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부 한국 농업인의 방사선학적 요추 편평화와 관련 요인 = Radiological Flattening of Lumbar Lordosis and Related Factors in Some Korean Far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7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목적: 일부 한국 농업인에서 요추 전만각의 편평화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요추 편평화가 요통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8년 6월 사이에 전라남도 지역의 농민 414명 (남자 155, 37.4%, 여자259, 62.6%)을 대상으로 요추 방사선 촬영과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요추 측면사진에서 요추1번과 천추 1번이 이루는 요추 전만각을 측정하여, 표준정규분포의 -1 표준편차이하에 해당되는 경우를?편평요추(flat back)?로 정의하였다. 편평요추 유무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 및 연령, 요추 추간판 간격의 협소화 및 압박골절의 정도, 쪼그려앉는 작업과 같은 위험한 농작업에 노출정도 등을 독립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요통의 심한 정도와 위험한 농작업에 노출정도와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요추 전만각 평균은 42.9?15.7?로, 여자에서 39.9?16.6?로 남자의 48.1?12.6?보다 유의하게 작았다(p<0.01). 편평요추가 발생할 교차비는 여성에서 3.30 (95% CI: 1.46~7.46), 추간판 간격의 감소가 심할수록 2.78 (95% CI: 1.27~6.07), 5.74 (95% CI:2.27~14.49), 압박골절이 심할수록 3.06 (95% CI:1.27~7.31), 5.45 (95% CI: 1.70~17.46), 쪼그려 앉는 작업자세 등 위험한 농작업 자세의 비중이 클수록 1.31(95%CI:0.61~2.79), 4.11 (95% CI: 1.77~9.55), 5.99 (95% CI: 2.44~14.71) 유의하게 높았다. 성과 연령을 보정하였을 때 편평요추가 있는 경우 심한 요통이 발생할 교차비는 2.29 (95% CI: 1.12~4.72)이었다. 결론: 편평요추는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숙이는 농작업자세와 관련이 있고, 이러한 작업에 주로 많이 종사하는 여자 농업인에서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요추 전만각이 감소된 경우 심한 요통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번역하기

      목적: 일부 한국 농업인에서 요추 전만각의 편평화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

      목적: 일부 한국 농업인에서 요추 전만각의 편평화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요추 편평화가 요통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8년 6월 사이에 전라남도 지역의 농민 414명 (남자 155, 37.4%, 여자259, 62.6%)을 대상으로 요추 방사선 촬영과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요추 측면사진에서 요추1번과 천추 1번이 이루는 요추 전만각을 측정하여, 표준정규분포의 -1 표준편차이하에 해당되는 경우를?편평요추(flat back)?로 정의하였다. 편평요추 유무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 및 연령, 요추 추간판 간격의 협소화 및 압박골절의 정도, 쪼그려앉는 작업과 같은 위험한 농작업에 노출정도 등을 독립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요통의 심한 정도와 위험한 농작업에 노출정도와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요추 전만각 평균은 42.9?15.7?로, 여자에서 39.9?16.6?로 남자의 48.1?12.6?보다 유의하게 작았다(p<0.01). 편평요추가 발생할 교차비는 여성에서 3.30 (95% CI: 1.46~7.46), 추간판 간격의 감소가 심할수록 2.78 (95% CI: 1.27~6.07), 5.74 (95% CI:2.27~14.49), 압박골절이 심할수록 3.06 (95% CI:1.27~7.31), 5.45 (95% CI: 1.70~17.46), 쪼그려 앉는 작업자세 등 위험한 농작업 자세의 비중이 클수록 1.31(95%CI:0.61~2.79), 4.11 (95% CI: 1.77~9.55), 5.99 (95% CI: 2.44~14.71) 유의하게 높았다. 성과 연령을 보정하였을 때 편평요추가 있는 경우 심한 요통이 발생할 교차비는 2.29 (95% CI: 1.12~4.72)이었다. 결론: 편평요추는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숙이는 농작업자세와 관련이 있고, 이러한 작업에 주로 많이 종사하는 여자 농업인에서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요추 전만각이 감소된 경우 심한 요통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o determine if agricultural work is related to radiological flattening of lumbar lordosi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f back pain and flat back in selected Korean farmers. Methods: Between June 2006 and July 2008, 414 farmers, 155 (37.4%) males and 259 (62.6%)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on hazardous agricultural work postures and other factors from interviews, surveys, and x-ray views of lateral lumbar.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a flat back was below -1 SD of lordotic angle, with a normal distribution between L1 and S1 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lat back and hazardous working posture ratio, sex, the severity of back pain. Results: Mean lordotic angle was 42.9?15.7��. Flat back had a higher prevalence in the females (24.7%) than the males (5.8%). The odds ratio of flat back risk is 3.30 (95% CI: 1.46~7.46) in the females compared to the males, 1.31 (95% CI: 0.61~2.79), 4.11 (95% CI: 1.77~9.55) in the group of hazardous working posture ratio compared to the low risk group, 2.78 (95% CI: 1.27~6.07), 5.74 (95% CI: 2.27~14.49) in the group of L4-L5 disc space narrowing compared to normal group, 3.06 (95% CI:1.27~7.31), 5.45 (95% CI: 1.70~17.46) in the group of lumbar spine compression fracture compared to no fracture. Odds ratio of severe back pain is 2.29 (95% CI: 1.12~4.72) in the group of flat back compared to normal group. Conclusions: Hazardous agricultural working postures, such as ?low- lifting, pulling, pushing work and high- squatting posture work? are associated with flat back. Low back pai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lat back group in female farmers.
      번역하기

      Objectives: To determine if agricultural work is related to radiological flattening of lumbar lordosi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f back pain and flat back in selected Korean farmers. Methods: Between June 2006 and July 2008, 414 farme...

      Objectives: To determine if agricultural work is related to radiological flattening of lumbar lordosi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f back pain and flat back in selected Korean farmers. Methods: Between June 2006 and July 2008, 414 farmers, 155 (37.4%) males and 259 (62.6%)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on hazardous agricultural work postures and other factors from interviews, surveys, and x-ray views of lateral lumbar.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a flat back was below -1 SD of lordotic angle, with a normal distribution between L1 and S1 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lat back and hazardous working posture ratio, sex, the severity of back pain. Results: Mean lordotic angle was 42.9?15.7��. Flat back had a higher prevalence in the females (24.7%) than the males (5.8%). The odds ratio of flat back risk is 3.30 (95% CI: 1.46~7.46) in the females compared to the males, 1.31 (95% CI: 0.61~2.79), 4.11 (95% CI: 1.77~9.55) in the group of hazardous working posture ratio compared to the low risk group, 2.78 (95% CI: 1.27~6.07), 5.74 (95% CI: 2.27~14.49) in the group of L4-L5 disc space narrowing compared to normal group, 3.06 (95% CI:1.27~7.31), 5.45 (95% CI: 1.70~17.46) in the group of lumbar spine compression fracture compared to no fracture. Odds ratio of severe back pain is 2.29 (95% CI: 1.12~4.72) in the group of flat back compared to normal group. Conclusions: Hazardous agricultural working postures, such as ?low- lifting, pulling, pushing work and high- squatting posture work? are associated with flat back. Low back pai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lat back group in female farme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