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지적 미술치료가 진폐증환자의 불안, 우울, 삶의 질,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upportive Art Therapy on the Anxiety, Depression, Quality of Life, Stress Hormone and Immunity in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41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stress hormones and immune function and psychopathological paramet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and the effect of supportive art therapy on the these variables.
      Ten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participated in supportive art therapy from April, 2007 to October, 2007. Each patients self-assessed level of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t baseline and a following supportive art therapy. Subjects used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for measuring anxiety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for measuring depression.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by short-form 36 health survey-Korean(SF-36-K). Lab tests of norepinephrine, epinephrine, Ig G, Ig M, Ig A, natural killer cell and cortisol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1.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the level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50.89 ± .33 vs 34. 66 ± 3. 50, p<.01)
      2.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the level of state and trait anxie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state anxiety 80.00 ± .00. vs 46.55 ± 2. 78 p<.01, trait anxiety 71.00 ± .00 vs 68.66 ± 2.73, p<.05)
      3.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46.20 ±.00 vs 68. 87 ± 2. 58, p<.01)
      4. After the supportive art therapy, the norepinephrine, IgG, IgA, IgM, and cortisol of the pneumoconiosis patient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ir epinephrine and T suppressor cells significantly decreased.
      5. Only social support among state-1, state-2,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which were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pneumoconiosis patients, was related to some factors for bloo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pinephrin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NK cells.
      The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high and the quality of life was low in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patients. Group supportive art therapy significantly affects the anxiety,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immune function of pneumoconiosis patients and helps improve their physical and metal health. Thus, since supportive art therapy helps chronic pneumoconiosis patients improve their physical, mental,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th, it can be used as a adjunctive method for treat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stress hormones and immune function and psychopathological paramet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and the effect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stress hormones and immune function and psychopathological paramet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and the effect of supportive art therapy on the these variables.
      Ten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participated in supportive art therapy from April, 2007 to October, 2007. Each patients self-assessed level of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t baseline and a following supportive art therapy. Subjects used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for measuring anxiety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for measuring depression.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by short-form 36 health survey-Korean(SF-36-K). Lab tests of norepinephrine, epinephrine, Ig G, Ig M, Ig A, natural killer cell and cortisol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1.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the level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50.89 ± .33 vs 34. 66 ± 3. 50, p<.01)
      2.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the level of state and trait anxie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state anxiety 80.00 ± .00. vs 46.55 ± 2. 78 p<.01, trait anxiety 71.00 ± .00 vs 68.66 ± 2.73, p<.05)
      3.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upportive group art therapy.
      (46.20 ±.00 vs 68. 87 ± 2. 58, p<.01)
      4. After the supportive art therapy, the norepinephrine, IgG, IgA, IgM, and cortisol of the pneumoconiosis patient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ir epinephrine and T suppressor cells significantly decreased.
      5. Only social support among state-1, state-2,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which were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pneumoconiosis patients, was related to some factors for bloo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pinephrin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NK cells.
      The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high and the quality of life was low in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patients. Group supportive art therapy significantly affects the anxiety,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immune function of pneumoconiosis patients and helps improve their physical and metal health. Thus, since supportive art therapy helps chronic pneumoconiosis patients improve their physical, mental,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th, it can be used as a adjunctive method for trea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지적 미술치료가 진폐증 환자의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과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4월에서 10월 까지 10명의 진폐증 환자가 지지적 정신치료에 참여하였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해 지지적 미술치료 전 ․ 후에 불안, 우울,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자가 평가를 시행하였다. 불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가 사용되었고 우울에 대한 평가를 위해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가 사용되었다. 삶의 질에 대한 접근을 위해 36 health survey-Korean(SF-36-K)이 사용되었다. 지지적 미술치료 치료 전 ․ 후에 혈중 norepinephrine, epinephrine, Ig G, Ig M, Ig A, natural killer cell과 cortisol에 대한 혈중 농도 검사가 시행되었다.
      첫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우울의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50.89 ± .33 vs 34. 66 ± 3. 50, p<.01)
      둘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불안의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state anxiety 80.00 ± .00. vs 46.55 ± 2. 78 p<.01, trait anxiety 71.00 ± .00 vs 68.66 ± 2.73, p<.05)
      셋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삶의 질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46.20 ±.00 vs 68. 87 ± 2. 58, p<.01)
      넷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진폐증 환자의 혈중 norepinephrine, IgG, IgA, IgM, 그리고 cortisol 수치가 저명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epinephrine과 T suppressor cells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다섯째, 진폐증 환자에 있어서 정신의학적 요소 즉, state 1과 state 2사이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사회적 지지, 그리고 건강은 혈액의 몇 가지 요소와 관계가 있다. 사회적 지지와 epinephrine 사이에는 정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NK cells사이에는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진폐증 환자에서 불안과 우울증의 유병율이 높았으며 삶의 질은 저하되어 있었다.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에서 불안, 우울, 삶의 질, 그리고 면역 기능의 저명한 개선이 있었으며, 또한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지지적 미술치료는 만성 진폐증 환자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그리고 심리학적 건강에 도움이 되므로 보조적 치료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지지적 미술치료가 진폐증 환자의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과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4월에서 10월 까지 10명의 진...

      지지적 미술치료가 진폐증 환자의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과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4월에서 10월 까지 10명의 진폐증 환자가 지지적 정신치료에 참여하였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해 지지적 미술치료 전 ․ 후에 불안, 우울,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자가 평가를 시행하였다. 불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가 사용되었고 우울에 대한 평가를 위해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가 사용되었다. 삶의 질에 대한 접근을 위해 36 health survey-Korean(SF-36-K)이 사용되었다. 지지적 미술치료 치료 전 ․ 후에 혈중 norepinephrine, epinephrine, Ig G, Ig M, Ig A, natural killer cell과 cortisol에 대한 혈중 농도 검사가 시행되었다.
      첫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우울의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50.89 ± .33 vs 34. 66 ± 3. 50, p<.01)
      둘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불안의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state anxiety 80.00 ± .00. vs 46.55 ± 2. 78 p<.01, trait anxiety 71.00 ± .00 vs 68.66 ± 2.73, p<.05)
      셋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삶의 질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46.20 ±.00 vs 68. 87 ± 2. 58, p<.01)
      넷째, 지지적 집단 미술치료 후, 진폐증 환자의 혈중 norepinephrine, IgG, IgA, IgM, 그리고 cortisol 수치가 저명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epinephrine과 T suppressor cells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다섯째, 진폐증 환자에 있어서 정신의학적 요소 즉, state 1과 state 2사이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사회적 지지, 그리고 건강은 혈액의 몇 가지 요소와 관계가 있다. 사회적 지지와 epinephrine 사이에는 정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NK cells사이에는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진폐증 환자에서 불안과 우울증의 유병율이 높았으며 삶의 질은 저하되어 있었다.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에서 불안, 우울, 삶의 질, 그리고 면역 기능의 저명한 개선이 있었으며, 또한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지지적 미술치료는 만성 진폐증 환자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그리고 심리학적 건강에 도움이 되므로 보조적 치료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