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적 미술치료가 진폐증 환자의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과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4월에서 10월 까지 10명의 진...
지지적 미술치료가 진폐증 환자의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과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4월에서 10월 까지 10명의 진폐증 환자가 지지적 정신치료에 참여하였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해 지지적 미술치료 전 ․ 후에 불안, 우울,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자가 평가를 시행하였다. 불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가 사용되었고 우울에 대한 평가를 위해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가 사용되었다. 삶의 질에 대한 접근을 위해 36 health survey-Korean(SF-36-K)이 사용되었다. 지지적 미술치료 치료 전 ․ 후에 혈중 norepinephrine, epinephrine, Ig G, Ig M, Ig A, natural killer cell과 cortisol에 대한 혈중 농도 검사가 시행되었다.
첫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우울의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50.89 ± .33 vs 34. 66 ± 3. 50, p<.01)
둘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불안의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state anxiety 80.00 ± .00. vs 46.55 ± 2. 78 p<.01, trait anxiety 71.00 ± .00 vs 68.66 ± 2.73, p<.05)
셋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삶의 질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46.20 ±.00 vs 68. 87 ± 2. 58, p<.01)
넷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진폐증 환자의 혈중 norepinephrine, IgG, IgA, IgM, 그리고 cortisol 수치가 저명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epinephrine과 T suppressor cells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다섯째, 진폐증 환자에 있어서 정신의학적 요소 즉, state 1과 state 2사이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사회적 지지, 그리고 건강은 혈액의 몇 가지 요소와 관계가 있다. 사회적 지지와 epinephrine 사이에는 정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NK cells사이에는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진폐증 환자에서 불안과 우울증의 유병율이 높았으며 삶의 질은 저하되어 있었다.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에서 불안, 우울, 삶의 질, 그리고 면역 기능의 저명한 개선이 있었으며, 또한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지지적 미술치료는 만성 진폐증 환자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그리고 심리학적 건강에 도움이 되므로 보조적 치료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