歌 형성에 관한 연구" 10 : 1999

      53 金煉甲, "愛國歌 作詞者 硏究" 집문당 1998

      54 "宮內府來文(奎17757)"

      55 "官報 隆熙 3년(1909) 1월 4일자 號外 詔勅"

      56 "官報 隆熙 2년(1908) 6월 23일자. 勅令 제33호"

      57 "官報 隆熙 2년(1908) 5월 13일자 및 5월 14일자. 布達 제176호"

      58 "官報 隆熙 2년(1908) 2월 20일자 및 2월 22일자. 布達 제173호"

      59 "官報 隆熙 2년(1908) 2월 17일자. 勅令 제9호"

      60 최규순, "大韓帝國期 宮內府 大禮服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3-39, 2008

      61 목수현, "大韓帝國期 國家 視覺 象徵의 淵源과 變遷" 한국미술연구소 (27) : 289-321, 2008

      62 한국자수박물관, "大韓帝國時代文物展" 1991

      63 "南巡幸日記(奎17846)"

      64 "勅令"

      65 "內閣往復文(奎 17755)"

      66 서영희, "1894~1904년의 政治體制 變動과 宮內府" 23 : 328-,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2.0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