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NHCF 막전극과 코발트 양이온간의 이온교환에 있어서 용액의 물성과 주사속도의 영향 = Effects of Solution Property and Sweep Rate on the Ion Exchange between NHCF Film Electrode and Cobalt 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077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니켈 표면에 이온교환막을 생성시켜 NHCF 막전극을 제조하고, 순수한 니켈전극과 NHCF 막전극을 나트륨 용액에서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순환전위곡선을 측정하였다. 이 곡선들로부터 순수한 ...

      니켈 표면에 이온교환막을 생성시켜 NHCF 막전극을 제조하고, 순수한 니켈전극과 NHCF 막전극을 나트륨 용액에서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순환전위곡선을 측정하였다. 이 곡선들로부터 순수한 니켈과 NHCF의 산화/환원 반응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NHCF 막전극을 코발트와 이온교환 반응시키면서 순환전위곡선을 측정하고, 이 곡선들로부터 산화/화원반응에 흐른 전기량을 산출하여 용액의 농도, 온도, pH, 그리고 전위 주사속도 등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NHCF 막전극은 화학적 방법보다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제조할 경우에 안정적인 성능을 갖며, 전극전위 공급시간이 길수록 막전극의 이온교환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NHCF 막전극은 코발트와 산화/환원할 때 중성 용액보다 산성 용액에서, 고농도보다 저농도에서 첨두전류, 흐른 전기량,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저농도의 폐수 처리에 효과적이다. 또한 20~60℃의 온도 범위에서 30℃인 경우에서 이온교환 성능이 가장 높고, 첨두전류는 주사속도의 0.7승에 비례 증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NHCF film electrode was derivatized on the nickel surface by the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methods. The redox reaction of pure nickel and NHCF film electrode were investigated in 0.5 M NaNO₃solution by the cyclic voltammetry. We obs...

      In this study NHCF film electrode was derivatized on the nickel surface by the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methods. The redox reaction of pure nickel and NHCF film electrode were investigated in 0.5 M NaNO₃solution by the cyclic voltammetry. We observed the effects of cobalt concentration. solution temperature, solution pH. and potential sweep rate on the charge passing through redox reaction.
      It was found that electrochemically derivatized NHCF film electrode was more effective to the ion exchange than chemically self-assembled film electrode. Peak current density, charge passing through redox reaction, and reactivity were higher when increasing the potentiated time for NHCF generation. They were also higher at acidic solution, at lower concentration of cobalt, and at 30 C among applied potential range of 20℃ to 60 C. Peak current density increased with the potential sweep rate by the magnitude of 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